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집중근무제
개념적 정의
생산성 향상과 구성원들이 삶을 보다 융통성 있고 윤택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루에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 대신에 일주일 동안 일하는 날짜는 더 적은 근무방식을 의미한다. 4/40 스케줄로 일컬어지는데 주당 근무일수를 줄이는 대신 근로자들이 하루 10시간씩 4일 근무하고 추가 휴일을 하루 더 가질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는 제도를 의미한다. 근로자의 만족도 향상과 생산성 증대, 에너지 절약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최근 여러 나라와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거나 시행하고 있는 추세다. 주 4일 근무제, 주 4.5일 근무제 등의 키워드로 제시되고 있는 개념이다.
[HRD 용어사전, 2010. 9. 6., (사)한국기업교육학회]
근거법령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 제10조(근무시간 등의 변경)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직무의 성질, 지역 또는 기관의 특수성에 따라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중앙행정기관 또는 그 소속 기관(이하 이 조에서 “소속 행정기관”이라 한다)의 공무원에 대하여 제9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통상의 근무시간 또는 근무일을 변경하여 근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변경하려는 내용과 이유를 미리 인사혁신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2014. 11. 19.>
② 공무원은 소속 행정기관의 장에게 제9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통상의 근무시간ㆍ근무일을 변경하는 근무 또는 제9조제4항에 따른 온라인 원격근무(이하 “유연근무”라 한다)를 신청할 수 있다.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8. 2. 29., 2010. 1. 18.>
2. “가족친화 직장환경”이란 근로자가 일과 가정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직장환경을 말한다.
3. “가족친화제도”란 다음 각 목의 제도를 말한다.
가. 탄력적 근무제도 :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제, 시간제 근무 등
관련기사
1. 공직사회도 4.5일 근무제... 정선군 실험 관심 [MBC 강원 영동]
https://www.mbceg.co.kr/post/117232
2. 주 4일제와 주 4.5일제, 일과 삶의 균형 맞출 수 있나 [시사매거진]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7681
3. 月火水木 일하고 金土日 쉰다… 지자체 ‘주 4일 근무’ 실험 [조선 비즈]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4/09/18/3EQCBR7CMJCOPJVEGZH4R4WTZU/
4. 주 4일제 실험, 아이슬란드는 성공-프랑스는 실패…무엇이 달랐나 [아시아 경제]
https://asiae.co.kr/article/2022062306584753181
5. The truth about compressed workweeks, according to people who’ve done it [Atlassian]
https://www.atlassian.com/blog/productivity/compressed-work-week-how-to
외국사례
1. 아이슬란드
실험 기간: 2015~2019년
근로 형태: 주 4일 근무제, 주당 근로시간 40시간에서 35~36시간으로 단축, 임금 유지
성과: 근무시간을 줄이면서도 생산성 유지 및 증가. 근로자의 스트레스 감소, 직무 만족도 및 삶의 균형 개선.
특징적 조치: 오후 3시 이후 회의 금지, 불필요한 회의 및 휴식 시간 단축, 디지털 서비스 도입으로 효율성 강화.
결과: 실험 성공 후 공무원들의 근무 시간이 26~35시간으로 줄어듦.
2. 영국 (럭스 마케팅 대행사)
실험 시작: 2020년 1월
근로 형태: 주 4일 근무제 도입, 교대근무로 근무조 구성, 임금 유지.
성과: 실험 기간 중 매출 30% 증가, 생산성 24% 증가.
주요 발언: 럭스 공동 창업자 "결과물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 2년 간 실험 후 주 4일 근무제 정식 도입.
3. 일본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도입 시기: 2020년 12월
근로 형태: 선택형 주 4일제, 근로시간 단축과 함께 임금 20% 감축.
특징: 임금 감축이 수반되지만 근무 일수 조정 가능, 필요 시 주 5일 근무제로 복귀 가능.
반응: 78.5%가 임금 감축형 주 4일제를 원치 않는다고 답변.
비판: 구조조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악용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
4. 일본 (조조타운)
도입 시기: 2022년 4월
근로 형태: 주 5일에서 주 4일로 변경, 하루 근무시간을 8시간에서 10시간으로 연장, 임금 유지.
성과: 직원들의 실질적 추가 근무시간이 63% 감소하고 생산성 향상.
비판: 하루 근무시간 연장으로 피로 증가 및 삶의 질 악화 우려.
전문가 의견: 업무량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
5. 프랑스
도입 시기: 1998년
근로 형태: 주 39시간에서 35시간으로 단축, 초과근무 연간 130시간 제한.
목표: 실업률 감소 (추가 고용 촉진 기대).
성과: 경제적 성과 미흡, 실업률 개선 실패, 시간제 계약직 증가.
비판: 기업들이 법적 허점을 이용해 주 4일 근무제를 제대로 운영하지 않음.
연구분류
1. 생산성 향상 여부
집중근무제의 주된 연구 주제는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생산성 개선효과에 관한 분석이 주이며,
특정 직무에서만 집중근무제 도입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 또한 진행.
2. 직원 건강과 심리적 복지
근로시간의 효율적인 압축을 통한 건강과 심리적 복지 개선 효과연구.
집중근무제를 시행한 경우, 번 아웃 감소와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영향 분석.
3. Work-life balance (워라밸) 연구
집중근무제가 근로자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경제, 환경적 효과
집중근무제를 통해 비용 절감 및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
통근 비용, 사무실 운영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 분석.
참고문헌
남선우. (2024). 영국 :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실험과 전망. 국제노동브리프, 22(3), 41-50.
이연우. (2019).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른 주 52시간 대응 사례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Crosby, Rick; Richardson, Matt; Nowicki, Stephen; and Doan, Ly, (2008). "Policy analysis: Compressed workweek" UNLV Theses, Dissertations, Professional Papers, and Capstones. 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