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사회적 자본

Public Policy Wiki
NaLe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7일 (일) 12:37 판 (단순 추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Coleman

사회적 자본은 주로 신뢰관계 형성에 따른 거래비용의 감소와 효용 극대화로 정의된다.

Bourdieu

상호 면식과 인식이 제도화되고 지속화된 관계망을 소유하는현실적, 잠재적 집합이며, 집단적으로 소유된 자본을 소속원에게 신용으로 보증해주는 역할

부르디외는 사회적 자본 또한 경제적 자본과 마찬가지로 불평등과 착취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Putnam

참여자들이 협력하도록 함으로써 공유한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성취하도록 만드는 신뢰, 규범, 연결망과 같은 사회조직의 특질

구체적인 지표로 자발적인 결사체 참여, 투표참여 등을 꼽았다.

집단행동의 딜레마를 극복하고 공공선의 구현을 용이하게 해주는 집단적 신뢰관계를 의미한다.


이탈리아 지방정부 연구에서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의 차이점에 대해 경제적 요소 보다는 시민참여와 같은 사회적 자본이 주요 요인이라고 보았다.

Fukuyama

사회적 자본이란 신뢰가 사회 전체 혹은 사회의 특정부분에 널리 퍼지면서 생기는 지역사회의 능력

국가의 복지 수준과 경쟁력은 사회에 내재하는 신뢰수준이 결정함

한국사회를 저신뢰 사회로 규정하고, 한국사회의 만연한 불신은 사회적 비효율성의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

OECD

사회적 자본이란 규범이나 가치관을 공유하고, 서로 이해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로서, 집단 내부 및 집단 간 협력관계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

주요 속성

  1. 자발적 네트워크의 존재
  2. 상호 신뢰
  3. 호혜주의
  4. 친사회적 사회규범의 존재
  5. 공동체주의 지향성
  6. 정치경제 발전의 기반
  7. 갈등관리에 있어 협동과 타협, 조정의 전제
  8. 정부신뢰

한계

  1. 경제자본에 비해 형성과정이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특징이 있음
  2. 집단 내부의 폐쇄적인 네트워크를 조성할 경우 다른 집단과 관계에 있어서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
  3. 동조성을 요구하면서 개인 행동이나 사적 선택을 제약할 수 있음
  4. 단기간에 형성되기가 어려움

같이 보기

대문으로

참고문헌

이재열(2006),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신용한(2023), 신용한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