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1. 교육부 정책현황
가. 기능별 예산 현황
- <교육부 최근 5년(2021-2025)간 예산 총괄표>
- (억 원 : %)
- <교육부 최근 5년(2021-2025)간 예산 총괄표>
구분 | ‘21년 예산 | ‘22년 예산 | ‘23년 예산 | ‘24년 예산 | ‘25년 예산 | ||
본예산 | 제 1회 추경 | 제 2회 추경 | |||||
□ 총지출 | 764,644 | 766,290 | 831,330 | 896,251 | 1,019,978 | 957,888 | 1,048,767 |
◦ 예산 | 708,190 | 709,836 | 773,789 | 838,149 | 959,936 | 896,146 | |
◦ 기금 | 56,454 | 56,454 | 57,540 | 58,101 | 60,042 | 61,742 | |
【교육분야】 | 709,706 | 711,352 | 775,308 | 838,983 | 960,157 | 895,665 | 981,906 |
▪ 유아 및 초·중등교육 | 586,374 | 587,351 | 651,009 | 707,300 | 809,119 | 737,290 | 813,807 |
(지방교육재정교부금) | 532,300 | 532,300 | 595,957 | 650,595 | 757,606 | 688,732 | 722,794 |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 39,167 | 39,167 | 39,167 | 38,290 | 34,700 | 32,106 | |
▪ 고등교육 | 111,455 | 112,123 | 112,125 | 119,008 | 135,134 | 144,772 | 155,574 |
▪ 평생·직업교육 | 10,533 | 10,533 | 10,829 | 11,315 | 14,406 | 12,162 | 11,023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 - | - | - | - | 93,773 | 150,411 | 158,718 |
▪ 교육일반 | 1,343 | 1,343 | 1,343 | 1,358 | 1,495 | 1,440 | 1,501 |
【사회복지분야】 | 54,938 | 54,938 | 56,022 | 57,267 | 59,821 | 62,223 | 65,661 |
▪ 기초생활보장 | 1,030 | 1,030 | 1,030 | 1,221 | 1,573 | 1,603 | 1,652 |
▪ 공적연금 | 53,907 | 53,907 | 54,992 | 56,045 | 58,248 | 60,619 | 64,010 |
【보건분야】 | - | - | - | - | - | - | 1,201 |
※ 총지출 = 총계(일반회계 + 특별회계 + 기금) - 내부거래 – 보전지출
2025년도 예산 주요 증액사업
1. 청년의 미래 도약을 뒷받침하는 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전년 대비 +5,929억원)
- 국가장학금 대상(9구간) 확대 100만명 → 150만명(+50만명) +3,878억원
- 근로장학금 지원 확대 14만명 → 20만명(+6만명) +1,667억원
- 기초·차상위 대상 주거안정장학금 월20만원 신설 +344억원
- 희망사다리 장학금 등 (3만명→3.15만명) +40억원
2. 의대 증원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의대 교육 선진화 4,879억원
- 국립대학 시설·기자재 지원 1,508억원
- 국립대 교수인건비 지원 260억원
- 국립대 병원 지원 829억원
- 의대 교육혁신지원 551억원
- 사립대 의대 교육환경 개선 융자·이자지원 1,728억원
3.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본격 추진을 위한 2조원 편성 (’25년 2조 10억원. 전년 대비 +7,985억원)
- 지역-대학 동반성장을 위해 대학재정지원 체계를 재구조화*하여 지역주도의 대학지원체계 2조원 규모로 본격 추진
- *기존 대학재정지원 사업 이관통합 등
4. 국가책임 교육·돌봄 실현을 위한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지원 (전년 대비 +320억원)
- 부처 협업형 늘봄 프로그램 개발 지원 108억원
- ※ 16개 타부처·청 예산에 반영, 교육부 협업예산 총괄
- 지역협력기반 늘봄 프로그램 지원 212억원
- ※ RISE체계 내 예산반영
나. 정책방향 및 주요사업 (2025년도 재정운용 방향)
1. 유아·초·중등교육 부문
- 디지털교육혁신과 국가책임교육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생들의 핵심 역량을 함양한다.
