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합놀이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태그: 수동 되돌리기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설치 현황 == | == 설치 현황 == | ||
놀이터라는 놀이 공간은 196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Lee, Bae, Maeng, & Kim, 2017)<ref>Lee, Y. B., Bae, Y. H., Maeng, K. D., & Kim, Y. G. (2017). A case study of KKumtle-Kkumtle playground in Seoul children’s grand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2), 101-108.</ref>, 2021년 말 기준 전국의 놀이터는 7만 8,35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어린이 놀이시설의 전체 52%는 주택단지에, 14%는 도시공원, 11%는 어린이집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체 놀이터 시설 중 실외 어린이 놀이시설의 비율은 94%를 차지하고 있다(Lee, Song, & Kang, 2022)<ref>Lee, S. M., Song, Y. J., & Kang, H. Mi. (2022). Where are children’s play facilities located and how many | |||
are installed?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63, 1-13.</ref>.<br> | |||
통합놀이터는 2016년, 서울 어린이대공원 내에 최초로 조성되었으며, 행정안전부의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놀이터는 23여 곳으로 전체 놀이터의 약 0.03%에 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 통합놀이터의 필요성 == | == 통합놀이터의 필요성 == | ||
== 통합놀이터의 주요 구성 요소 == | == 통합놀이터의 주요 구성 요소 == |
2024년 11월 5일 (화) 14:46 판
정의 및 개념
통합놀이터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장애놀이터에 대한 개념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름다운 재단(2015)[1]에 따르면, 무장애는 '장벽이 없는(barrier free)'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장벽이란 크게 '물리적 장벽', '태도의 장벽', '정보의 장벽'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물리적 장벽'은 물리적인 환경으로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활동을 가로막는 계단, 턱, 좁은 도로, 화장실 등을 의미한다. 두 번째, '태도의 장벽'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 등 사회구성원이 장애인에 대해 지닌 태도를 의미한다. 세 번째, '정보의 장벽'은 정보화 시대의 발전으로 인해 경험하는 장애인들의 정보 접근의 어려움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장애 환경은 이와 같은 세 가지 장벽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 및 생활 환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무장애의 목적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무장애놀이터는 위 세 가지 장벽을 제거하여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도 놀이터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놀이터이다.
통합놀이터는 장애의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연령과 성별의 아이들과 가족이 함께 놀이터에 접근하고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통합은 앞서 설명한 무장애보다 더욱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으로써, 공간적 통합, 세대적 통합, 인종과 민족의 통합, 장애와 비장애의 통합 등 다양한 통합의 의미를 지니고 장애와 비장애의 사회적 통합을 추구한다. 통합놀이터는 '장애인용 놀이터가 아닌 장애어린이와 비장애어린이가 함께 놀고 즐길 수 있는 놀이터', '어린이뿐 아니라 장애어린이와 동행한 가족, 비장애어린이와 동행한 장애인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터', '저학년 어린이와 유아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 '놀이터의 놀이기구, 놀이시설뿐 아니라 전체 놀이터 공간에 대한 접근 보장을 지향하는 놀이터', '놀이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재미, 호기심, 모험심, 다양한 참여 활동을 할 수 있는 놀이터' 등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설치 현황
놀이터라는 놀이 공간은 196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Lee, Bae, Maeng, & Kim, 2017)[2], 2021년 말 기준 전국의 놀이터는 7만 8,35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어린이 놀이시설의 전체 52%는 주택단지에, 14%는 도시공원, 11%는 어린이집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체 놀이터 시설 중 실외 어린이 놀이시설의 비율은 94%를 차지하고 있다(Lee, Song, & Kang, 2022)[3].
통합놀이터는 2016년, 서울 어린이대공원 내에 최초로 조성되었으며, 행정안전부의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놀이터는 23여 곳으로 전체 놀이터의 약 0.03%에 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합놀이터의 필요성
통합놀이터의 주요 구성 요소
통합놀이터의 효과 및 기대
통합놀이터의 문제점
개선 방안
결론
- ↑ 아름다운재단 (2015). 무장애통합놀이터 매뉴얼.
- ↑ Lee, Y. B., Bae, Y. H., Maeng, K. D., & Kim, Y. G. (2017). A case study of KKumtle-Kkumtle playground in Seoul children’s grand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2), 101-108.
- ↑ Lee, S. M., Song, Y. J., & Kang, H. Mi. (2022). Where are children’s play facilities located and how many are installed?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63,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