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과학비즈니스벨트

Public Policy Wiki
수정스탈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4일 (토) 15:15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개념

과학비즈니스벨트는 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지역 발전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기초과학 연구의 역량 강화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사업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기능적으로는 창조적 연구환경 조성을 통해 세계적 두뇌가 모이고 과학과 비즈니스가 융합된 국가 성장거점을 의미한다. 공간적으로는 기초연구의 거점기능을 수행하는 거점지구와 거점지구 연구성과를 연계·확산하는 기능지구를 연계한 지역을 의미한다.[1]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추진 배경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추진 배경은 다음과 같다.

  • 기초연구 역량 강화의 필요성: 한국은 기술모방 전략으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었으나, 기초연구 역량의 부족으로 인해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과학기술 혁신의 필요성: 과학기술은 산업과 경제의 발전을 견인하는 핵심 요소이다.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 지역 발전의 필요성: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역의 활력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조성을 통해 지역의 연구개발 인프라가 구축되고, 과학기술 관련 기업이 유치되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추진 방향

  •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과학비즈니스벨트에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시설과 장비가 구축된다. 이를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들이 모이고, 창의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 과학기술 혁신 기반 조성: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기반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산업과 기술이 창출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지역 발전 도모: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역의 활력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조성을 통해 지역의 연구개발 인프라가 구축되고, 과학기술 관련 기업이 유치되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추진 성과

  •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과학비즈니스벨트에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시설과 장비가 구축되고 있다. 대표적인 시설로는 대형강입자가속기, 한국핵융합연구소, 한국우주항공연구원 등이 있다.
  • 과학기술 혁신 기반 조성: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 연구개발 투자 확대, 과학기술 인력 양성, 과학기술 창업 지원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 지역 발전 도모: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역의 활력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조성을 통해 지역의 연구개발 인프라가 구축되고, 과학기술 관련 기업이 유치되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향후 과제

  • 기초연구 인프라의 질적 향상: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기초연구 인프라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시설과 장비를 구축하고, 우수한 연구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기초연구의 성과를 과학기술 혁신으로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과학기술 혁신 기반의 조성: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혁신 기반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과학기술 인력 양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 창업 지원을 확대하고,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지역 발전의 활성화: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연구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관련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 특화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이 외에도,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범위와 규모. 운영 방안, 평가 체계 등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비전을 구체화하고, 추진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구동향

하태정(2010)[2]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흐름모델을 기반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정책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의제 형성 단계에서 정치적 흐름과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고, 정책형성 단계에서 과학자 집단보다는 정치가와 정부 관료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정주용(2011)[3]은 지역개발의제 선거공약과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거공약은 정책갈등의 배경을 제공하고, 이행과정에서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특히 지역개발의제는 한정된 자원배분과 구체성의 부족으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연속적인 선거는 갈등의 양립불가능성을 확장시켜 정책갈등을 유도할 수 있다.

배응환(2015)[4]은 의사결정의 네트워크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계획의 원안과 수정안 의사결정 과정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구조가 형성되었다. 원안 의사결정과정에서는 조직화된 이익의 정책공동체가 형성되어 공식적 통로를 통해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으며, 수정안 의사결정과정에서는 분절된 이익의 이슈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비공식적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인 정책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의사결정성격을 파악하고, 한국이 직면하는 복잡한 쟁점에 대한 문제해결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하태정. (2010).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 STEPI Insight, (41), 1-26.
  3. 정주용. (2011). 지역개발의제 선거공약과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4), 339-371.
  4. 배응환. (2015). 의사결정의 네트워크모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계획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9(3), 79-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