재정 운용 전략
(1) 디지털 기반·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
- 미래 인재 양성
- ∙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자기주도적 학생 양성
-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보급 및 지속적 관리
- ∙ 정보교육 강화와 교원 연수·컨설팅으로 융합인재 양성
(2) 특수교육 및 학생 건강 증진 지원
- 특수교육 강화
- ∙ 장애학생,학부모,교원 대상 특수교육 지원으로 교육 질 향상
- 학생 정신건강 지원
- ∙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운영으로 교육자료·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제공
(3) 디지털 교육 기반 강화
- ∙ 초중등 ICT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 ∙ 학술정보 공유·유통과 교육행정·재정서비스 선진화
- ∙ 안전한 사이버 교육 환경 구축
(4) 수요자 중심 보육서비스 지원
- 양질의 보육환경 조성
- ∙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과 보육교사 전문성 강화
- 부모 부담 완화
- ∙ 영유아보육료·시간제 보육 지원으로 안심 보육서비스 제공
(5) 스마트 학습환경 전환
- ∙ 디지털 전환 시대 대비
- ∙ 스마트 학습환경 구축 및 미래교육 대비 학교시설 인프라 지원
(6) 국립학교 역량 강화
- ∙ 국립대학부설학교 및 특수학교 운영 예산 지원
- ∙ 학생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기반 마련
주요 사업
-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 ||
구분 | 성과지표수 | 예산 |
Ⅰ-1 디지털 기반·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자기주도적 미래인재 양성을 지원한다.
(학교교육과정 운영 지원) |
1개 | 19,010 |
Ⅰ-2 특수교육 지원 및 학생건강증진 기반 마련을 통해 학생지원의 질적 개선을 도모한다.
(학생지원) |
1개 | 32,830 |
Ⅰ-3 디지털 교육 기반 강화를 통해 학교교육을 지원한다.
(학교교육 지원) |
1개 | 45,821 |
Ⅰ-4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지원을 통해 양질의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미래 교육을 대비한 스마트 학습환경 전환 지원을 강화한다.
(지방교육정책 지원) |
2개 | 5,660,614 |
Ⅰ-5 국립학교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을 통해 국립학교의 역량을 강화한다.
(국립학교 운영) |
1개 | 61,635 |
2. 고등교육 부문
- 고등교육의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공공성과 경쟁력을 강화한다.
재정 운용 전략
(1) 대학 평가체제 개편 및 대학 경쟁력 강화
- 대학 자율적 발전과 경쟁력 강화
- ∙ 대학 평가체제를 개편하여 자율역량과 재정지원 확대
- ∙ 국립대 간 상생협력 체제 구축 및 공적 역할 강화 지원
- ∙ 고등교육 프로그램 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 기관 역량 강화 및 교육국제화 지원
(2)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제 개편
-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지원
- ∙ 지자체 주도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지원
- ∙ 맞춤형 교육 발전 및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
(3) 인문사회·이공분야 학술연구 역량 제고
- 학술연구 진흥 및 역사 왜곡 대응
- ∙ 창의성을 고려한 맞춤형 연구 지원으로 연구경쟁력 강화
- ∙ 학술지 질적 수준 향상 및 연구성과 국제화 지원
- ∙ 연구문화 정착 및 학술연구 인프라 강화
- ∙ 동북아 역사 왜곡 대응 및 한국사 연구 기반 구축
(4)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는 고등교육 기회 보장
- ∙ 학자금 지원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누구나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
(5) 국립대학 교육경쟁력 강화
- 맞춤형 재정 지원
- ∙ 국립대학 시설 개선 및 맞춤화된 기관 운영 지원
(6) 사립학교 교육환경 개선 및 폐교대학 청산
- 사립학교와 폐교대학 지원 강화
- ∙ 사립대학 교육시설 개선 및 재정 여건 개선
- ∙ 행복기숙사 건립 및 대학생 거주 환경 개선
- ∙ 폐교대학 청산 절차를 위한 자금 융자 지원
주요 사업
-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 ||
구분 | 성과지표수 | 예산 |
Ⅱ-1. 대학의 기능개선 및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한 미래 교육역량 및 현장성을 강화한다.
