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대한민국 외교부: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 <ref>외교부
=== 외교부 ===
-외교부는 외교, 국제관계 등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와 재외한인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9%B8%EA%B5%90%EB%B6%80 외교부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9%B8%EA%B5%90%EB%B6%80]</ref>
[[파일:외교부.png|왼쪽|섬네일]]


<nowiki>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9%B8%EA%B5%90%EB%B6%80</nowiki>


외교부 직무


<nowiki>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nowiki>


국가법령정보센터-정보조직법


<nowiki>https://www.law.go.kr/%EB%B2%95%EB%A0%B9/%EC%A0%95%EB%B6%80%EC%A1%B0%EC%A7%81%EB%B2%95</nowiki>


외교부 역사


<nowiki>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nowiki>
외교부 조직-
<nowiki>https://www.mofa.go.kr/www/pgm/m_4276/uss/org/orgcht.do?type=list</nowiki>
</ref>외교부 ===
-외교부는 외교, 국제관계 등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와 재외한인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9%B8%EA%B5%90%EB%B6%80]


=== 직무 ===
=== 직무 ===
39번째 줄: 27번째 줄:
-재외국민 보호ㆍ지원
-재외국민 보호ㆍ지원


-국제정세의 조사ㆍ분석 및 이민에 관한 사무 관장 [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
-국제정세의 조사ㆍ분석 및 이민에 관한 사무 관장 <ref>직무 
 
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ref>


=== 정부조직법 ===
=== 정부조직법 ===
50번째 줄: 40번째 줄:
③ 재외동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외교부장관 소속으로 재외동포청을 둔다. <신설 2023. 3. 4.>
③ 재외동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외교부장관 소속으로 재외동포청을 둔다. <신설 2023. 3. 4.>


 
④ 재외동포청에 청장 1명과 차장 1명을 두되, 청장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외무공무원으로 보한다. <신설 2023. 3. 4.> <ref>정부조직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A0%95%EB%B6%80%EC%A1%B0%EC%A7%81%EB%B2%95</ref>
④ 재외동포청에 청장 1명과 차장 1명을 두되, 청장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외무공무원으로 보한다. <신설 2023. 3. 4.>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A0%95%EB%B6%80%EC%A1%B0%EC%A7%81%EB%B2%95]
== 역사 ==
== 역사 ==
1948  
1948  
60번째 줄: 49번째 줄:


외교, 조약, 대외경제, 재외국민 보호, 국제정세 조사 및 대외홍보에 관한 사무 관장
외교, 조약, 대외경제, 재외국민 보호, 국제정세 조사 및 대외홍보에 관한 사무 관장


1948
1948
68번째 줄: 55번째 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비롯한 우방 제국과 국교를 수립하고 재외공관 설치 시작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비롯한 우방 제국과 국교를 수립하고 재외공관 설치 시작




76번째 줄: 62번째 줄:


외무공무원의 자질 향상 및 근무 능률 증진을 위해 외무공무원교육원 신설
외무공무원의 자질 향상 및 근무 능률 증진을 위해 외무공무원교육원 신설


1965
1965
84번째 줄: 68번째 줄:


외무공무원교육원을 외교연구원으로 개편
외무공무원교육원을 외교연구원으로 개편


1976
1976
92번째 줄: 74번째 줄:


외교연구원을 외교안보연구원으로 개편
외교연구원을 외교안보연구원으로 개편


1998
1998
100번째 줄: 80번째 줄:


통상교섭과 대외경제 관련 외교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해 외무부를 외교통상부로 개편하고 통상교섭본부를 신설
통상교섭과 대외경제 관련 외교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해 외무부를 외교통상부로 개편하고 통상교섭본부를 신설


2002
2002
108번째 줄: 86번째 줄:


정부중앙청사 남쪽에 지하 6층, 지상 18층의 단독청사를 완공하여 이전
정부중앙청사 남쪽에 지하 6층, 지상 18층의 단독청사를 완공하여 이전


2012
2012
116번째 줄: 92번째 줄:


국립외교원 신설
국립외교원 신설


2013
2013
125번째 줄: 99번째 줄: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개편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개편


2023
6. 5.
재외동포청 출범 <ref>역사 
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ref>
[[파일:외교부 로고.png|가운데|섬네일|464x464픽셀]]
== 조직 ==
=== 장관 ===
장관정책보좌관
대변인, 부대변인 – 언론담당관, 정책홍보담당관
공공외교대사, 감사관 – 감사담당관, 감찰담당관
=== 제1차관 ===
차관보
기획조정실장, 조정기획관 – 기획재정담당관,운영지원담당관,혁신행정담당관,재외공관담당관
인사기획관


