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기상청 조직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상청 소개 및 연혁

기상청 소개

기상청이란 대기 관측 및 분석을 통해 날씨를 파악하여 전달하는 기상예보를 주 업무로 하는 기관[1]으로, 이러한 지상기상관측과 더불어 고층, 해양, 항공, 레이더, 지진과 같은 기상 관측과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나라의 중앙행정기관[2]이다. 행정부의 19부 3처 19청 중에서 청에 해당하며, 기상청은 환경부에 소속[3]되어 있다.

기상청의 연혁

조직 관련 연혁

이러한 기상청의 조직 관련 연혁은 '국립중앙관상대'라는 이름으로 1949년에 첫 발축[4]되었고, 1961년 『기상업무법』의 제정[4]을 통해 법률에 기반을 둔 행정기관으로서의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에 1963년에 '중앙관상대'로 명칭이 변경[4]되었으며, 1964년에는 기상청의 업무를 골자로 규정하는 『기상현업업무규정』이 제정[4]되기도 하였고, 1982년에는 '중앙기상대'로 또다시 명칭이 변경[4]되었다가, 1990년에 행정청 조직인 '기상청'으로[4]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후 2005년에 차관급 기관으로 격상[4]되었고, 과거 제정된 기상업무법을 『기상법』으로 개정[4]하였으며, 추가로 기상관측 표준화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자료의 공동 활용을 도모하는[5] 『기상관측표준화법』이 같은 해에 제정[4]되었다. 이후 2009년에는 『기상산업진흥법』, 2014년에는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이 제정[4]되며, 예보 및 특보 등의 업무 뿐만 아니라 기상관련 상품 및 용역과 관련하여 이를 지원하고 육성하는 업무[6]와 지진 및 화산 등을 관측하는 업무 또한 법률에 기반을 둘 수 있게 되었다.

업무 관련 연혁

다음으로 업무 변천의 연혁으로는 1964년에는 특보, 그 다음해에는 주간예보[4]와 예측 선행 시간이 10일 이상의 기간의 날씨를 예보[7]하는 장기예보가 1965년에 발표[4]되었고, 지형적 특성에 의해 특정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기상 현상[8]을 예보하는 국지기상예보가 1983년에 시작[4]하였으며, 1984년에는 기상특보 예고제가 시행되기 시작[4]하였다. 1987년에는 자동기상관측(AWS)업무를 시작[4]하기도 하였다. 1988년에는 남극세종지기에서의 기상관측도 시작[4]되었고, 1990년에 5일 예보제가 실시[4]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1993년에는 주간예보를 매일 발표[4]하기 시작하였으며, 빠른 계산 능력을 통한 정확한 기상 및 기후의 예측을 위한[9] 슈퍼컴퓨터 1호기가 1999년에 도입[4]되고, 2000년에는 기상관측선인 기상2000호의 운항이 개시[4]됨으로써 해양 기상 예보를 위한 해양의 기상 관측 및 자료 수집을 도모[10]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08년에는 국가태풍센터를 신설하며[4] 태풍에 관한 관측도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구체적인 지역별로 기상 예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동네예보가 시작[4]되었다. 더불어 2010년에는 천리안위성을 발사[4]함으로써 기상 감시 및 위험기상요소를 확인하고 해양 정보 감시와 통신업무를 수행[11]할 수 있게 되었다. 추가로 위험 기상 요소 탐지 및 정보 제공의 업무를 담당[12]하는 기상레이더센터 또한 같은 해에 신설[4]되었다. 2012년에는 우주기상에 관한 예보 및 특보의 대국민 서비스가 실시[4]되었고, 2013년에는 10일간의 날씨를 예보하는 중기예보가 시작[4]되었다.

국제적 차원에서의 연혁

마지막으로 기상청의 국제적 차원에 관한 연혁으로는 1956년에는 당시 '국립중앙관상대'였던 기상청이 68번째 회원국으로 세계기상기구(WMO)에 가입[4]을 하게 되었는데, 이때 세계기상기구(WMO)는 기상 및 기후 관측과 공유를 하는 UN 산하 국제기구[13]이다. 이후 아시아 및 태영양 지역의 기후 정보와 관련한 국제적 차원의 기후예측 전문 기관[14]인 APEC 기후센터가 2005년에 개소[4]되기도 하였으며, 2007년에는 과거 가입했던 세계기상기구(WMO)의 집행이사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4]하였다. 이후 2009년에는 세계기상기후인 WMO의 장기예보선도센터를, 2012년에는 전지구정보시스템센터인 GISC를 유치[4]하며 기상 시스템에서의 국제적 위상을 확립하였고, 2015년에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인 IPCC의 의장으로 당선[4]이 되기도 하였다.

즉, 이러한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통하여 과거 '국립중앙관상대'였던 기상청이 현재 우리가 아는 기상청으로써의 업무와 조직이 자리잡게 되었다. 이처럼 조직 및 업무, 그리고 국제적 위상에서 계속된 발전을 거듭해 성과를 이루어낸 과거와 같이 현재 기상청은 계속 발전 중에 있다.