(대학교육 역량 강화) |
1개 | 220,984 |
Ⅱ-2. 재정지원확대 등을 통한 대학혁신 및 구조 개혁지원으로 대학의 자율적 경쟁력을 제고한다.
(대학 자율역량 강화) |
1개 | 3,410,468 |
Ⅱ-3. 인문사회 및 이공분야 연구역량 강화와 연구자 육성을제고하고, 학술연구진흥기반, 역사 왜곡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학술연구역량 강화) |
1개 | 1,042,854 |
Ⅱ-4. 맞춤 형국 가정학 제도기반조성을 통해 경제적ㅜ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기회를 장할 수 있도록 학비 부담을 낮춘다.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
1개 | 5,721,292 |
Ⅱ-5. 교육기반지원, 물리적 환경개선 등을 통해 국립대의 공공성 및 경쟁력을 강화한다..
(국립대학운영지원) |
1개 | 2,865,97 |
Ⅱ-6. 사립학교교육 시설 확충, 자금융자지원으로대학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대학교육역량강화(기금, 융자)) |
1개 | 248,000 |
3. 평생·직업·국제화 교육 부문
- 평생교육혁신과 국제교육 협력 기반 조성으로, 평생학습역량과 국제화역량을 강화한다
재정 운용 전략
(1) 진로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활성화
- 글로벌 인재 발굴 및 육성
- ∙ 글로벌 인재포럼 운영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발굴 및 육성 방안 모색
- ∙ 대한민국 인재상을 통한 청년 인재 발굴·지원
- ∙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를 통한 공공기관의 투자 촉진
- 체계적 진로교육 제공
- ∙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으로 체계적 진로교육 및 대국민 종합서비스 제공
(2)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기반 확충
- 평생학습 기회 확대
- ∙ 국민 누구나 원하는 시기에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 마련
- ∙ 취약계층 및 성인학습자에게 재도약 기회 제공
-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 ∙ 생애단계별·계층별 맞춤형 평생학습 실현
- ∙ 지역 주민 요구를 반영한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3) 국제협력을 통한 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교육협력 강화
- ∙ 양자·다자간 교육협력 및 세계시민교육 확산
- ∙ 개도국 교육 ODA 지원 및 재외국민 교육 강화
- 한국교육 우수성 홍보
- ∙ 해외 한국어 보급 확대를 통해 한국교육의 우수성을 세계로 전파
(4) 글로벌 인재양성 및 인적교류 지원
- 해외 인재 유치 및 지원
- ∙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사업 및 외국인 유학생 유치
-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운영으로 해외 인재 유치
- 국내 인재 해외 진출 지원
- ∙ 국비 유학 및 국제교육 교류를 통한 국내 인재의 글로벌 진출 지원
(5) 산학협력을 통한 직업교육 경쟁력 강화
- 직업교육 활성화
- ∙ 고교 기술·기능 인재의 역량 강화 및 고졸 취업 활성화 지원
- ∙ 산학연 협력으로 고등교육의 사회 수요 맞춤형 발전 도모
(6) 데이터 기반 정책수립 및 국제교육 정보화 협력
- 디지털 교육 선도
- ∙ 디지털 교육 경험·노하우 전수로 글로벌 지식 격차 해소 기여
- 정책 및 연구 지원
- ∙ 교육정보 통계자료 수집·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 활성화
주요 사업
-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 ||
구분 | 성과지표수 | 예산 |
Ⅲ-1. 인재양성‧인적자원개발 관련 의제발굴 및 정책 활성화를 통해 미래인재 양성정책기반을 강화한다.
(인적자원정책 기반강화) |
1개 | 1,256 |
Ⅲ-2. 평생학습사회실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학습자
맞춤형 평생학습을 지원한다. (평생직업교육체제구축) |
1개 | 72,707 |
Ⅲ-3. 국제교류협력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한다.
(국제교육협력 증진) |
1개 | 150,414 |
Ⅲ-4.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국가와의 인적교류를 지원한다.
