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역내총생산
지역내총생산의 개념
지역내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은 지역경제의 규모와 생산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한 지역 안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낸다.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추계한 금액을 의미한다. [1]
지역내총생산의 계산방법
GRDP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GRDP = 총생산 - 중간재 소비
총생산은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금액을 의미한다. 중간재 소비는 총생산 과정에서 사용된 중간재의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금액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통계청에서는 1993년부터 UN이 권고한 국민계정체계에 따라 추계한 시·도별 GRDP를 연간 단위로 공표하고 있다. 또한, GRDP는 어떠한 측면에서 추계하느냐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생산 측면에서 추계: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액을 합산하여 추계하는 방법이다.
- 소득 측면에서 추계: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발생한 모든 경제활동으로부터 얻은 총소득을 합산하여 추계하는 방법이다.
- 지출 측면에서 추계: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소비된 총지출을 합산하여 추계하는 방법이다.
지역내총생산의 활용
지역내총생산은 지역경제정책 수립, 평가 및 분석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GRDP는 지역경제의 성장 추이를 파악하고, 지역 간 경제격차를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GRDP는 지역경제의 특성과 강점을 파악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지역내총생산의 한계
지역내총생산은 지역경제의 규모와 수준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 지역 간 이동을 고려하지 못한다. GRDP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지역 간 이동을 고려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생산된 제품이 다른 지역에서 판매된다면, 해당 제품의 생산액은 서울의 GRDP에 포함되지만, 판매된 지역의 GRDP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부가가치의 중복계산을 고려하지 못한다. GRDP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부가가치의 중복계산을 고려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A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이 B 지역에서 조립되어 완제품이 생산된다면, 해당 완제품의 생산액은 A 지역과 B 지역의 GRDP에 모두 포함된다.
연구동향
이영성 (2009)[2]은 시· 군· 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빠르게 증가한 사회개발비는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개발비는 지역내총생산에 탄력적으로 증가하였고, 승수효과도 경제개발비보다 컸다. 이러한 효과는 경제성장율이 낮은 곳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개발비의 증가는 저성장 지역의 경제성장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김종희 (2010)[3]는 GRDP (지역내 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232개 전 자치단체 수준에서 추정한 GRDP를 바탕으로 지역 간 격차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 동안 각 지역 간 1인당 GRDP 격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며, 군의 경우 더 심해졌다. 또한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 그리고 호남권이 지역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었다. 향후 10년 간의 추세를 전망해 볼 때, 이러한 불평등의 추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고성장 지역과 저성장 지역 간의 격차는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최두열・안시온 (2014)[4]은 한국의 1 인당 지역내총생산 (GRDP) 의 수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의 시도별 1인당 GRDP는 전체적으로는 발산하고 있으나, 그룹별로 보면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나뉘어 수렴하고 있다. 하위 그룹의 수렴 속도는 상위 그룹보다 빠르다. 그룹별 수렴 현상의 원인은 물적 자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외부링크
- 정부 웹사이트: GRDP(지역내총생산)
각주
- ↑ NABIS 정책용어사전
- ↑ 이영성. (2009). 시· 군· 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지역연구, 25(3), 5-23.
- ↑ 김종희. (2010). GRDP (지역내 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 지방행정연구, 24(1), 207-235.
- ↑ 최두열, & 안시온. (2014). 한국의 1 인당 지역내총생산 (GRDP) 의 수렴에 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16(3), 149-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