기상청의 조직

기상청은 기본적으로 본청과 소속기관으로 구성[15]되며, 구체적으로는 기상청 본청, 수치모델링센터, 기상기후인재개발원, 지방기상청 7곳, 국가기상위상센터, 기상레이더센터, 국립기상과학원, 항곡기상청으로 구성[16]된다. 이때 본청은 6곳의 국(관 및 센터)와 28곳의 과(센터), 5개의 팀으로 구성되고, 더불어 소속기관은 1차 기관 13곳과 2차기관 16곳으로 구성[16]된다.

[17]

< 기상청 조직도 이미지 >

기상청 본청

기상청 본청은 기상청장, 그 산하의 차장, 더불어 그 산하에 6곳의 기관인 운영지원과, 예보국,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서비스진흥국, 지진화산국으로 구성[15]된다. 또한 기상청장의 보좌기관으로써 대변인, 차장의 보좌기관으로써 감사담당관, 더불어 기획조정관이 보좌기관으로 구성[15]된다.

예보국

예보국은 예보 및 특보 기본계획 관련 업무, 기상 정보의 통보 업무 관련, 전국의 예·특보 분석과 총괄, 예보분석기법 개발 업무, 태풍 예측 기본계획 관련 업무[18] 등 예보 및 특보와 관련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기관이다. 예보국은 3곳의 과와 1곳의 센터, 2곳의 팀, 그리고 총괄예보관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예보정책과
  • 총괄예보관
  • 예보기술과
  • 국가태풍센터
  • 재해기상대응팀
  • 영향예보지원팀

관측기반국

관측기반국은 지진관측을 제외한 기상관측과 이러한 기상관표준화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국가기상관측 시설의 조정 및 운영과 관측망의 조정 및 구성[19] 등 기상관측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구성관측기반국은 관측기반국은 5곳의 기관으로 분류되며, 3곳의 과와 1곳의 센터, 1곳의 팀으로 구성[15]된다. 구체적인 소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

  • 관측정책과
  • 계측표준협력과
  • 정보통신기술과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정보보호팀

기후과학국

기후과학국은 기후 예측과 기후변화, 이상기후 및 기후 변화에 관련한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20]이다. 4곳의 과와 1곳의 팀으로 구성되어 총 5곳의 기관으로 구성[15]된다. 구체적인 소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기후정책과
  • 기후예측과
  • 해양기상과
  • 기후변화감시과
  • 수문기상팀

기상서비스진흥국

기상서비스진흥국은 기상산업 등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과 기상자료 관리 관련 계획 수립, 기상관측자료 및 기상자료 관리[21] 등 기상산업과 기상자료와 관련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기관이다. 기상서비스진흥국은 2곳의 과와 1곳의 센터로 구성되는 기관으로, 구체적인 소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기상서비스정책과
  • 국가기후데이터센터
  • 기상융합서비스과

지진화산국

지진화산국은 지진 및 지진해일, 화산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기준설정, 특보 생산 및 관측[22] 등 지진, 지진해일, 그리고 화산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대부분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지진화산국은 3곳의 과와 1곳의 팀으로 총 4곳의 기관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지진화산정책과
  • 지진화산감시과
  • 지진화산연구과
  • 지진화산기술팀

기획조정관 (보좌기관)

기획조정관은 예산 및 행정관리, 국회, 성과관리, 소관 법제 업무 및 소관의 행정심판과 소송 사무, 국제협력 관련, 연구개발사업[23]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기획조정관은 4곳의 담당관으로 구성되는 조직으로,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기획재정담당관
  • 혁신행정담당관
  • 연구개발담당관
  • 국제협력담당관

기상청의 소속기관

차장 산하의 기상청의 소속기관에는 총 7곳의 기관[15]이 있다. 구체적으로 수치모델링센터, 기상기후인재개발원, 지방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레이더센터, 국립기상과학원, 항공기상청으로 분류된다.[15]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링센터는 수치예보 및 수치예보잘 관련, 자료동화와 동네예보모델 등의 관련 업무[24]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2곳의 과와 1곳의 팀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수치모델개발과
  • 수치자료응용과
  • 수치예보활용팀

기상기후인재개발원

기상기후인재개발원은 기상, 기후 및 지진 분야의 교육훈련과 관련한 업무[25]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2곳의 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교육기획과
  • 인재개발과

지방기상청

지방기상청은 총7곳의 지방기상청으로 분류되며, 각 기상청에는 기상대가 소속되어있기도 하다.[15] 구체적인 지방기상청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15]

  • 수도권청기상청 (소속 기상대 : 인천기상대)
  • 부산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 울산·창원기상대)
  • 광주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
  • 강원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 춘천기상대)
  • 대전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 청주기상지청, 홍성기상대)
  • 대구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 안동기상대)
  • 제주지방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는 기상위성 관측 및 운영, 협력, 관측자료, 장비, 분석[26] 등에 관한 기상위성에 대한 포괄적인 업무를 모두 담당하는 기관이다. 3곳의 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위성기획과
  • 위성운영과
  • 위성분석과