(국립국제교육원지원) |
1개 | 162,232 |
Ⅲ-5. 산학 협력을 통해 중·고등교육단계직업교육의 전문성 및 취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산학연 협력 활성화) |
1개 | 693,140 |
Ⅲ-6. 교육 혁신 및 국제교육협력기반조성을 위해 교육데이터를 개방, 활용하고 디지털교육 노하우를 전수한다.
(정보활용 활성화지원) |
1개 | 13,443 |
4. 교육일반 부문
- 최고의 교육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협력을 강화한다.
재정 운용 전략
(1)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극대화
- 정책 홍보 및 민원서비스 강화
- ∙ 대외 정책 이해도 향상 및 대내 정책 공감대 형성
- 정보보호 및 행정 효율성 증대
- ∙ 체계적 정보보호 서비스로 안전한 환경 구축
- ∙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한 업무 생산성 극대화
(2) 저소득층 맞춤형 교육지원 확대
- 교육비 부담 경감
- ∙ 교육급여 지원 단가 인상을 통해 학부모 부담 완화
- 성장·자립 지원
- ∙ 저소득층 학생 대상 장학금 및 교육프로그램 지원
(3) 교직원 사회경제적 지원체계 구축
- 안정적 노후생활 보장
- ∙ 효율적 연금기금 운용으로 교직원의 안정적 생활 지원
- 후생복지 및 경제적 안정 지원
- ∙ 후생복지 및 경제적 안정 지원
주요 사업
-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 ||
구분 | 성과지표수 | 예산 |
Ⅳ-1.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교육 협력‧소통 강화로 정책의 현장 착근에 기여한다.
(교육행정지원) |
1개 | 20,834 |
Ⅳ-2. 저소득층 맞춤형 교육지원을 확대하여 학부모 부담을 경감하고, 교육의 공공성 및 기회보장을 확대한다.
(기초생활보장) |
1개 | 190,996 |
Ⅳ-3. 연금기금 운용을 통한 연금 및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교직원의 생활안정과 복지를 증진하고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한다.
(사립학교교직원 연금제도 및 기금 운용) |
1개 | 583,370 |
2. “맞춤형 국가 장학제도” 예산 및 정책 분석
가.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추진 배경 및 의의
ㅇ 한국의 고등교육 보급률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나, 학자금 마련이 학생·학부모에게 여전히 큰 부담으로 작용
※ ’22년 기준, 한국 청년층(만 25세~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6%로 OECD 1위
※ ’23년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76.2% (KEDI, 2023)
ㅇ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
☞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등 다양한 학자금 지원 정책을 통해 균등한 고등교육 기회 제공, 청년들이 미래의 우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가경쟁력 강화 도모
프로그램 필요성
- 학비 부담으로 인한 대학생 중도 탈락은 한국 고등교육에서 지속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2021학년도 기준, 4년제 대학의 중도 탈락 학생 수는 9만7,326명으로, 전체 재적 학생 대비 4.9%에 달했다[1].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학비 부담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 특히, 신입생의 중도 탈락률은 7.8%로 전체 중도 탈락률보다 높게 나타났다[2].이는 학비 부담이 신입생들의 학업 지속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이러한 통계와 연구 결과는 학비 부담이 대학생들의 학업 지속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프로그램 목표
ㅇ 대학생에 대한 학자금 지원정책을 확립하고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을 통해 경제적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 보장, 공공성 강화 및 학비 부담을 경감.
