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의 정의

1) 공공선택론은 정책결정행위에 정치경제학적 이론을 적용시킨 것

- 시민: 공공서비스・재화・용역 등을 선택하는 소비자

- 정부 관료: 공공서비스재화・용역 등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주체

2) 행정에 시장 경제적 원리에 입각한 서비스 제공을 강조


2. 공공선택론의 등장 배경

1) 정부의 역할(공공의 이익을 위한 선택)에 대한 비판적 시각 대두

2) 주요 학자: 뷰캐넌(James Buchanan), 공공선택론 연구로 198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3. 공공선택론의 주요 개념

1) 방법론적 개체주의 - 의사결정의 주체를 집단으로 보지 않고, 개인으로 보는 방법론

- 집단의 행위는 개인선택 행위의 총합에 불과. 집단 자체의 의사 x

2) 합리적・경제적 인간 - 인간은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사고를 가지고 개인의 이익을 추구한다고 전제

- 합리적인 인간은 자신의 선호를 극대화하는 대안을 선택

- 합리적 무시: 합리적 무시는 어떤 정보가 주는 편익보다 그것을 얻기 위한 비용이 큰 경우 그 정보를 얻지 않고 무시하는 게 경제적으로 합리적이라는 개념이다[1]

- 최소한의 비용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시민

- 정부관료는 영향력 과시와 공공재의 생산을 이유로 예산의 극대화를 추구

3) 지대추구이론

- 이익집단은 정책결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관료에게 지대를 주면서 이익

- 공공선택이론: 지대추구의 활동이 사회적 비능률성을 초래함을 지적

4. 공공선택론의 주요 논제: 투표정치 이론

1) Arrow의 불가능성 정리: 투표와 같은 다수결의 원리는 소수의 의견이 무시되어 반드시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 x

2) Downs와 Hostelling의 중위투표자 정리: 중도 투표자의 선호에 맞는 행정서비스는 정부 실패를 설명하는 근거로 작용


5. 공공선택론에 대한 의의와 비판

1) 국가 재정 정책을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여

- 정부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2) 공공선택론의 무용론 (Green and Shapiro, 1994)

- 합리적 선택이이라는 논리 반복: 현실 정치 현상 설명 불가능 (정부활동의 성과를 지나치게 시장적 가치로 환원하려는 경향이 있음)

-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가설


<출처>

김의섭. (2007). 공공선택론적 재정관. 재정정책논집, 9(1), 41-62.

Green, D. P. and L. Shapiro, Pathologies of Rational Choice Theor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4.

서상원. (2009). 행정학 입문. 이담북스

에이먼비틀러. (2023). 공공선택론입문. 리버티

  1. 강준만, 공공 선택 이론 《감정독재》. 인물과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