기상레이더센터

기상레이더센터는 기상레이더의 운영 등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기상레이더 관측 기준 및 제도 관련, 기상레이더 관측망 및 관측자료 관련 업무[27] 등 기상레이더와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기상레이더센터는 2곳의 과와 1곳의 팀으로 구성되며,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레이더지원팀
  • 레이더운영과
  • 레이더분석과

국립기상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은 대기의 역학적 구조, 기상관측, 예보, 기후, 대기와 해양 등에 관한 연구 업무[28]를 주업무로 하는 기관으로, 3곳의 과와 4곳의 부, 그리고 1곳의 팀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기획운영과
  • 예보연구부
  • 관측연구부
  • 기후연구부
  • 기상응용연구부
  • 지구대기감시연구과
  • 인공지능기상연구과
  • 기후변화예측연구팀

항공기상청

항공기상청은 책임운영기관으로써, 항공기의 안저 및 효율적이 운항을 위한 기상정보 수집 등에 관한 업무 및 항공기상의 관측과 예보 향상과 관련한 연구 및 항공기상과 관련한 용역과 수탁사업[29]과 같이 항공 운영과 관련한 기상업무를 담당한다. 항공기상청은 3곳의 과와 1곳의 팀 그리고 공학기상대와 공항기상실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15]

  • 기획운영과
  • 예보과
  • 정보기술과
  • 차세대항공기상팀
  • 공항기상대(5)
  • 공항기상실(2)

기상청의 산하기관

그 외의 기상청의 산하기관에는 기상산업 진흥 및 기상정보 활용과 유통 지원[30]과 관련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슈퍼컴퓨터에 설치 및 이를 통하여 예보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수치예보모델의 개발[31]을 담당하는 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KIAPS), APEC 기후센터가 존재한다.[32]

기상청의 업무

기상청의 업무는 크게 11가지로 나뉘며, 구체적으로 관측업무, 정보통신업무, 예보업무, 기후감시업무, 지진·화산업무, 응용기상업무, 국제협력업무, 기상산업진흥, 기상연구, 기상서비스, 황사업무가 바로 기상청의 주요 업무들이다.

관측업무

관측업무는 관측 대상에 따라 다시 지상기상, 고층, 해양, 기상레이더, 항공, 지진으로 분류하여 관측[33]을 진행한다.

첫째로, 지상기상은 기상 관측 및 "국제전문을 통한 자료 공유"의 관측업무를 수행하는 종관기상관측장비(98개소)와 기본 기상 정보 관측을 통하여 산악 및 섬에 설치해 위험기상을 관측하는 방재기상관측장비(541개소)를 통해 관측[34]된다.

다음으로 고층기상관측은 "지상으로부터 30km이상 상공까지의 기압, 기온, 습도, 풍향풍속" 관측이 가능한 레윈존데와 발사된 전파에서 산란된 전파 수신을 통한 바람과 같은 대기상태 측정을 목표로 하는 연직바람관측장비를 통해 관측[35]된다. 이때 레윈존데란 레윈존데란 30km이상의 상공에서 기구에 매달아 비양시킨 라이도존데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대기를 관측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온, 바람, 기압, 고도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장비[36]를 의미한다.

셋째로 기상레이더관측은 대기로 발사된 전파가 강수입자에 의해 산란되어 돌아오는 것을 통해 "강수지역, 강수세기, 이동속도" 정보를 주집하고 강수현상 파악을 통한 위험기상 예측을 담당한다.[37]

넷재로 해양기상관측은 해양기상부이(해수면에서 해양기상관측), 등표기상관측장비(풍향 및 풍속, 기압, 습도 등을 관측해 자료 전송하는 장비), 해양안개관측장비, 파고부이(파고 및 파주기, 수온 관측) 등의 해양기상관층장비를 통해 해양기상을 관측하는 업무[38]이다.

더불어 위성기상관측은 기상위성(천리안위성)을 통해 지상 관측에 어려움이 있는 지역의 기상자료를 관측해 위험 기상 감시 등의 관측 업무[39]를 수행하며, 낙뢰관측장비를 통해 대기 중 방전(대지방전, 구름방전) 관측을 통해 낙뢰관측자료를 제공[40]한다.

정보통신업무

기상청은 기상관측자료 및 영상회의 등의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청, 지방청, 지청 및 도서 기상대와 관측소, 무인관측소 간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41]하고 있다. 더불어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서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기상업무[42]와 세계기상기구의 세계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한 국제적인 기상자료 및 수치모델자료, 위성자료를 접근·수집하는 업무[43]도 포함된다.