(1) 한국장학재단 출연
학자금 대출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공부할 수 있는 여건 마련
(2)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기회를 가질 수 있는 ‘소득연계 맞춤형 국가장학금’지원
- 국가장학금: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대학생 근로장학금:저소득층 대학생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여 안정적 학업 환경 조성 및 취업 역량 강화
- 우수학생 국가장학금: 우수 인재들이 학비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희망사다리 장학금: 중소기업 취업 또는 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및 고졸 후 학습자를 지원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선취업 후 학습 장려
나, 주요 단위사업
(1) 한국장학재단 출연
추진전략
- 학자금대출: 학자금 마련이 어려운 학생에게 저금리로 대출을 지원하고, 이자면제 및 상환유예 등 상환 부담 완화 지원
< 2019~ 2023 학자금 대출 공급 현황 >
[단위 : 억원]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취업후상환학자금 대출 | 8,777 | 8,215 | 7,953 | 8,624 | 7,918 |
일반상환학자금 대출 | 9,698 | 9,555 | 8,940 | 8,610 | 10,950 |
합계 | 18,475 | 17,770 | 16,893 | 17,234 | 18,868 |
▷출처: 교육부(한국장학재단)
∙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재학기간에는 상환을 유예하여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고 취업 후 일정 기준의 소득이 발생한 때부터 상환하는 학자금 대출
∙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 거치 및 상환 기간을 형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상환할 수 있는 학자금 대출
* 거치기간(이자만 내는 기간) 최대 10년, 상환기간 최대 10년
- 기관운영: 학자금지원구간 산정 및 상담센터 운영, 학자금 IT 구축ㆍ운영 등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운영을 위한 기관 고유사업 및 운영비 지원
사업목적
ㅇ 학자금 대출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의지와 능력만 있으면 누구나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 학자금지원구간 산정체계 운영, 상담센터 운영 및 학자금 IT 구축·운영 등 기관 고유사업 및 운영을지원하여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사업성과 분석
1) 사업운영의 우수성
□ 목표달성 과정 및 방법
ㅇ 금리 부담완화
시중금리 인상 시기에도, 학생·학부모 부담 완화를 위해 학자금 대출금리를 ’23년 1·2학기,24년 1학기 1.7%의 저금리로 동결
* 시중은행(’23년 평균 4.97%) 대비 1.7% 지원으로 실질금리 358억원 경감효과
- ’12년 이전 고금리 대출자까지 전환대출을 확대·시행하여 이자부담 완화 지원(평균 4.9% → 2.9%, ’22.7.~’24.12.)
* (기존) `09년 1학기 학자금 대출자까지로 한정 → (개선) `12년 학자금 대출자까지 확대 시행 중으로, ’23. 11월말 기준 2.86만 명에게 17억 원 이자부담 경감 지원
ㅇ 학자금대출 지원대상 확대
ICL 지원 대학원생의 범위를 기존 일반 대학원생·전문기술석사에서 모든 대학원생(특수·전문대학원생까지 포함, ’23~)으로 확대하고, 학점은행제 학습자 대상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최초 시행
ㅇ 상환부담 경감
ICL 의무상환 개시 기준이 되는 상환기준소득을 인상*하여 저소득 청년의 상환부담을 경감(약22.3만명 504억원)하고, 일시적 상환 곤란자 (10월말 기준 약 2,266천명) 대상 3년 상환유예 지원
* 상환기준소득: (‘22년) 2,394만 원 → (‘23년) 2,525만 원(5.5%↑)
ㅇ 취약청년 지원 강화
자립준비청년의 대학 진학 및 학업 지원 위해 소득구간과 관계없이 ICL을 지원하고, 의무상환 개시 전까지 생활비 무이자 지원
ㅇ 생활비대출 확대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운 청년들의 학업유지를 위한 생활비 대출 지원 확대(연간 한도 ’22년 300만원 → ’23년 350만원)
2) 사업효과의 우수성
ㅇ 저금리 기조 유지
시중금리 인상 시기에도, 학생·학부모 부담 완화를 위해 학자금대출 금리를 1·2학기 연속 초저금리(1.7%)로 동결
- 어려운 청년들의 상환부담 경감을 위해 ’12년 이전 고금리 대출자까지 전환대출을 확대·시행하여 이자부담 완화
