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농촌용수개발사업

Public Policy Wiki
Sihyunlov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11일 (화) 13:46 판 (→‎내용[4])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및 목적[1]

가뭄상습지역에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을 설치하여 농어촌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농업·생활·환경용수 등 다목적 용수를 확보·공급하는 사업

목적

  • 다목적 용수개발: 수리시설 신규 설치 또는 증설
  • 체계재편: 기존 수리시설의 연계를 통해 지역간 물수급 불균형 해소
  • 논범용화 용수공급체계추축: 시설재배에 필요한 양질의 맞춤형 용수를 사계절 공급

배경[2]

현재 및 미래 기간별 가뭄위험도 평가결과[3]
  • 수리시설 부족으로 상습적인 물부족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의 존재
  • 기후변화로 집중호우와 지역적 강수 편차 등 강수 불균형이 빈번히 발생
  •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물 증발량 증가가 전망되어 전지구적으로 가뭄발생 심화가 우려됨

내용[4]

  • 관련법령: 농어촌정비법
  • 사업내용: 물부족 지역(50ha 이상 농경지)에 농업·생활·환경용수 공급기반 구축을 위해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을 설치하는 사업
  • 지원조건: 국비 100% (단, 제주농업용수통합광역화와 논범용화용수공급체계구축의 경우 국비와 지방비 8:2)
  • 시행주체: 한국농어촌공사 (단, 제주농업용수통합광역화는 제주특별자치도, 논범용화용수공급체계구축은 시장·군수)
  • 사업절차: 예정지조사(시·도) → 기본조사지구 선정(농식품부) → 기본계획 수립(농식품부) → 신규착수지구 선정(농식품부) → 세부설계 및 시행계획 수립(시·도) → 공사 착수(농어촌공사) → 준공
  • 최근 예산(5년간, 단위: 백만원): 2020년 265,440 → 2021년 251,066 → 2022년 238,500 → 2023년 206,700 → 2024년 166,522[5]
  • 2024년 3월 20일 농촌용수개발사업 신규착수 9개 지구와 사업성 검토를 위한 기본조사 10개 지구 선정
  • 2024년 다목적농촌용수개발사업 지구 현황[6]
시도 지구명 시군 구분 착공 준공 총사업비 ‘23까지 '24예산 ‘25이후 비고
시·도계 44지구         2,094,626 837,769 203,830 1,054,668
인천 1지구         33,656 2,134 3,000 28,522  
  매음 강화 착공 2024 2028 33,656 2,134 3,000 28,522
경기 4지구         294,756 95,599 32,000 167,157  
  점동 여주 착공 2020 2026 161,670 79,652 16,300 65,718  
  북내 여주 착공 2023 2026 46,228 9,222 7,200 29,806  
  민북 파주 착공 2023 2027 43,113 6,725 8,200 28,188
개군대신 양평 신규 43,745 0 300 43,445 설계중
강원 4지구         129,864 37,312 9,655 82,897  
  토성 고성 착공 2020 2024 27,330 24,035 3,295 -  
  율리 철원 착공 2022 2027 48,954 11,635 4,000 33,319  
  서상 춘천 착공 2024 2027 14,700 1,642 2,060 10,998
강릉 강릉 신규 38,800 - 300 38,580 설계중
충북 4지구         148,003 46,001 15,681 44,521  
  대덕 청주 계속 2019 2024 27,557 24,376 3,181 -  
  앙성감곡 충주 계속 2022 2025 45,244 21,008 11,700 12,536  
  가덕 청주 계속     33,402 617 800 31,985 설계중
동부 충주 신규 41,800 - 300 41,500 설계중
충남 9지구         556,451 127,987 25,235 403,229  
  공주대룡 공주 계속 2014 2024 44,297 42,740 1,557 -  
  왕승 천안 계속 2016 2026 56,347 38,461 2,200 15,686  
  대술신양 예산 계속 2021 2024 30,625 25,064 5,561 -  
  시전 청양 계속 2024 2028 23,867 5,663 4,000 14,204
  덕곡 공주 계속 2023 2029 42,194 12,375 6,200 23,619
  계실 공주 계속 2024 2030 22,042 800 3,000 18,242
  광석 논산 계속     37,300 797 800 35,703 설계중
  판교 서천 계속     252,682 2,087 1,617 248,978 설계중
탄천 공주 신규 47,097 - 300 46,797 설계중
전북 4지구         158,189 110,041 14,151 33,997  
  장선 완주 계속 2005 2027 101,649 86,996 4,200 10,453  
  금강 남원 계속 2020 2024 19,539 16,988 2,551 -  
  낭산 익산 계속 2023 2028 26,857 3,838 4,000 19,019
  상정 정읍 계속 2024 2027 10,144 2,219 3,400 4,525
전남 7지구         194,741 87,602 19,200 87,939  
  월남 강진 계속 2019 2026 63,581 46,480 5,200 11,901  
  염백1 영광 계속 2021 2025 20,504 17,900 1,600 1,004  
  중산 구례 계속     21,263 772 - 20,491 설계중
  팔금 신안 계속 2021 2026 29,941 16,841 4,200 8,900  
  상금 장흥 계속 2024 2028 36,867 3,351 4,700 28,816
  풍도 고흥 계속 2024 2026 6,455 1,747 2,700 2,008
  석곡 곡성 신규     16,130 511 800 14,819 설계중
경북 6지구         264,654 107,618 29,100 127,936  
  광천 김천 계속 2019 2025 47,953 37,280 5,200 5,473  
  효동 경주 계속 2019 2025 46,484 36,477 4,700 5,307  
  의성동부 의성 계속 2021 2025 49,497 25,591 11,800 12,106  
  장기 포항 계속 2024 2027 23,325 5,224 1,700 16,401
  용포 상주 계속 2024 2030 48,075 1,246 1,500 45,329
  서벽 봉화 계속 2024 2027 49,320 1,800 4,200 43,320
경남 5지구         314,312 182,234 17,600 114,478  
  마동 고성 계속 2002 2027 188,603 145,662 6,200 36,741
  마곡 사천 계속 2019 2026 31,402 21,281 3,200 6,921
  고품 합천 계속 2022 2025 16,837 8,488 3,200 5,149
  청도 밀양 계속 2023 2029 39,710 6,129 4,200 29,381
  특리 산청 계속     37,760 674 800 36,286 설계중

