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동기 이론

Public Policy Wiki
Marcella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0월 31일 (목) 14:29 판 (→‎내용이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내용이론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무엇"을 다루며 개인의 필요, 그리고 목표와 관련이 있다.[1]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2]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구에 대해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으로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존중 욕구, 자기실현 욕구의 5개로 구분하였다.

알더퍼의 ERG 이론[3]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욕구계층론을 현실적으로 설명하고자 등장하였는데 욕구의 단계를 욕구 충족을 위한 행동의 추상성의 정도에 따라 생존욕구, 관계욕구 그리고 성장욕구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2 가지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매슬로우의 이론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맥그리거의 X-Y이론[4]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을 X형 인간과 Y형 인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인간형에 따라 인간에 대한 관리전략이 상이하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5]

-X이론: 방향과 통제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으로 명확하게 지정된 작업과 면밀한 감독을 필요로 한다.

-Y이론: 개인과 조직의 목표 통합으로 보다 더 협력적 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

허츠버그의 2요인이론[6]

동기 - 위생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으로, 인간의 욕구를 동기요인(Motivators) 과 위생요인 (Hygiene Factors) 각 요인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동기요인: 직무를 실제로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며 직무의 내재적 특성을 반영한다. 개인의 내적 성장을 추구하며 개인의 만족을 증가시켜주는 욕구로 만족요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ex) 인정, 성취, 책임의 증대 , 직무 자체, 승진 등

-위생요인: 환경적인 특성 또는 직무가 수행되는 상황과 관련되며 직무의 외재적 특성을 반영한다. 개인의 불만족을 방지하려는 욕구로 불만족 요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ex) 직무 환경과 관련된 복지 정책, 감독, 급여, 대인관계 등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7]

-성취욕구: 독립적으로 물건, 아이디어 및 다른 사람들을 스스로 정복하고 자신의 재능을 발휘함으로써 자신의 자존감을 높이는 욕구(Wallace, Goldstein 및 Nathan, 1987[8]).

-친교욕구: 사랑, 소속 및 관계에 대한 필요로써 사람들은 친구들과의 강한 욕구를 가지며 사회적 그룹에 속하고 싶어하며 인기 있는 사람으로 여겨지길 원하는 것으로 리더십 직책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Michael A. Hitt, C. Chet Miller, 2006[9]).

-권력욕구: 자신의 일 또는 다른 사람들의 일을 통제하고 싶어하는 욕구로 리더로서 성공하고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강한 지도력과 성취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고 영향력을 행사하길 원한다(Michael A. Hitt, C. Chet Miller, 2006[9]).

과정이론

-동기부여의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집중하기보다는 인간이 따르는 심리적, 행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10]

브룸의 기대이론[11]

-기대감: 개인이 노력한 행위에 대해 의도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는 주관적 확률

-수단성: 성과의 단계를 구분하여 1차수준의 성과가 2차수준의 성과에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주관적 확률

-유의성: 개인이 어떤 목표, 성과 그리고 보상 등에 가지는 주관적 선호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인간관계에 있어서 나의 투입과 성과의 비율이 타인과 비교하였을 때 같을 때가 형평한 것으로 이 경우 사람들은 성과에 대한 분배가 공정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지각하여 분배 된 성과에 만족한다는 것이다.[12]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가 쉬운 목표 또는 모호한 목표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성과 달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13]

같이 보기

대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