ㅇ 상환부담 완화
저금리 학자금대출 지원 대상 확대, ICL 상환기준 소득 인상 및 자립준비청년 지원 확대, 생활비대출 확대 등을 통해 저소득 채무자의 상환부담 경감 및 생활안정을 지원
* ICL지원 대학원생의 범위를 ‘일반대학원생·전문기술석사(’22~) → 모든 대학원생(특수·전문대학원생까지 확대, `23~)’으로 확대
*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지원 대상을 학점은행제 학습자까지 확대
(2) 맞춤형 국가장학금
추진 배경
ㅇ 학비 부담 완화를 통한 실질적인 고등교육 기회 보장
- 한국의 고등교육 보급은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이나, 학자금마련은 학생·학부모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
-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에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
ㅇ 학생에게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핵심 미래인재 육성
- 국가·근로·우수장학금을 통한 사각지대 없는 체계적·유기적인지원으로 우수 인재의 성장과 정착을 유도
- 학생에게 필요한 지원을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학생이 고등교육에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환경 마련
추진전략
- 국가장학금: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대학생 근로장학금:저소득층 대학생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여 안정적 학업 환경 조성 및 취업 역량 강화
- 우수학생 국가장학금: 우수 인재들이 학비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희망사다리 장학금: 중소기업 취업 또는 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및 고졸 후 학습자를 지원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선취업 후 학습 장려
< 2024년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주요 내용 >
구분 | 목적 | 지원 대상 | 2024년 예산 | ||
국가
장학금 |
Ⅰ유형 | 저소득·중산층
부담 경감 |
학자금 지원구간 8구간 이하 대학생 | 2조 6,599억 원 | |
다자녀장학금 | 다자녀 가정
부담 경감 |
학자금 지원구간 8구간 이하, 형제 자매가 셋 이상인 대학생 | 1조 56억 원 | ||
Ⅱ유형 | 대학 자체노력연계 | 등록금 부담
완화 노력 연계 |
학자금 지원구간 9구간 이하, 자체 노력 수행 대학 학생 | 3,500억 원 | |
지역인재 장학금 | 지역대학 육성
지역인재 지원 |
지역고교 졸업 후
지역대학 진학 학생 |
800억 원 | ||
근로 장학금 | 국가근로장학사업 | 안정적 학업 여건 조성,
근로 기회 제공 |
학자금 지원구간
9구간 이하, 근로 희망 대학생 |
4,518억 원 | |
우수장학금 | 인문 100년 장학금 | 인문·사회 분야
우수 인재 육성 |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우수 대학생 |
309억 원 | |
예술체육비전 장학금 | 예술·체육 분야
우수 인재 육성 |
예술·체육계열을 전공하는
우수 대학생 |
113억 원 | ||
드림장학금 | 저소득층 우수 고교생
글로벌 인재로 성장 지원 |
해외 유학을 희망하는
기초‧차상위 고교생(고2~) |
60억 원 |
사업목적
ㅇ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능력과 의지가 있으면 고등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여건 마련
- 국가장학금 지원: 청년의 등록금 부담을 낮추고, 경제적 취약계층・다자녀가구에 고등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장학금 지원
- 대학생 근로장학금 지원: 저소득층 대학생에게 근로기회를 제공하고, 장학금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학업 여건을 조성하고,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 역량 제고
- 우수학생 국가장학금 지원: 우수한 인재들이 학비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미래의 국가경쟁력확보에 기여
- 희망사다리장학금 지원: 중소기업 취업 또는 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과 고졸 후학습자를 지원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선취업 후학습 장려
1) 학자금 지원 관리
ㅇ 국가장학금: 청년이 등록금 부담으로 대학 교육 기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대학생 약 100만 명에게 4조 원의 소득연계 장학금 지원
