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독거노인 정책제안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개요

독거노인이란 가족 없이 혼자 살아가는 노인이라고 한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국은 주로 대가족 형태로 사람들이 살아서[1] 독거노인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족들의 핵가족화, 가족들 간의 불화 등으로 인해 분가 등이 일어나면서 독거노인들이 꽤 많이 늘어났다.[2]

2. 원인 및 분석

다양한 독거 이유

  • 독거노인이 혼자 생활하는 이유는 다양하여, 개인생활 유지를 위해서(20.1%), 살고 있는 주거지를 떠나기 싫어서(19.3%), 자녀의 결혼으로 인하여(18.0%), 자녀가 별거를 희망하여(13.1%), 자녀가 타 지역에 있어서(13.0%)의 순임
  • 이러한 독거 이유를 정리해보면, 노인의 특성과 자발적 선택(경제적 및 건강상의 독자성, 개인생활 향유 및 기존 거주지 거주 희망)에 의한 독거생활과 자녀 요인과 선호(결혼, 별거 희망, 타지역, 경제상황 등)에 의한 독거가 각각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
이하 생략
이하 생략

노인의 제 특성별 독거 및 독거 이유

  • 지역별로 비교해보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하여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게서, 남자노인에 비하여 여자노인에게서 독거율이 높음.[3]

-연령군별 노년기의 거주행태를 살펴보면 타 연령군에 비하여 85세 이상 연령군에서 독거생활을 하는 비율이 낮음.[4]

-한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독거율이 매우 낮은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음.[5]

  • 이러한 현상을 독거 이유와 연계해 보면, 농어촌 지역은 취업이나 결혼으로 인한 자녀의 도시지역으로의 이동과 평생 생활해온 지역을 떠나기 싫어하는 노인의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이해됨.

-여성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연령 차이와 성별 평균수명의 차이로 인하여 노년기를 독거가구로 생활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임.

-타 연령에 비하여 85세 이상 연령군의 독거율이 낮은 것은 건강 악화에 따라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판단됨

  • 교육수준과 독거율은 반비례하며, 교육수준이 높은 독거노인의 경우 본인의 경제적인 능력을 독거 이유로 언급하는 경향이 있음
이하 생략
이하 생략
  1. 핵가족은 1990년대 중반부터 늘어나더니, 2000년대 초중반엔 한 반에 10에 7은 핵가족인 집이었다고 한다
  2. 사실 이 고독사 문제는 비단 독거노인층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대가 흐르고 현대화, 개인화가 되어가자 청장년층 사이에서도, 나이와 경제소득 고저, 유명인과 일반인 사이를 불문하고 고독사가 늘기 시작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특성상 상당수의 사람들이 딱 필요한 관계만 유지하며 살아가는 경향이 늘거나 무연고자에 가깝게 사는 경향도 늘어났다. 즉 이런 개인화가 극단화된 청장년층도 추후 독거노인의 절차를 그대로 밟을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결혼한다고 해도 배우자나 자식이 일찍 죽거나 이들이 의절하여 존속유기를 시전하면 독거노인이 될 수 있다.
  3. 반면 남자노인은 배우자와만 생활하는 부부가구의 비율이 높아 61.4%에 달하고 있음. 이는 여자노인의 32.5%의 약 두 배 규모에 달하는 것임
  4. 85세 이상인 경우 다른 연령대의 노인에 비하여 자녀 동거율이 높음. 연령군별 자녀 동거율을 살펴보면 65~69세군이 28.5%, 70~74세군 27.2%, 75~79세군 24.8%, 80~84세군 27.9%, 85세 이상은 42.8%임
  5.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부가구의 비율이 높아 무학(글자 모름)은 19.5%, 무학(글자 해독)32.5%, 초등학교 47.3%, 중학교 53.5%, 고등학교 54.0%, 전문대 이상 61.4%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