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향토산업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9일 (월) 18:34 판 (새 문서: == 향토산업의 개념과 의의 == 향토산업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기반으로 상품화 또는 산업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한다. 유사한 용어로 지역산업, 지역특화산업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토산업은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향토’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ref>[https://nabis.go....)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향토산업의 개념과 의의

향토산업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기반으로 상품화 또는 산업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한다. 유사한 용어로 지역산업, 지역특화산업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토산업은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향토’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1]

향토산업의 유형

향토산업은 투입단계별, 산업유형별, 향토자원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 투입단계별 유형: 1차 산업(농업, 어업, 임업), 2차 산업(제조업, 건설업), 3차 산업(서비스업)으로 구분
  • 산업유형별 유형: 전통식품, 공예품, 관광, 농특산물 가공, 문화산업 등
  • 향토자원 유형별 유형: 자연자원, 문화자원, 인적자원으로 구분

한국의 향토산업 육성 정책

한국 정부는 향토산업의 육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지역의 유·무형 향토자원을 발굴하여 1·2·3차 산업이 연계된 복합산업으로 육성하는 향토산업육성사업을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 지역별 특성에 맞는 규제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활용한 차별화된 특화사업을 발굴·발전하는 지역특화발전특구사업을 추진

향토산업의 의의 및 한계

향토산업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지역경제 활성화: 향토산업은 지역의 특화된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지역 내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문화적 자원 보전: 향토산업은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 향토산업은 지역민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향토산업은 지역의 특화된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원 고갈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또한, 대규모 자본과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이 아니기 때문에, 경쟁력이 취약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