예보업무

기상청에서는 읍·면·동을 대상으로 하는 동네예보구역과 육상 및 해상의 광역예보구역을 나누어 기상예보를 발표하며, 기상특보는 시·군 단위 및 해역을 대상으로 발표[44]한다. 이와 같이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자료는 방재관련 유관기간에 실시간 제공되고, 국민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도 이용이 가능하다.[44] 이때 기상예보는 1시간 단위로 6시간 내의 기상을 예보하는 단기예보, 전국을 5km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 읍·면·동 단위의 날씨를 예보하는 단기예보(동네예보), 단기예보부터 10일을 하루에 2번 발표하는 중기예보, 1개월과 3개월 전망으로 나뉘는 장기예보, 계절 기후 및 연 기후로 나뉘는 기후전망이 있다.[45] 그 외에도 기상정보, 날씨해설, 예비특보 및 기상특보[46]와 슈퍼컴퓨터로 미래의 대기를 예측하는 수치예보[47]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기후감시업무

기후감시업무는 기후변화에 대한 감시와 분석, 미래의 기후변화를 예측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포함[48]되며, 더불어 폭설 및 집중호우 등의 이상기후 감시를 위한 북극진동, 제트기류, 몬순(계절풍), 대률고기압(한랭고기압, 시베리아고기압), 북태평양고기압이 그 감시 대상이 된다.[49]

지진·화산업무

지진·화산업무는 지진, 지진해일, 그리고 화산과 관련한 관측 및 분석 등의 주요 정책 수립과 시행과 같이 지진·지진해일·화산 업무의 총괄의 중앙행정기관으로서의 업무를 담당한다.[50] 구체적인 지진·화산업무는 다음과 같다.[50]

  • 지진·지진해일·화산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종합·조정
  • 지진·지진해일·화산에 관한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기술개발
  • 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장비의 규격 설정 및 검정에 관한 사항
  • 지진·지진해일 및 화산활동 관측기관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망 구축·운영 및 자료의 수집·분석·관리
  • 지진·지진해일·화산 관련 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감시·분석 및 통보
  • 국내외 지진·지진해일·화산 유관기관과의 협력
  • 지진·인공지진·지진해일 및 화산에 관한 연구
  • 지진 및 화산에 관한 연구계획의 수립·조정 및 연구관리

응용기상업무

응용기상업무에는 항공기 운행과 관련한 이상기후 관측 및 항공기상정보 생산의 항공기상업무[51]와 자외선지수와 같은 생활기상지수 및 식중독지수 등과 같은 보건기상지수 제공[52]이 포함된다.

국제협력업무

국제협력업무는 기상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주체와 협력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다자간 기상협력으로는 세계기상기구(WMO),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ESCAP)와 WMO이 후원하는 태풍위원회에서의 활동,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 설립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의 PCC 주관부처로의 활동[53] 등이 존재한다. 양국간 협력 사례에는 기상선진국(미국 등)과 개도국(몽골 등)과의 기상협력 약정 체결 및 협력회의 개최 등의 활동[54]이 있으며, 국내 기상산업의 지원 등을 통하여 개발도상국과의 기후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자하는 기상청 ODA(ODA: 공적개발원조로 개발도상국의 발전 및 복지 증진을 위한 원조를 의미)이 포함[55]된다.

기상산업진흥

기상산업진흥업무로서 기상청은 기상예보업, 기상감정업, 기상컨설팅업, 기상장비업에 대하여 기상 사업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전반적으로 담당[56]하고, 기상사업체의 일반 및 경영, 연구개발 등의 현황을 조사하는 기상산업실태조사[57] 등의 업무을 시행한다.

기상연구

기상연구를 담당하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기상기술 및 정책에 관한 연구", "기상예보기술 및 위험기상 예측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기후변화, 해양 기상 및 지진·지진해일, 고층대기 황사 등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 업무[58]를 수행하고 있다.

기상서비스

기상서비스 업무는 기상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과거 기상에 대하여 기상증명서 및 기상감정서 발급과 자료를 제공하며, 기상측기 검정의 기상서비스를 제공[59]한다. 더불어 '기상자료개발포털'을 기상 데이터 지공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131자동응답시스템(ARS), 기상삼담서비스가 제공[59]되고 있다.

황사업무

황사업무에는 목측의 방법을 통한 황사관측[60] 및 황사에 대한 예·특보 발표[61], 그리고 황사와 관련하여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구축사업", "한·몽 기상협력사업", "황사감시기상탑 설치사업"과 같은 국제협력사업을 추진[62]하고 있다.

기상청 관련 법령

기상청 전반에 관한 법령

정부조직법 제 40조

제40조(환경부) ①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 생활환경의 보전, 환경오염방지, 수자원의 보전ㆍ이용ㆍ개발 및 하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개정 2018. 6. 8., 2020. 12. 31.>

② 기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 소속으로 기상청을 둔다.

