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늘봄학교
개념
늘봄학교란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의 줄임말로, 초등학교에서 수업 뒤 학생의 돌봄 제공 시간과 유형을 확대하는
방과후·늘봄중앙지원센터
주요업무
- 교육부 지정 방과후·늘봄중앙지원센터로 2006년부터 현재까지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늘봄학교 정책 지원 역할 수행
-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및 유관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및 현장 지원
- 정책연구, 실태분석 및 성과관리, 매뉴얼 개발, 방과후학교 강사 및 초등돌봄전담사 역량강화 원격 콘텐츠 개발, 우수사례 발굴 등의 업무 수행
연혁
시기 | 내용 |
---|---|
1995. | "5·31 교육개혁"에서 수요자 중심 교육 활동의 일환으로 '방과후 교육활동' 제안 |
2006. | 한국교육개발원에 방과후학교지원사업팀 설치 |
2006. | 전국 초·중·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전면 도입 |
2007. |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방과후학교지원사업팀을 '방과후학교정책연구센터'로 지정 |
2008. |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에 따라 방과후학교 업무 지방이양 |
2009. | 방과후학교 대상 시상 개최 시작 |
2010. | 전국 공통 기준인 방과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길라잡이 개발 및 배포 시작 |
2011. | 교육부,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 수립 |
2011. | "방과후학교 민간참여 활성화" 추진 |
2012. | 교육부에서 '방과후학교정책연구센터'를 '방과후학교중앙지원센터'로 명칭 변경 |
2012. | 전국 공통 기준인 초등돌봄교실 운영 가이드라인·길라잡이 개발 및 배포 시작 |
2012. | 방과후학교 온라인 뉴스레터 발간 시작 |
2012. | 방과후학교 포털시스템 구축운영 시작 |
2014. | 초등돌봄교실 운영 전면 확대 시작 |
2018. | 온종일 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 사업 시작 |
2020. | 코로나19 관련 돌봄 운영 |
2021. | 초등돌봄교실 운영 개선 방안 발표 |
2023. | 늘봄학교 추진 방안 발표 |
2023. | 방과후·늘봄중앙지원센터로 명칭 변경 |
운영방향
비전
- 가정·학교·지역사회 협력으로 교육·돌봄 국가책임 강화를 위한 방과후·돌봄 정책 및 현장 지원
역할
- 정책연구: 선도적 정책연구 수행
- 정책 및 현장지원: 방과후학교 지원센터 운영지원
- 정책공유: 정책 정보 관리 및 공유
2023년 중점과제
- 방과후·돌봄 성과분석을 위한 정책연구 수행
- 방과후·돌봄 운영 지원
- 방과후·돌봄 모니터링 및 관계자 연수
- 방과후·돌봄 정책 공유 및 확산
진행현황
교육부 2025년에서 1년 앞당겨 2024년부터 시행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8개 시도교육청(부산, 인천, 대전,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북)은 이번 2학기부터 459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시범운영을 확대 실시한다. 이는 1학기보다 3개 교육청, 245개교가 더 늘어난 규모이며, 기존 시범운영 중인 경기, 전남 지역에서도 각각 74개교, 7개교가 추가 선정되었다.
일시돌봄(긴급돌봄) 운영 학교는 4월 58개교였으나, 9월에는 16개교만이 운영했다. 전남도교육청의 경우, 4월에는 43개교에서 일시돌봄을 운영했으나 9월에는 단 한곳도 없었다. 틈새돌봄(방과후 돌봄)은 4월 140개교가 운영했으나 9월에는 95개교만이 운영했다. 반면 아침돌봄 운영 학교는 4월 75개교에서 9월 79개교로 큰 차이가 없었다.