정보관리기획관 – 정보화담당관, 외교통신담당관, 외교정보보안담당관


2023
의전장, 의전기획관 – 의전총괄담당관, 의전행사담당관, 외교사절담당관
 
아시아태평양국 – 심의관, 아태1과, 아태2과, 아태지역협력과
 
동북·중앙아시아국 – 심의관, 동북아1과, 동북아2과, 중앙아시아과
 
아세안국 – 심의관, 동남아1과, 동남아2과, 아세안협력과
 
북미국 – 심의관, 북미1과, 북미2과, 한미안보협력1과, 한미안보협력2과
 
중남미국 – 심의관, 남미과, 중미과, 카리브·중남미협력과
 
유럽국 – 심의관, 서유럽과, 중유럽과, 유라시아과
 
아프리카중동국 – 심의관, 중동1과, 중동2과, 아프리카1과, 아프리카2과
 
=== 제2차관 ===
글로벌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후변화대사
 
영사안전국 – 영사안전정책과, 재외국민보호과, 해외안전상황실, (영사콜센터), 여권과
 
국제기구·원자력국 – 협력관, 유엔과, 인권사회과, 원자력외교과
 
개발협력국 – 개발협력정책관, 국제개발의제과, 개발전략·민간협력과, 개발협력과, 다자협력·인도지원과
 
국제법률국 – 심의관, 조약과, 국제법규과, 영토해양과
 
공공문화외교국 – 공공외교총괄과, 유네스코과, 문화교류협력과, 정책공공외교과, 디지털공공외교과
 
국제경제국 – 다자경제기구과, 경제협정규범과, 지역경제기구과
 
양자경제외교국 – 심의관, 유럽경제외교과, 동아시아경제외교과, 북미경제외교과, 경제안보외교과
 
기후환경과학외교국 – 기후변화외교과, 녹색환경외교과, 국제과학기술규범과
 
=== 외교전략정보본부 ===
국제사이버협력대사
 
외교전략기획국 – 외교정책기획과,인태전략과
 
외교정보기획국 – 외교정보1과 ,외교정보2과
 
한반도정책국 – 북핵정책과, 대북정책협력과, 한반도미래정책과
 
국제안보국 – 국제안보·사이버협력과, 군축비확산과, 수출통제·제재과
 
=== 국립외교원 ===
경력교수
 
기획부 – 기획협력과, 외교역량평가과, 운영지원과
 
교수부 – 교육운영과, 직무연수과, 외국어교육과
 
외교안보연구소 – 국제안보통일연구부, 국제통상경제안보연구부, 글로벌거버넌스연구부, 인도태평양연구부, 북미유럽연구부, 전략지역연구부, (중국연구센터)(일본연구센터)(아세안.인도연구센터)(외교사연구센터)(국제법센터)(지정학연구센터)연구행정과,도서관)
 
=== 그 외 기관 ===
외청 – 재외동포청
 
산하기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 한·아프리카재단
 
재외공관 <ref>조직 
 
https://www.mofa.go.kr/www/pgm/m_4276/uss/org/orgcht.do?type=list</ref>
[[파일:장관,제1차관.png|왼쪽|섬네일]]
[[파일:제2차관.png|가운데|섬네일|414x414픽셀]]


6. 5.


재외동포청 출범 [https://www.mofa.go.kr/www/wpge/m_4172/contents.do]
[[파일:그 외 기관들.png|왼쪽|섬네일]]

2024년 6월 20일 (목) 21:02 판

개요

외교부

-외교부는 외교, 국제관계 등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와 재외한인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1]





직무

-외교정책의 수립ㆍ시행

-다자ㆍ양자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외교

-대외경제 관련 외교정책의 수립ㆍ시행 및 총괄ㆍ조정

-국제관계업무에 관한 조정

-조약 및 그 밖의 국제협정에 관한 사무 관장

-문화협력, 대외홍보에 관한 사무 관장

-재외국민 보호ㆍ지원

-국제정세의 조사ㆍ분석 및 이민에 관한 사무 관장 [2]

정부조직법

-정부조직법 제30조(외교부)

① 외교부장관은 외교,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외교, 국제관계 업무에 관한 조정, 조약 기타 국제협정, 재외국민의 보호ㆍ지원, 국제정세의 조사ㆍ분석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개정 2023. 3. 4.>

② 외교부에 차관보 1명을 둘 수 있다.

