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중소기업육성지원
1. 중소벤처기업부 정책 현황
1.1 기능별 예산 현황
23년 본예산(A) | 24년 본예산(B) | 전년대비(B-A) | 전년대비(%) | |
---|---|---|---|---|
계 | 135,205 | 149,497 | 9,930 | 7.3 |
위기 극복과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 41,922 | 49,882 | 7,960 | 19.0 |
글로벌 창업벤처 강국으로의 도약 | 13,229 | 14,452 | 1,223 | 9.2 |
중소기업 제조혁신·수출촉진 및 자금확대 | 78,356 | 79,098 | 742 | 0.9 |
1.2 정책 방향 및 주요사업
정책방향
1. 위기 극복과 소상공인 지원 강화
총 5조 원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에 배정. 새로운 금융 상품(동반성장 네트워크론, 매출채권팩토링)과 이자율 완화, 전기료 부담 경감을 통해 영세 소상공인을 도움.
2. 글로벌 창업·벤처 강국 도약
약 1.4조 원이 글로벌 진출 및 수출 지원 사업에 사용. 글로벌비즈니스센터 확충(14개국 22개소 운영) 및 수출 바우처 프로그램 확대. EU 탄소국경세(CBAM) 대응을 위해 탄소배출량 측정 및 설비 개선 지원.
3.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및 디지털 전환
약 7.9조 원이 스마트공장 보급, 로봇 자동화, 제조 데이터 표준화 지원에 배정. 디지털 제조혁신 사업을 통해 5,000개 중소 제조업체에 지원을 목표로 함.
4.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지방 시대 구현
지역 특화 산업 육성과 창업중심대학 지원 등 총 2,790억 원 배정. 정부-지역 협력을 통해 「레전드 50+」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지역 기반 제조업 생태계 강화.
주요사업
1. 소상공인·자영업자 금융 지원
전기요금 특별지원(2,520억 원), 대환대출(5,000억 원), 정책자금 지원(8.7조 원) 포함.
2. 창업·벤처 활성화
모태펀드 9,100억 원 출자를 통해 1.7조 원 규모의 창업 지원 펀드 조성. 청년창업사관학교와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을 포함해 다양한 창업 프로그램 확장.
3. 수출 지원
수출 컨소시엄 사업 예산 확대(159억 원), 해외전시회 지원 예산 조기 투입. 해외 현지 바이어와의 네트워킹 강화 및 경제 단체 협력 확대.
4. 스마트공장 보급 및 제조 데이터화
약 5,000개의 제조업체에 디지털 솔루션 제공. AI 및 빅데이터 기반 제조 혁신 지원 확대.
2. 중소기업육성지원
2.1 예산 현황
년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예산 | 약 6.8조 원 | 약 7.2조 원 | 약 8조 원 | 약 8.5조 원 | 약 8.7조 원 |
2.2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목적
1.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2. 중소기업의 경제적 기여 확대
3. 일자리 창출
4. 경제 회복
프로그램 배경 및 의의
1. 산업 구조의 변화
기술 발전과 글로벌화로 인해 기존의 경영모델이나 기술에 의존할 수 없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적 지원과 시장 접근성을 높여주는 정책의 필요성 대두
2. 경쟁력 향상
자금 지원, 기술 혁신, 인프라 제공 등을 통해 기업이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경로를 찾도록 함
정책 방향
1. 기술 혁신 및 디지털화 지원
중소기업의 최신 기술 도입 및 디지털화를 통해 경쟁력 강화
2.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촉진, 수출 활성화
단위사업
1. 중소기업판로및컨설팅지원
중소기업의 국내외 판로 개척과 경영역량 강화를 지원 디지털 전환 지원, 글로벌 시장 진출, 경영컨설팅 제공 등 중소기업판로및컨설팅지원 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