③ 기상청에 청장 1명과 차장 1명을 두되, 청장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개정 2013. 12. 24.>

  [제39조에서 이동, 종전 제40조는 제41조로 이동 <2023. 3. 4.>][63]

기상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기상업무의 효율적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기상업무의 건전한 발전에 힘쓰게 하여 기상재해 및 기후변화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복리를 증진하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7. 4. 18.>  [전문개정 2008. 12. 31.][64]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1조(목적) 이 영은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의 조직과 직무범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65]

기상청의 업무와 관련한 법령

기상산업진흥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기상산업의 발전 기반 조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기상산업의 지원ㆍ육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66]

기상관측표준화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기상법」 제3조제3항에 따라 기상관측의 표준화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기상관측의 정확성과 기상관측장비의 운용 및 기상관측자료 공동 활용의 효율성을 높여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7. 4. 18.>  [전문개정 2008. 12. 31.][67]

기후ㆍ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기후변화감시예측법 )

제1조(목적) 이 법은 기후ㆍ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감시 및 예측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기후변화로부터 생태계 및 기후체계를 보호하고 공공복리를 증진하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68]

해외의 기상청

미국의 기상청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미국의 기상청은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NWS)’라는 곳으로, 기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69]

  •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Headquarters[69]국립 기상청 본부로, NWS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관[69]이다. 구체적인 업부에는 기상 경보 및 예보 프로그램 조정, 기상 요소 정보를 정부 및 업계, 그리고 국민에게 제공, 현장 지원 및 정보 기술 자원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69]한다.
  • NWS regional offices[69]NWS의 지역 기관으로, 'Eastern, Southern, Central, Western, Alaska, Pacific'의 6개의 지역에 설립되어 있다.[69] 이러한 NWS 지역 사무소는 관측 네트워크 제공 및 기상 예보 등과 더불어 지역의 기상 및 수문학 등 기상 관련 프로그램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69]하며, 이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기상 서비스를 제공[69]한다.
  • Local Weather Forecast Offices (WFOs)[69]지역 일기 예보청으로, 매일 매시간 "주의보, 경고, 성명 및 단기 예측"를 제공[69]한다. 따라서 기상 모니터링, 강수량 데이터 관측 및 제공, 지역 기후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약 및 보고서 발행[69] 등의 업무들을 시행한다.
  • River Forecast Centers (RFCs)[69]하천 예보 센터는, 홍수 예방 등의 목적으로 국가 수로를 감시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수자원이 필요로되는 계획에 사용되는 홍수 및 강, 물에 관한 정보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69]이다. 이와 더불어 수자원 정보 등을 통하여 "수자원 예측 업무"를 하는 핵심 기관으로 "The National Water Center (NWC)"의 국립수자원센터가 있다.[69]
  • Center Weather Service Units (CWSUs)[69]CWSU는 영공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라는 미국 연방 항공국에 교통 경로를 안내하는 브리핑을 진행하며, 단기 및 중기 일기 예보 업무를 담당한다.[69]
  •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NCEP)[69]환경 예측 국립 센터로, 데이터 분석 및 예측을 통하여 환경 예측을 제공하는 업무[69]를 수행[69]한다. 이러한 NCEP는 "Aviation Weather Center", "Climate Prediction Center, National Hurricane Center", "Storm Prediction Center",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Weather Prediction Center", "Ocean Prediction Center, Environmental Modeling Center", "NCEP Central Operations"의 9개의 기관으로 구성[69]된다.

중국의 기상청 ‘中国气象局’

중국의 기상청은"中国气象局"로, 기상업무 관련 제도 및 장기 계획 수립 등의 제도적 업무, 기상 재해 예방 관련 업무, 다양한 기상 정보 예측 및 경고 등의 업무를 수행[70]한다. 이러한 11개의 내부조직과, 16개의 하위 단위 기관, 그리고 31곳의 지방 기상국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기관은 다음과 같다.[71]

内设机构 (내부조직)[71]

  • 办公室 : 사무실
  • 应急减灾与公共服务司 : 긴급재난경감 공공서비스부
  • 预报与网络司 : 예측 및 네트워크 부문
  • 综合观测司 : 종합관찰부
  • 科技与气候变化司 : 과학기술기후변화학과
  • 计划财务司 : 기획재정부
  • 人事司 : 인사부
  • 政策法规司 : 정책 및 규제 부서
  • 国际合作司 : 국제협력부
  • 机关党委(巡视办): 기관당위원회(감찰실)
  • 离退休干部办公室 : 퇴직 간부 사무실

直属单位 (하위 기관)[71]

  • 国家气象中心(中央气象台) : 국립기상센터(중앙기상대)
  • 国家气候中心 : 국립 기후 센터
  • 国家卫星气象中心 : 국립위성기상센터
  • 国家气象信息中心 : 국립기상정보센터
  • 中国气象局地球系统数值预报中心 : 중국 기상청 지구시스템 수치예측센터
  •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 중국기상청 기상관측센터
  • 中国气象局公共气象服务中心 : 중국 기상청 공공 기상 서비스 센터
  • 中国气象科学研究院 : 중국기상과학원
  • 中国气象局人工影响天气中心 : 중국 기상청 기상 조정 센터
  • 中国气象局气象干部培训学院 : 중국기상청 기상간부훈련원
  • 中国气象局气象发展与规划院 : 중국기상청 기상개발계획연구소
  • 中国气象局气象宣传与科普中心(中国气象报社): 중국기상청 기상홍보과학보급센터(중국기상뉴스)
  • 中国气象局机关服务中心 : 중국 기상청 서비스 센터
  • 气象出版社有限公司 : 기상언론주식회사
  • 中国华云气象科技集团有限公司 : 중국화윤기상기술그룹유한공사
  • 华风气象传媒集团有限责任公司 : 화펑기상미디어그룹유한회사