※ 국가장학금 1인당 지원액 : (’22) 3,634천원 → (’23) 3,654천원(+0.6%)
ㅇ 근로장학금: 저소득층 대학생의 근로 활동 기회 제공과 학업 전념 지원을 위하여 12만 명에게 약 4천억 원의 근로장학금 지원
- 또한, 다문화・탈북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 지원을 위하여 4천 명의 대학생 멘토링 장학생 운영
※ 교내 외 근로장학금 지원 현황 : (’22) 123,051명 → (’23) 129,000명(예정)
※ 다문화탈북학생 멘토링 지원 현황 : (’22) 4,000명 → (’23) 4,000명
ㅇ 우수장학금: 국가 수준의 인문‧예체능・전문기술 분야 우수인재 양성을 위하여 1만 명에게 등록금 전액 지원
※ 인문, 예술체육, 전문기술 분야 우수 장학금 : (’22) 6,024명 457억원→(’23) 6,599명 514억원
ㅇ 희망사다리장학금: 중소·중견기업 취업 또는 창업 희망 대학생과 고졸 후 학습자의 등록금 등 지원으로 학비부담 완화 및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 (Ⅰ유형) (’22) 9,306건→(’23) 9,912건, (Ⅱ유형) (’22) 20,617건→(’23) 23,100건
2) 사업효과의 우수성
ㅇ 국가장학금 지원: 학생 1인당 국가장학금 수혜액이 365만원 수준으로, 저소득층 청년 대학생의 목돈 마련 부담 완화
* ’23년Ⅰ유형(다자녀) 연간 지원 단가 : 연 350만 원 ~ 등록금 전액
** 1인당 수혜 금액 : (’22) 3,634천원 → (’22) 3,654천원(+0.6%)
ㅇ 재난장학금 지원: 산불, 집중호우, 태풍 등 국가적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청년에게 등록금을 지원하여 중단 없는 학업 지속 도모
※ ’23.1학기에 ’22.3월 산불(경북, 강원), ’22.8월 집중호우(서울, 경기, 강원, 충남)로 주택이 반파(또는 전파) 된 대학생 5명에게 총 10,721천원의 재난장학금 지원
ㅇ 근로장학금 단가 인상: ’23년 최저임금을 고려한 교내근로장학금 지원 단가 인상*으로 저소득층 대학생의 안정적인 학업 여건 조성
* 교내장학금 시간당 지원 단가 : (’22) 9,160원 → (’23) 9,620원
3) 성과 우수성 인정 사례
ㅇ 소외계층 지원 강화: 학업에 전념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는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를 위해 국가장학금 수혜 성적 기준 개선
* 보호종료아동 학업중단 : 33.1%(경제 사정에 따른 학비 마련 부담) > 23.4%(학교 공부 흥미 부족) > 21.3%(심리건강아르바이트의 어려움)(2020 보호종료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복지부))
※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성적기준 완화를 통해 학생 143명이 평균 540만원 수혜(’23.11월 기준)
- 자립준비청년의 부족한 등록금 및 생활비 지원을 위해 소득구간과 관계없이 ICL을 지원하고, 의무상환 개시 전까지 생활비를 무이자로 지원
ㅇ 다자녀 장학금 합리화: 청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와 교육분야에서의 청년의 평등한 기회 제공을 위해 다자녀 장학금 연령 기준을 청년 중심으로 개선
※ 2023년 2학기부터 입학 당시 만 39세 이하인 경우 다자녀 장학금 지원, 만40세 이상인 경우 국가장학금 Ⅰ유형 지원(2023년 기본계획(’23.2.8.))
다. 프로그램 예산
□ 예산사업 내역
구분 | 단위사업명 | 세부사업명 | 회계구분 | 예산 | 전년이월 | 이·전용 등 | 예산현약
(A) |
결산
(B) |
집행률
(B/A) |
2021 | 한국장학재단
출연 |
한국장학재단
출연 |
일반회계 | 191,532 | 0 | 0 | 191,532 | 172,284 | 90.0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일반회계 | 4,019,569 | 0 | 0 | 4,019,569 | 4,019,569 | 100.0 | |
소계 | 4,211,101 | 0 | 0 | 4,211,101 | 4,191,853 | 99.5 | |||
2022 | 한국장학재단
출연 |
한국장학재단
출연 |
일반회계 | 201,437 | 0 | 29,900 | 231,337 | 231,337 | 100.0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일반회계 | 4,703,585 | 0 | -29,900 | 4,673,685 | 4,673,685 | 100.0 | |
소계 | 4,905,022 | 0 | 0 | 4,905,022 | 4,905,022 | 100.0 | |||
2023 | 한국장학재단
출연 |
한국장학재단
출연 |
일반회계 | 321,741 | 0 | 13,800 | 335,541 | 335,541 | 100.0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일반회계 | 4,566,436 | 0 | -13,800 | 4,552,636 | 4,446,000 | 97.7 | |
