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해외직구 식품안전관리

Public Policy Wiki
주주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10일 (화) 18:03 판 (새 문서: =내용<ref>한국고용정보원. (2020).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성과 분석</ref>= 식약처에서는 다이어트·성기능개선·근육강화를 표방하는 해외직구 식품 등에서 '''부정물질, 오·남용 우려 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거나 '''국내외 위해정보에 따라 안전성 우려'''가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청에 통관 차단요청, 방송통신위원회에 판매 사이트 차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내용[1]

식약처에서는 다이어트·성기능개선·근육강화를 표방하는 해외직구 식품 등에서 부정물질, 오·남용 우려 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거나 국내외 위해정보에 따라 안전성 우려가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청에 통관 차단요청, 방송통신위원회에 판매 사이트 차단 요청, 식품안전나라에 해당 제품 정보를 게재하고 있다. 이 지정은 위해한 해외직구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해외직구식품에 대한 위해 원료와 성분을 지정‧공개‧해제하는 근거가 마련됨에 따른 후속조치이다. 이때 해외 직구란 국내 소비자자가소비를 목적으로 해외 판매자의 사이버몰(국내 포털사 및 오픈마켓에 입점한 해외 사업자 포함)에서 해외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소비 형태를 말한다. 제 3자에게 판매 또는 영업상 사용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외부링크

관련 법령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 약칭: 수입식품법 )

[시행 2023. 9. 14.] [법률 제19471호, 2023. 6. 13.,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법은 수입식품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며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거래질서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5조의2(직접구매 해외식품등에 관한 위해 정보 게시) 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민건강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직접구매 해외식품등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정보 게시의 기준ㆍ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

제25조의3(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ㆍ성분의 지정 및 해제) 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사용된 원료 또는 성분 중에서 국민건강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어 국내 반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원료 또는 성분을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ㆍ성분으로 지정할 수 있다.

1. 직접구매 해외식품등

2. 제14조제1항제3호에 따른 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 대행업을 등록한 영업자가 수입하는 수입식품등

②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1항에 따라 국내 반입차단 대상으로 지정된 원료ㆍ성분이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 우려가 없거나 낮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해제하여야 한다.

③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1항에 따른 지정 및 제2항에 따른 지정해제와 관련된 내용을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하여야 한다.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원료ㆍ성분의 지정 및 지정해제의 기준ㆍ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

[시행 2023. 4. 25.] [대통령령 제33434호, 2023. 4. 25., 타법개정]

현황[2]

해외사례[3]

연구동향[4]

참고문헌

각주

  1. 윤성만, & 박진하. (2015).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제도가 고용창출과 투자에 미치는 영향. 조세연구, 15(2), 161-187.
  2. 윤성만, & 박진하. (2015).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제도가 고용창출과 투자에 미치는 영향. 조세연구, 15(2), 161-187.
  1. 한국고용정보원. (2020).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성과 분석
  2. 한국고용정보원. (2020).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성과 분석
  3. 김도균, 최석현, & 유보배. (2017). 경기도 청년구직지원금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정책연구, 1-170.
  4. 한국고용정보원. (2020).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성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