省(区、市)气象局 (도(지방,시)기상국)[71]

  • 北京市气象局 : 베이징 기상국
  • 天津市气象局 : 천진기상국
  • 河北省气象局 : 허베이성 기상국
  • 山西省气象局 : 산시성 기상국
  • 内蒙古自治区气象局 : 내몽골자치구 기상국
  • 辽宁省气象局 : 랴오닝성 기상국
  • 吉林省气象局 : 길림성 기상국
  • 黑龙江省气象局 : 헤이룽장성 기상국
  • 上海市气象局 : 상하이 기상국
  • 江苏省气象局 : 장쑤성 기상국
  • 浙江省气象局 : 저장성 기상국
  • 安徽省气象局 : 안후이성 기상청
  • 福建省气象局 : 푸젠성 기상국
  • 江西省气象局 : 장시성 기상국
  • 山东省气象局 : 산둥 기상국
  • 河南省气象局 : 허난성 기상국
  • 湖北省气象局 : 후베이성 기상국
  • 湖南省气象局 : 후난성 기상국
  • 广东省气象局 : 광둥성 기상국
  • 广西壮族自治区气象局 : 광시좡족자치구 기상국
  • 海南省气象局 : 하이난 기상국
  • 重庆市气象局 : 충칭 기상국
  • 四川省气象局 : 쓰촨성 기상국
  • 贵州省气象局 : 귀주 기상국
  • 云南省气象局 : 운남성 기상국
  • 西藏自治区气象局 : 티베트 자치구 기상국
  • 陕西省气象局 : 산시성 기상국
  • 甘肃省气象局 : 간쑤성 기상국
  • 青海省气象局 : 칭하이성 기상국
  • 宁夏回族自治区气象局 : 닝샤후이족자치구 기상국
  • 新疆维吾尔自治区气象局 : 신장위구르자치구 기상국

기상청와 관련한 논란

기상청과 관련한 논란에는 바로 잦은 오보로 인한 기상청의 정확성이 있다. 이러한 오보는 날씨 및 강수 등에 관하여 잘못 예측된 사례가 해당하며, 그러한 오보와 관련한 사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기상오보의 원인으로는 과거에 비하여 현재에는 기상현상의 근본적 원인 파악의 어려움[72] 기후 변화에 따른 대기의 불안정[73] 등의 환경적 원인이 언급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8년 주말 날씨 5주 연속 오보 사례

2008년 여름에는 기상청에서 발표한 주말 날씨 예보가 5주 동안 맞지 않아, 오보 논란이 있었다.[74] 6월 28일 예보와 7월 5일의 예보, 7월 12일의 예보, 7월 19일, 그리고 7월 26일 예보에서 기상청의 예보와 거의 정반대로 비가 내렸기 때문이다.[75]

2008년 7월 25일의 오후 11시의 예보에서는 기상청은 비가 가장 많이 올 지역으로 영동과 경북 동해안 지역(20~60mm)을, 서울 및 경기 지역은 적은 비(5~30mm)를 예상하여 예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동해안은 거의 비가 오지 않았고, 경기 지역에는 100mm 이상의 비가, 동두천 지역 또한 110mm, 문산과 서울은 각각 68.5mm와 55mm의 많은 비가 내렸다. 더불어 이러한 예보에 따라 한 강원도 영동지방의 숙박업소는 많은 비의 예보로 인하여 7월 26일과 27일동안 약 40건의 예약이 취소되기도 하였으나, 실제로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동해안 지역과 강릉 지역에 적은 비가 오며 피해를 본 사례도 있다.[75]

관련 기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으로 1대 뿐인 해양기상관측선, 해외 기상 위성 자료 의존, 수치 예보 모델의 낙후 및 폐쇄적인 조직 분위기에 따른 외부인사 채용의 어려움, 예보관의 전문성 등을 언급하기도 하였다.[75]

2019년 주말 예보 5주 동안 오보 사례

2008년과 비슷한 사례가 2019년 장마철에도 있었다. 2019년 25일 밤 11시 예보를 통하여 서울 지역과 경기, 그리고 충청도 지방에 최고 30㎜의 상대적으로 적은 비가 26일까지 있을 것으로 예보하였으나, 실제로는 이날 새벽 일부 지역은 호우주의보가 내릴 정도로 경기 북부에 많은 비가 내렸다.[76] 기사에 따르면 "서울 32㎜, 동두천 78㎜, 연천 51.5㎜의 비가 내렸고, 가평군 북면에 125㎜, 연천군 장남면엔 103.5㎜" 정도의 많은 비가 내렸다고 전해진다.[76]

2020년 폭염 예보 및 강수 예보 오보 사례

2020년에는 강수 예보 뿐만 아니라 폭염과 관련한 예보 또한 엇나간 사례가 있었다. 평균적으로 9.8일인 폭염 일수에 관하여 2020년 5월 기상청에서는 폭염 일수가 길면 25일까지도 늘어날 것이라 예측하였지만, 실제 2020년 8월의 전국 평균 기온은 전년대비 2도가 나은 22.5도였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에 관하여도 각각 평년 대비 약 2일에서 3일이 더 적은 3.9일과 2.3일이었다고 전해진다.[77]