소계 | 4,888,177 | 0 | 0 | 4,888,177 | 4,781,541 | 97.8 |
구분 | 단위사업명 | 세부사업명 | 회계구분 | 사업코드 | 사업구분 | 예산 | 재정사업
성과평가 |
비고
(분야, 협업과제) | |
평가명 | 결과 | ||||||||
2024 | 한국장학재단
출연 |
한국장학재단
출연 |
고등·평생
교육지원 특별회계 |
2600-2638 | 조세지출
병행 |
367,382 | - | - |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고등·평생
교육지원 특별회계 |
2600-2645 | 조세지출
병행 |
4,720,453 | - | - | ||
소계 | 5,087,835 | ||||||||
2025 | 한국장학재단
출연 |
한국장학재단
출연 |
고등·평생
교육지원 특별회계 |
2600-2638 | 조세지출
병행 |
407,913 | 자율 | 우수 |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
고등·평생
교육지원 특별회계 |
2600-2645 | 조세지출
병행 |
5,313,379 | - | - | ||
소계 | 5,721,292 |
* 23년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가 신설됨 → 기본 일반회계에 편성되어 있는 고등·평생교육 분야 중 경쟁력 강화 관련 예산 8.02조 원이 특별회계로 이전.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
교육부에서는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를 통해 대학의 자율적 혁신과 지방대학의 집중 육성, 대학의 교육 연구 여건 개선,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 지원 등 네 가지의 투자방향을 잡고 지원해나갈 예정.
라. 성과지표
□ 성과지표 달성 현황
성과지표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목표대비
달성률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대학생 1인당
학비 부담 경감액 (만원) |
ㅇ 측정산식 : [정부재원 장학금 지원액* +학자금 대출이자 부담 경감액]/대학생(재학생)수﹡(단위 : 만원)
* 정부재원 장학금 : 국가장학금(근로, 우수, 희망사다리장학금 포함)지원액 ※ 우수장학금 : 인문100년장학금, 예술체육 비전장학금, 전문기술인재장학금 ,대통령과학장학금,국가우수장학금(이공계) ** 유학생 제외 |
목표 | 200 | 204 | 220 | 227 |
실적 | 209 | 217 | 240 | 228 | ||
달성률(%) | 104.5 | 106.4 | 109.1 | 100.4 | ||
평균
등록금(4년제 사립) 대비 저소득층(3구간 이하) 국가장학금 평균 지원액 비율 (%) |
ㅇ 측정산식 : 저소득층* 대상 평균 국가장학금 지원액**/ 4년제 사립 평균등록금(단위 : %)
* 기초·차상위, 학자금 지원 1∼3구간 ** Ⅰ유형·다자녀 장학금 |
목표 | 신규 | 신규 | 63 | 64.7 |
실적 | 신규 | 60.6 | 68.1 | 65.2 | ||
달성률(%) | - | - | 108.1 | 100.8 |
▷출처: 2023 성과보고서 (이전의 방식)
□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성과지표별 목표치 설정>
성과지표 | 가중치 | 성과분야 | 실적 및 목표치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방법/ 출처 | |||||
①대학생1인당
학비 부담 경감액(만원) |
1 | 일반
재정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ㅇ 측정산식: 대학생
1인당 학비 부담 경감액 = [정부재원장학금지원액* + 학자금대출이자부담경감액] /고등교육기관재학생수 (단위:만원) *국가장학금(근로,우수,희망사다리 장학금포함)지원액 |
정부재원 장학금관련 예산서,
한국장학재단 통계, 대학알리미 통계 |
목표 | 204 | 220 | 227 | 230 | 235 | |||||
실적 | 217 | 240 | 228 | - | - |
▷출처: 2025 성과계획서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설정 근거>
ㅇ 측정방법 - 측정대상 기간: ’25.1.1.∼’25.12.31.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26. 2월 말 예정 - 측정수행기관:한국장학재단 - 측정대상 표본 수 및 선정방법:장학사업별 예산, 한국장학재단 통계, 대학 알리미통계
-’24년 국가장학금 확대로 1인당 학비 부담경감액이 향상될 그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과거 실적증가추세 (’19~’23년 평균 증가율 102%)를 고려하여 과거실적치보다 대폭상향하여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