③ 재외동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외교부장관 소속으로 재외동포청을 둔다. <신설 2023. 3. 4.>

④ 재외동포청에 청장 1명과 차장 1명을 두되, 청장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외무공무원으로 보한다. <신설 2023. 3. 4.> [3]

역사

1948

7. 17.

정부조직법 제정ㆍ공포에 따라 외무부 출범

외교, 조약, 대외경제, 재외국민 보호, 국제정세 조사 및 대외홍보에 관한 사무 관장

1948

8. 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비롯한 우방 제국과 국교를 수립하고 재외공관 설치 시작


1963

6. 24.

외무공무원의 자질 향상 및 근무 능률 증진을 위해 외무공무원교육원 신설

1965

1. 5.

외무공무원교육원을 외교연구원으로 개편

1976

12. 31.

외교연구원을 외교안보연구원으로 개편

1998

2. 28.

통상교섭과 대외경제 관련 외교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해 외무부를 외교통상부로 개편하고 통상교섭본부를 신설

2002

12. 22.

정부중앙청사 남쪽에 지하 6층, 지상 18층의 단독청사를 완공하여 이전

2012

3. 1.

국립외교원 신설

2013

3. 23.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개편

2023

6. 5.

재외동포청 출범 [4]

조직

장관

장관정책보좌관

대변인, 부대변인 – 언론담당관, 정책홍보담당관

공공외교대사, 감사관 – 감사담당관, 감찰담당관

제1차관

차관보

기획조정실장, 조정기획관 – 기획재정담당관,운영지원담당관,혁신행정담당관,재외공관담당관

인사기획관

정보관리기획관 – 정보화담당관, 외교통신담당관, 외교정보보안담당관

의전장, 의전기획관 – 의전총괄담당관, 의전행사담당관, 외교사절담당관

아시아태평양국 – 심의관, 아태1과, 아태2과, 아태지역협력과

동북·중앙아시아국 – 심의관, 동북아1과, 동북아2과, 중앙아시아과

아세안국 – 심의관, 동남아1과, 동남아2과, 아세안협력과

북미국 – 심의관, 북미1과, 북미2과, 한미안보협력1과, 한미안보협력2과

중남미국 – 심의관, 남미과, 중미과, 카리브·중남미협력과

유럽국 – 심의관, 서유럽과, 중유럽과, 유라시아과

아프리카중동국 – 심의관, 중동1과, 중동2과, 아프리카1과, 아프리카2과

제2차관

글로벌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후변화대사

영사안전국 – 영사안전정책과, 재외국민보호과, 해외안전상황실, (영사콜센터), 여권과

국제기구·원자력국 – 협력관, 유엔과, 인권사회과, 원자력외교과

개발협력국 – 개발협력정책관, 국제개발의제과, 개발전략·민간협력과, 개발협력과, 다자협력·인도지원과

국제법률국 – 심의관, 조약과, 국제법규과, 영토해양과

공공문화외교국 – 공공외교총괄과, 유네스코과, 문화교류협력과, 정책공공외교과, 디지털공공외교과

국제경제국 – 다자경제기구과, 경제협정규범과, 지역경제기구과

양자경제외교국 – 심의관, 유럽경제외교과, 동아시아경제외교과, 북미경제외교과, 경제안보외교과

기후환경과학외교국 – 기후변화외교과, 녹색환경외교과, 국제과학기술규범과

외교전략정보본부

국제사이버협력대사

외교전략기획국 – 외교정책기획과,인태전략과

외교정보기획국 – 외교정보1과 ,외교정보2과

한반도정책국 – 북핵정책과, 대북정책협력과, 한반도미래정책과

국제안보국 – 국제안보·사이버협력과, 군축비확산과, 수출통제·제재과

국립외교원

경력교수

기획부 – 기획협력과, 외교역량평가과, 운영지원과

교수부 – 교육운영과, 직무연수과, 외국어교육과

외교안보연구소 – 국제안보통일연구부, 국제통상경제안보연구부, 글로벌거버넌스연구부, 인도태평양연구부, 북미유럽연구부, 전략지역연구부, (중국연구센터)(일본연구센터)(아세안.인도연구센터)(외교사연구센터)(국제법센터)(지정학연구센터)연구행정과,도서관)

그 외 기관

외청 – 재외동포청

산하기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 한·아프리카재단

재외공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