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Public Policy Wiki
Yjw1026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18일 (수) 17:41 판 (새 문서: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은 지역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도전 대응에서 혁신정책과 활동의 출발점을 삼아 탄소중립사회, 돌봄중심사회, 자원순환 사회로 전환하는 시스템 혁신(system innovation)형 정책을 의미한다. 해당 정책은 우리사회와 지역이 직면한 도전과제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사회활동을 규정하는 지역 사회·기술시스템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은 지역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도전 대응에서 혁신정책과 활동의 출발점을 삼아 탄소중립사회, 돌봄중심사회, 자원순환 사회로 전환하는 시스템 혁신(system innovation)형 정책을 의미한다. 해당 정책은 우리사회와 지역이 직면한 도전과제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사회활동을 규정하는 지역 사회·기술시스템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의 산업혁신 활성화를 넘어 지속가능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산업·일자리·환경·교육·문화·돌봄과 관련된 사회·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설계하고 지역주민이 살기 좋은 지역사회 구현을 위해 지역사회의 사회·기술혁신을 논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해당 정책은 산학연과 같은 주체들만이 아니라 지역의 시민사회도 지역혁신의 주요 주체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산학연관을 기반으로하는 클러스터정책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기술·사회영역에서 활동하는 민산학연관 주체들이 참여하는 전환플랫폼의 구축을 핵심적인 과제로 간주하고 있다.

  •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핵심 요소
  1. 지역전환의 방향 설정과 공유: 지역의 혁신주체들이 시스템 전환의 방향 및 공유된 비전 형성
  2. 전환을 위한 지역의 수요 구체화: 지역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전환적 혁신의 내용과 요구사항을구체화하고 공공·민간 수요를 창출, 시스템 전환경로를 탐색하여서 비전을 구현
  3. 새로운 시스템을 지향하는 지역 전환실험 수행: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의 실험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에 기반을 구축하여 새로운 시도와 실증·테스트 등을 촉진
  4. 전환지향적 지역 정책학습과 조정: 여러 분야에 걸친 정책들을 이끌어가는 리더십과 정책 간의 연계 형성
  5. 지역 전환 플랫폼 구축·운영: 문제해결을 위해 민산학연관 주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비전 형성과 전환경로 도출, 전환실험, 정책연계를 위한 조직들의 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고 전환적 혁신을 추진

외부링크

근거법령

연혁

외국사례

연구동향

참고문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