더불어 강수량 또한 기상청에서는 평년과 유사할 것이라 예측한 것에 반해, 2020년에는 6월부터 많은 비를 동반한 장마가 시작되었고, 기사에 따르면 "장마 기간 중부지방 강수량은 494.7㎜를 기록했고 남부지방과 제주의 경우 각각 566.5㎜, 562.4㎜를 기록"하였다고 전해진다.[77] 이러한 강수량은 평년대비 평균강수량에서 약 160∼180㎜가 초과된 값[77]이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그러나 또 다른 기사에서는 2020년 기상청의 강수 예보에 관하여 단기예보 및 초단기예보고 나누어 검토할 경우 "동아시아 상공을 지배한 찬 공기 세력이 7월 말 정도면 해소될 것으로 오판"하여 8월부터의 예보가 맞지 않았으며, 7월말까지의 예보는 대체로 적중하였다고 설명하기도 한다[78]. 더불어 이러한 현상의 예측의 어려움과 중국 기상청에서도 예측하지 못하였음을 언급하기도 하였다.[78]

예보 정확도 지표와 한국경제신문의 "비 예보 오보율" 분석

2022년 예보 정확도를 확인할수 있는 강수유무정확도에 대하여 2021년의 강수유무정확도가 90.9%, 2022년 6월은 86.3%, 2022년 5월은 97.1%였다고 전해진다.[72]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성상 강수정확도 값이 높을 수밖에 없기에 강수맞힘율이 활용되는데, 이러한 강수맞힘률은 2021년 0.65, 2022년 3월은 0.78, 2022년 5월은 0.34로 각각 65%, 78%, 34%의 비가 미리 예보[72]되었다고 전해진다. 더불어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또한 평균과 1,2도의 오차만 기록하며 예측[72]되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예보 정확성에 대하여, 한국경제신문에서는 2022년 기상청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예보와는 달리 실제로는 비가 내리지 않았던 비율을 분석한 결과 45%라는 "비 예보 오보율"이 도출되었다고 보도하였다.[73] 이때, 기사에서는 강수 유무 기준에 관하여 "3시간 내 0.1㎜ 이상 강우 관측 여부"였다고 설명하였다.[73]

더불어 과잉예보에 따라 오보율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설명하며, 2019년의 오보율은 42%, 2020년의 오보율은 40%인 것을 언급하며 과잉예보 경향성의 상승을 설명하기도 하였다.[73] 이러한 과잉예보에 관하여 기상청의 관계자는 피해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해지며, 적극적으로 예보할 수록 적중률이 상승한다는 것을 강수맞힘률(2021년 3분기 62%, 2021년 4분기 60%, 2022년 1분기 71%) 상승으로 설명했다.[73]

