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국민건강보험제도
개요
- 국민의 질병ㆍ부상에 대한 예방ㆍ진단ㆍ치료ㆍ재활과 출산ㆍ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국민건강보험법 제1조)
- 근거 법령
- 헌법 제34조(사회보장 등) 및 제36조(국민보건)
-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 제2호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특징
- 강제 가입
- 국민 상호간 위험부담을 통한 의료비 해결 목적 실현
- 국민건강보험법 제5조(적용대상)'국내에 거주하는 국민'
- 강제가입 실효성 확보를 위한 보험료 납부의 강제성 부여
- 차등부과(형평부과)
- 사회보험은 사회적인 연대를 기초로 하는 제도
- 소득수준 등 부담능력에 따라 보험료의 차등부과
- 민간 보험의 보험료 부과방식과 차이
- 균등수혜
- 보험료 부담 수준과 관계없이 의료적 필요에 따라 보험급여
- 단기보험
- 1년 단위 회계연도 운영
- 국가책임
- 건강보장은 사회보장의 일종
- 사회보장은 헌법 제34조 제2항에 규정된 국가의 의무이자 법적 책임
- 전체 국민의 가입과 보험료 납부 강제를 위하여 국가관리
추진 배경과 의의
- 추진배경: 사회보험으로서 건강에 대한 사회공동의 책임을 강조하여 비용(보험료)부담은 소득과 능력에 따라 부담하고 가입자 모두에게 균등한 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국민건강보험은 질병 치료에 따른 고액의 비용을 스스로 감당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질병이 발생했을 경우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963년 12월 16일 「의료보험법」에 따라 근로자와 그 가족의 질병, 부상, 사망, 분만에 대한 보험 급여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1989년 7월에 전 국민에게 확대·시행되었다.
- 의의: 국민건강보험제도는 생활상의 질병 · 부상에 대한 예방 · 진단 · 치료 · 재활과 출산 · 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으로써 보험의 원리를 이용하여 의료비의 지출부담을 국민건강보험가입자 모두에게 분산시켜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보험으로서 사보험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주요 추진 전략
- 재정 안정화 및 수입 기반 확대
-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및 수입원 다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재정 기반 확보.
- 고소득층 부담 증대를 통한 형평성 강화.
- 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 의료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인프라 확충.
- 원격의료, 이동형 의료서비스 확대를 통해 지역 격차 해소.
- 예방적 의료 강화
- 건강검진과 예방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치료.
-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 도입으로 의료비 절감과 건강 증진.
- 보장성 강화
- 미충족 의료 서비스 분야에 대한 보장 확대.
- 고액 진료비 지원 범위 확대를 통해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
- 재정 안정화 및 수입 기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