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국제기능올림픽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제2차 세계대전 후 1950년 스페인과 포르투갈 양국의 청소년 대표선수 간 기능친선경기가 열렸던 것을 시초로 1952년 제2회 대회부터 매년 또는 격년으로 대회가 개최되다가 1979년부터 격년제로 개최되고 있다.

초기 대회는 유럽 국가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1960년대 들어 일본(1962년), 한국(1967년), 대만(1970년)이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동서의 기술을 겨루는 장이 되었고, 1973년 미국이 가입함으로써 국제대회로 발돋움했다.

전 세계 85개 나라가 회원국으로 가입돼 있으며, 회원국 젊은 기능인들의 상호 이해와 친선을 바탕으로 경진을 통한 최신 기술과 각국의 직업훈련제도에 관한 교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회 소개

1) 국제대회 참가자격

국제대회 참가연령(만22세 이하*)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 2개년도 전국대회 1위, 2위의 상위 득점자 중에서 평가 경기를 거쳐서 선발한다. (국내대회에 없는 직종은 별도 선발전을 실시해 최고 득점자를 선발함)

* 단, 통신망분배기술, 메카트로닉스, 통합제조, 항공정비, 사이버보안, 클라우드컴퓨팅, 수처리기술은 만 25세 이하

2) 입상자 특전

  • 국가대표 입상자에게는 훈 · 포장수여 및 상금 지급(※ 지급근거 : 숙련기술장려법 제 22조(포상 및 상금))
등 위 포 상 상금
금(1위) 동탑산업훈장 6,720만원
은(2위) 철탑산업훈장 5,600만원
동(3위) 석탑산업훈장 3,920만원
우수상(4위 이하) 산업포장 1,000만원
  • 해당분야 국가기술자격 산업기사 자격시험 면제

*단, 모든 직종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여부는 "www.q-net.or.kr-자격정보-국가자격-국가기술자격제도-면제정보”에서 확인요망

  • 병역대체복무 : 산업기능요원 편입
  • 계속종사장려금 지급(연 단위) : 입상 후 동일 분야 1년 이상 종사자
등 위 최소(1년) 최대(20년 이상)
215만원 405만원
206만원 377만원
196만원 348만원

국제기능올림픽 한국위원회

우리나라는 1966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제15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참관인단을 파견해 국제기능올림픽대회가 청소년의 기능 습득 의욕을 북돋고 국가 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여, 국제기능올림픽대회(WorldSkills) 회원국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한국위원회는 1966년 2월 스페인 마드리드(현재 소재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한 WorldSkills에 회원국 가입신청서를 제출하였고, WorldSkills의 전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가입이 승인되었다.

1966년 1월 "사단법인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가 설립될 당시 보건사회부 소관의 민간단체인 사단법인체였으나 1976년 12월 과학기술부 산하의 출연기관으로 한국기술검정공단이 발족된 후 한국기술검정공단 산하로 이관되었다. 이후에 다시 1982년 3월 노동부 산하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現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명칭 변경)이 발족되면서 한국위원회는 공단에 이관되었다. 현재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이 회장직을 겸하고 있다.

한국위원회는 1966년 9월 최초로 지방기능경기대회를 개최했고, 같은 해 11월 제1회 전국기능경기대회를 거쳐서 국제대회 파견선수를 선발해 1967년 7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1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9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당시 양복과 제화 직종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우리나라는 1967년부터 2022년까지 총 31회 참가해 19차례 종합우승을 달성한 바 있다.

연 헉

❍ ‘66. 1. 사단법인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설립(회원국 가입)

❍ ‘67. 7. 제1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첫 출전 (개최지 : 스페인)

❍ ‘78. 8. 제24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최 (개최지 : 부산)

❍ ‘82. 3.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現: 한국산업인력공단)에 통합(사단법인격 소멸)

❍ ‘01. 9. 제3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최 (개최지 : 서울)

❍ ‘11.10. 제41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영국)

❍ ‘13. 7. 제42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독일)

❍ ‘15. 8. 제43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브라질)

❍ ‘17.10. 제44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아랍에미리트)

❍ ‘19.8. 제45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러시아)

❍ ‘22.9.~11. 제4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 (개최지 :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한국 등 15개국 26개 도시)

❍ ‘24.10. 제47회 국제기능올림픽 참가 예정(개최지 : 프랑스)

참고자료

기능경기대회 > 국제기능경기대회 > 대회소개 (hrdkorea.or.kr)

숙련기술장려법 및 동법 시행령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