각주

  1. 기상청, "기상청 소개", 2024.06.20. 검색. <https://www.kma.go.kr/kma/org/intro.jsp>
  2. 정부24, "기상청", 2024.06.20.검색. <https://www.gov.kr/portal/orgInfo/1360000>
  3. 정부24, "정부/지자체조직도", 2024.06.20.검색. <https://www.gov.kr/portal/orgInfo>
  4.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기상청, "연혁",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history.jsp#headsect>
  5. 국립법령정보센터, "기상관측표준화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관측표준화법>
  6.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산업진흥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산업진흥법>
  7. 기상학백과, "장기예보", 네이버 지식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4656&docId=5702151&categoryId=64656>
  8. 기상백과, "국지기상", 네이버지식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443&docId=1001615&categoryId=42443>
  9.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슈퍼컴퓨터란?",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super/super-info.jsp>
  10. 지식백과, "기상관측선", 기상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443&docId=1001645&categoryId=42443>
  11. 기상학백과, "천리안위성", 네이버 지식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4656&docId=5826952&categoryId=64656>
  12. 기상레이더센터, "인사말", 2024.06.20.검색. <https://radar.kma.go.kr/intro/greet.do>
  13. 기상청, "세계기상정보시스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ict04.jsp>
  14. APEC 기후센터, "소개", 2024.06.20.검색. <https://apcc21.org/content/intro?lang=ko>
  15. 15.00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5 15.16 15.17 15.18 15.19 기상청, "조직도",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16. 16.0 16.1 기상청, "조직도">"기구/정원'",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17. 기상청, "조직도",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18. 기상청, "조직도">"예보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19. 기상청, "조직도">"관측기반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0. 기상청, "조직도">"기후과학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1. 기상청, "조직도">"기상서비스진흥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2. 기상청, "조직도">"지진화산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3. 기상청, "조직도">"기획조정관",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4. 기상청, "조직도">"수치모델링센터",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5. 기상청, "조직도">"기상기후인재개발원",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6. 기상청, "조직도">"국가기상위성센터",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7. 기상청, "조직도">"기상레이더센터",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8. 기상청, "조직도">"국립기상과학원",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29. 기상청, "조직도">"항공기상청",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30.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인사말", 2024.06.20.검색. <https://www.kmiti.or.kr/kr/contents/introduce_01/view.do>
  31. KIAPS, "사업단소개">"인사말", 2024.06.20.검색. <https://www.kiaps.org/biz/greeting.do>
  32. 기상청, "소속·산하기관 소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affiliated_org.jsp>
  33. 기상청, "기상관측망",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1.jsp>
  34. 기상청, "지상기상관측망",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2.jsp
  35. 기상청, "고층기상관측",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3.jsp>
  36.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레윈존데", 2024.06.20.검색. <https://data.kma.go.kr/data/hr/selectRdsdRltmList.do>
  37. 기상청, "기상레이더관측", 2024.06.20.검색.<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5.jsp>
  38. 기상청, "해양기상관측",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7.jsp>
  39. 기상청, "위성기상관측",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4.jsp>
  40. 기상청, "낙뢰관측",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6.jsp>
  41. 기상청, "기상청종합통신유선망",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ict01.jsp>
  42. 기상청, "국각기상슈퍼컴퓨터센터",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ict02.jsp>
  43. 기상청, "세계기상정보시스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ict04.jsp>
  44. 44.0 44.1 기상청, "예보업무">"업무개요",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forecast01.jsp>
  45. 기상청, "기상예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forecast02.jsp>
  46. 기상청, "기상정보 및 특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forecast03.jsp>
  47. 기상청, "수치예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forecast04.jsp>
  48. 기상청, "기후변화감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limate01.jsp>
  49. 기상청, "이상기후감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limate02.jsp>
  50. 50.0 50.1 기상청, "지진·화산 업무">"업무개요",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earthquake_volcano_01.jsp>
  51. 기상청, "항공기상분야",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ooper01_01.jsp>
  52. 기상청, "생활기상정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ooper01_02.jsp>
  53. 기상청, "다자간 기상협력",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ooper02.jsp>
  54. 기상청, "양국간기상협력",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ooper03.jsp>
  55. 기상청, "국제개발협력",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cooper05.jsp>
  56. 기상청, "기상사업자등록",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biz_regist01.jsp>
  57. 기상청, "기상산업실태조사",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biz_notice1.jsp>
  58. 기상청, "기상연구",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research.jsp>
  59. 59.0 59.1 기상청, "기상서비스",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service.jsp>
  60. 기상청, "황사업무">"관측업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asiandust01.jsp>
  61. 기상청, "예보업무",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asiandust03.jsp>
  62. 기상청, "국제협력사업",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asiandust05.jsp>
  63. 국가법령정보센터, "정부조직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정부조직법/(20309,20240213)>
  64.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법>
  65.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66.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산업진흥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산업진흥법>
  67.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관측표준화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관측표준화법>
  68. 국가법령정보센터, "기후ㆍ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기후변화감시예측법 )",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후ㆍ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19757,20231024)>
  69. 69.00 69.01 69.02 69.03 69.04 69.05 69.06 69.07 69.08 69.09 69.10 69.11 69.12 69.13 69.14 69.15 69.16 69.17 69.18 69.19 Weather.gov, "We are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2024.06.20.검색. <https://www.weather.gov/about/nws>
  70. 中国气象局, "部门概况">"查看详细">"中国气象局职责", 2024.06.20.검색. <https://www.cma.gov.cn/2011zwxx/2011zbmgk/202205/t20220518_4837182.html>
  71. 71.0 71.1 71.2 71.3 中国气象局, 部门概况, 2024.06.20.검색. <https://www.cma.gov.cn/2011zwxx/2011zbmgk/>
  72. 72.0 72.1 72.2 72.3 이재영, 날씨예보 믿어야 할까…"숨은 확률까지 보고 대비해야", 연합뉴스, 2022.07.24. <https://m.yna.co.kr/amp/view/AKR20220722129100530>
  73. 73.0 73.1 73.2 73.3 73.4 김현덕, '기상청 오보'로 막대한 피해 봤다면…배상 청구할 수 있나?, 한국경제신문, 2022.08.1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081203997>
  74. 조선닷컴, 기상청은 오보청? 5주 연속 주말날씨 예보 틀려, 조선일보, 2008.07.26.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7/26/2008072600387.html>
  75. 75.0 75.1 75.2 박승철, 날씨 잇단 오보 5가지 이유, 매일경제, 2008.08.02.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4469850>
  76. 76.0 76.1 오철우, ‘해뜰날 없는’ 기상청, 한겨레, 2019.10.19.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301049.html?utm_source=copy&utm_medium=copy&utm_campaign=btn_share&utm_content=20240620>
  77. 77.0 77.1 77.2 송유근, 기상청 ‘오보청’ 논란, 왜 끊이지 않나, 문화일보, 2020.09.01. <https://m.munhwa.com/mnews/view.html?no=2020090101031730316001>
  78. 78.0 78.1 김해동, [왜냐면] 올여름 기상청 오보 논란에 대하여 / 김해동, 한겨레, 202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