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Public Policy Wiki
수정스탈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5일 (일) 20:55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개념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실업급여, 복지상담, 신용회복상담 등 고용과 복지 관련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기관이다.[1] 과거에는 각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이 흩어져 있어 이용자가 여러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도입으로 인해 이용자가 한 곳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특징

  • 다양한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 실업급여, 복지상담, 신용회복상담 등 고용과 복지 관련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원스톱 서비스 제공: 이용자가 한 번만 방문하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 복합적인 어려움에 대한 통합 지원: 실업, 복지, 신용 문제 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참여기관이 협력하여 통합적으로 지원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구성 및 운영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2013년 부터 고용센터(고용부), 일자리센터(자치단체), 복지지원팀(복지부, 자치단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여가부), 서민금융센터(금융위), 제대군인지원센터(보훈처) 등 다양한 참여기관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제공 서비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실업급여
  • 복지상담
  • 신용회복상담
  • 취업상담
  • 구직활동 지원
  • 직업능력개발훈련
  • 자활지원
  • 주거지원
  • 의료지원
  • 교육지원
  • 양육지원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이용절차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한 장소에서 고용과 복지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해당 창구에서 상담을 받다가 다른 부처나 기관 등의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으면 해당 기관의 창구로 연계되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복합적인 어려움이 있는 경우, 참여기관 합동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의의

  • 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여러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여러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 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참여기관 간 협력을 통해, 이용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복합적인 어려움에 대한 지원 강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용자들을 위해, 참여기관 합동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원을 강화하였다.

연구동향

안경섭. (2016)[2]은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설치기준 우선순위 비교: 상대적 가중치 도출과 적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는 고용-복지 연계를 위한 고용복지+센터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용복지+센터 설치기준의 주요 이슈를 진단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설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재완, & 박은형. (2017)[3]은 원스톱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분석: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연계서비스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한 바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원스톱 서비스는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실제 원스톱 서비스 이용경험이 그 효과를 강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김정훈, 이창율, & 고명철. (2018)[4]은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남양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양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고용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연계 구조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밀도가 낮고 민간 기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 민간 교육훈련기관 및 사회적경제 단체와의 교류 확대,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김세운, 조동익, & 김상태. (2021)[5]는 고용-복지 서비스 연계의 조건: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연계 서비스에 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통합서비스는 민원인의 수요 부족, 상담사의 업무처리 한계, 기관 간 경계로 인해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실제 연계 수요가 있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상담사의 권한과 자율성을 강화하고, 통합적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안경섭. (2016).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설치기준 우선순위 비교: 상대적 가중치 도출과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3), 225-252.
  3. 이재완, & 박은형. (2017). 원스톱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분석: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연계서비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4), 215-239.
  4. 김정훈, 이창율, & 고명철. (2018).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남양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4), 81-111.
  5. 김세운, 조동익, & 김상태. (2021). 고용-복지 서비스 연계의 조건: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연계 서비스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55(1),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