연구동향

김수진 외(2021)는 금강지구 농업종합개발사업 배후지인 충청남도 서부 서천군 판교면 등 7개 면과 부여군 옥산면에 위치한 가뭄 상습 농경지인 ‘판교지구’에의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편에 따른 정책성 평가를 실시하여 이후 본격적 예비타당성조사의 판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사업추진여건, 정책효과, 특수평가 등 3개 부문으로 구성된 정책성 평가를 위해 일자리 효과, 생활여건 영향, 환경성, 안전성을 평가하는 총 16개 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일자리효과는 직접고용 총 2,821명(6년간), 간접고용 연간 355∼387명으로 나타났다. 영농시간 단축 효과는 가구당 22.6∼84.0시간, 농민 진료비 절감은 12.8억원으로 나타났다. 환경용수의 경우 단위면적당 361.7mm 추가 공급이 예상되고, 부사호의 염도 개선 뿐 만 아니라 수질 개선 효과도 기대되며, 연간 2.5∼2.7건 농작업재해 저감효과 등의 정책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도진(2008)은 남한강와 복하천이 인접해 있으나 용수시설 미흡으로 가뭄시 안정적 영농에 어려움이 있는 이천시와 여주군을 대상으로 한 농업용수개발사업을 분석한다. 사업의 기대효과와 더불어, 사업시행시 농업생산성 향상, 토지이용률 제고, 토지생산성 증대 등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는지 실증검정하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에 따른 비용-편익분석을 기본 방법론으로 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고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분석의 차별화를 꾀한 논문이다.

참고문헌

김수진·배승종·유승환·김윤형·윤성은·김정훈. (2021).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정책효과 분석: 판교지구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7(1), 21-28.

농림축산식품부. (2023a). 기후변화로 인한 농촌 물부족, 농촌용수개발로 극복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 농업기반과 보도자료 (2023년 3월 24일).

농림축산식품부. (2023b). 2023년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반과 사전정보공표 기초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23c). 2023년 다목적농촌용수개발 사업지구 현황.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반과 사전정보공표 기초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24). 미래 가뭄위험도 반영, 농촌물부족에 대비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 농업기반과 보도자료 (2024년 3월 20일).

정도진. (2008). 농업용수개발의 경제성 분석: 이천시와 여주군 사례. 농촌경제, 31(1), 113-136.

각주

  1. 농림축산식품부(2023a, 2024)
  2. 농림축산식품부(2024)
  3. 농림축산식품부(2024)에서 재인용.
  4. 농림축산식품부(2024)
  5. 농림축산식품부(2023b)
  6. 농림축산식품부(2023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