기대결과
- 교육격차 해소
- 학부모 양육 부담 경감
- 사교육비 감소
문제점
교사노조연맹이 지난 6월 초 교사 7745명을 대상으로 늘봄학교 관련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비전문인력 투입으로 인한 학교 혼란 증가’, ‘학생들의 이른 등교, 늦은 하교로 안전 및 건강 문제’, ‘담당교사의 업무 부담증가’ 등을 주요 부작용으로 꼽았다. 10명 중 7명은 “실제 교사가 늘봄강사인력으로 투입되고 있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공간 부족 문제로 특별실이나 교실 등이 돌봄교실로 활용되면서 정규수업의 장소나 시간이 변경되는 등 제약이 생긴 경우도 다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력과 시설 부족
대부분 학교는 늘봄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별도 공간을 갖추지 못한 채 기존 교실이나 강당 등을 활용하고 있다. 교사 ㄴ씨는 “늘봄학교 운영을 위해 빈 교실을 찾아다니거나, 방과 후에 교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교사에게 교실을 비워달라고 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고 했다.
경기 성남의 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업무를 맡은 교사 ㄱ씨는 7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교육부는 늘봄학교가 잘 운영되고 있다고 홍보하지만, 학교 현실은 교사들이 반강제로 투입되거나 인력을 구하더라도 강사의 질이 보장되지 않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인력을 구하지 못한 ㄱ씨의 학교는 몇몇 교사가 돌아가며 늘봄학교 수업을 떠맡고 있다.
불안정한 일자리 증가 우려
교원단체인 ‘좋은교사운동’이 시범운영에 나선 5개 교육청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결과 늘봄학교 업무는 자원봉사자, 기간제 교원, 비정규직 행정인력 등이 담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규직 돌봄전담사가 업무를 맡은 사례는 없었다. “학부모 수요가 높다”는 이 부총리의 말과 달리 시범학교 내 늘봄 수요는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든 것으로도 확인됐다.
실제 좋은교사운동이 늘봄학교를 시범 운영하는 5개 시·도교육청(214개 학교)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결과, 지난 6월 기준 정규직인 돌봄전담사가 추가 지원된 학교는 한 곳도 없었다. 한시적 기간제 교원이 178명, 자원봉사자 136명, 행정인력 40명 등 비정규직만 투입됐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7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돌봄 사각지대 해결과 돌봄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돌봄 전용 공간과 돌봄전담사 인력충원, 방과후프로그램 내실화 등은 내팽개치면서 늘봄학교가 잘 운영되고 있다고 자화자찬한다”고 비판했다.
늘봄학교 운영을 위한 전담돌봄사는 9월 현재 한 곳도 없었다. 대신 자원봉사자는 129명, 기간제 교원 173명, 비정규직 행정직원이 50명이 늘봄학교 운영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결방안
그러면서 “단순히 돌봄교실 운영시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수많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며 늘봄학교가 치적사업이 아닌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교육부에 주문했다.
개별 학교가 아니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돌봄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서울 도봉구 ‘마을방과후학교’ 사업을 추진한 경험이 있는 박동국 서울시교육청 대외협력보좌관은 “공간과 인력 확보 등 시스템은 구축하지 않고 개별 학교에 책임을 떠넘기는 방식으로는 돌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국가와 지자체 차원에서 ‘학교 밖’ 돌봄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도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하는 양질의 돌봄을 위해서는 지역 단위 돌봄 체계를 구축해야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단위학교에 늘봄사업을 몰아주는 형태가 아니라, 지역사회 여러 돌봄 기관에 분산시키는 지역 단위 돌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방과후학교중앙지원센터 소개 < 방과후학교·돌봄 < 홈,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시도교육청이 함께하는 방과후학교 포털시스템 (afterschool.go.kr)[1]
- 2학기 늘봄학교, 2배 이상 늘어난다 (tistory.com)[2]
- 교육부가 자랑하던 늘봄학교, 프로그램은 왜 줄었을까? < 정책 ·사회 < 기사본문 - 교육언론창 (educhang.co.kr)[3]
- 늘봄학교 전국 확대까지 1년…속도 높이다 ‘날림 공사’ 될라 - 경향신문 (khan.co.kr)[4]
- [성명서] 늘봄학교 추진 방안의 의미와 보완 요구 (goodteacher.org)[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