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돌봄공동체

Public Policy Wiki
주주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7일 (화) 19:15 판 (새 문서: = 개요 = === 사업목적 === *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틈새돌봄을 책임지는 공동체성 회복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동체 돌봄의 체계를 구축''' * '''아동'''이 안전하고 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돌봄생태계 구축 {| class="wikitable" !돌봄대상 |만 0세 ~ 만 12세 이하 돌봄이 필요한 모든 아동 |- !운영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사업목적

  •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틈새돌봄을 책임지는 공동체성 회복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동체 돌봄의 체계를 구축
  • 아동이 안전하고 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돌봄생태계 구축
돌봄대상 만 0세 ~ 만 12세 이하 돌봄이 필요한 모든 아동
운영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간에 따라 주중/주말 자유롭게 운영
돌봄장소 지역주민이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나

※ 공동육아나눔터, 마을 카페, 마을 농장, 작은도서관, 경로당, 마을회관, 아파트 유휴 공간, 체험학습장 등

프로그램 학습·놀이·체험, 등하교 지원, 급식 지원 등

돌봄 공동체는 기존 학교나 시설 위주로 진행되었던 공적 돌봄과 달리 지역 사회의 자발적인 주도로 이루어진다. [1]

중소도시와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서울(구로·마포구), 강원(원주시), 대전, 세종, 전북(전주·완주시), 광주(동구, 서구, 남구) 등 총 10개 시·군·구에서 돌봄 공동체가 선정되었다.

돌봄 공동체 유형은 총 세 가지로 구분되며, 선정된 지역에는 지역 맞춤형 돌봄 활동이 지원된다.

돌봄 활동 부모 자조모임인 ‘품앗이형’의 경우 ‘꿈꾸는 아이들'(광주 서구), ‘다함께 키움'(광주 동구), ‘동글동글 통통'(전북 전주), ‘개개맘'(서울 구로구)이 아빠참여 체험 활동, 독서 지도 등의 활동을 진행한다. 마을 공동체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 사회할동을 하는 ‘마을 공동체형’은 ‘소통과 화합의 한밭 자이'(대전), ‘방젯골'(광주 남구), ‘새샘마을 입주자 대표 회의'(세종), ‘완주 숟가락 공동육아'(전북 완주)가 숲속 체험 활동, 경로당 봉사 활동 등을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 경제조직형’은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으로 ‘또보자 마을학교'(서울 마포구), ‘라온 돌봄'(강원 원주) 등이 목공 교실, 동네 시장 탐방 등을 실시한다.

  • 품앗이형
    지역의 공동육아나눔터 등을 기반으로 조성되어 돌봄 활동을 하는 부모 자조 모임 및 품앗이 그룹 등
    마을 공동체형
    부모 및 지역 주민이 *마을의 커뮤니티 공간을 기반으로 돌봄 활동과 돌봄을 매개로 한 지역 사회 활동을 하는 공동체 등 *북카페, 마을카페, 마을밥상, 마을농장, 쉼터, 녹색가게 등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활동을 하는 비영리 민간단체, 협동 조합, 마을 기업, 자활 기업, (예비)사회적 기업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 등

최근 좋은 돌봄을 실천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돌봄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2]

부모들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직접 영유아를 대상으로 돌봄 서 비스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가적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한살림 등 지역 협동조합을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돌봄 서비스도 공급되고 있다. 돌봄 공동체는 돌봄을 목적으로 공동체 구성원 간 끈끈한 유대관계와 신뢰를 바탕으 로 만들어진 공동체이다. 돌봄 공동체는 돌봄 제공자가 단방향으로 서비스를 생산하는 제도적 돌봄과는 달리 구성원들이 돌봄 서비스를 함께 생산⋅소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구성원들은 돌봄 대상자의 개별적 욕구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공유 할 수 있어 돌봄 대상자에게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돌봄 책임을 구성 원들이 돌봄을 함께 분담하기 때문에 돌봄 제공자에 대한 돌봄도 함께 제공한다.

관련사이트

건강가정지원센터 대표 누리집

우리동네 돌봄공동체

관련 법령

아이돌봄 지원법

[시행 2020. 11. 20.] [법률 제17283호, 2020. 5. 19., 일부개정]

사업수행기관 목록

서울 구로구

구로구 가족센터

충남 홍성군

홍성군 가족센터

전북 전주시

전주시 건강가정지원센터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가족센터

세종시

세종시 가족센터

충남 당진시

당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충북 괴산군

괴산군 가족센터

광주 남구

광주 남구 가족센터

전남 광양시

광양시 가족센터

전북 완주군

완주군 가족센터

서울 마포구

또보자 마을학교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구 건강가정지원터

대구 달서구

달서구 가족센터

대구 수성구

수성구 가족센터

경기 광명시

광명시 가족센터

충북 진천군

진천군 가족센터

경기 하남시

하남시 건강가정지원센터

경북 구미시

구미시 가족센터

제주 제주시

제주 가족센터

연구동향

McMillan과 Chavis(1986)는 소속감은 내집단과 외집단을 구별하는 “경계에 대한 인식”이 공동체에 대한 귀속감(sense of belongings)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어 간다고 보았다.

Dickens(1994)는 공동체를 통한 돌봄 서비스에 돌봄 당사자가 함께 참여하게 되면 구성원들로부터 조력을 받을 수 있고 공동체를 통해서는 자연스럽게 돌봄 제공자를 위한 돌봄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장수정(2012)은 돌봄은 돌봄 대상자를 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행위라 정의하였다.

김은정(2015)은 돌봄 제공자는 대부분 기관에 의해 고용된 돌봄 노동자로 돌봄 공급자의 전문적이고 합리적인 역량이 중요하게 다뤄진다고 하였다.

박종화(2016)은 마을 공동체 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공동체가 어떤 단계를 거쳐 활성화 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황선영(2020)은 대표적인 돌봄 공동체인 공동육아협동조합 어린이집 사례를 통해 돌봄 공동체가 좋 은 돌봄(good-care) 서비스를 생산하는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해 탐색하였다.

참고문헌

김은정, 2015, “사회적 돌봄체계 구축에서 공동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6(2): 153-176.

박종화, 2016, “사적 도시공간의 공적이용에서 사회적 근접성의 영향”, 지방정부연구, 19(4): 369-393.

장수정, 2012,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역 돌봄 공동체 사례 연구”, 한국여성학, 28(2): 1-31.

황선영. (2020). 돌봄 공동체를 통한 좋은 돌봄(good-care) 서비스 생산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 -. 한국가족복지학, 67(4), 5-46.

Dickens, P., 1994, Quality and Excellence in Human Services, John Wiley & Sons.

McMillan, D. W., and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1. 여성가족부, (2020). 모든 지역에 주어지는 돌봄 혜택, 돌봄 공동체 사업 여성가족부, (2020). 여가부, 주민 돌봄 공동체 만들기 본격 추진
  2. 황선영. (2020). 돌봄 공동체를 통한 좋은 돌봄(good-care) 서비스 생산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 -. 한국가족복지학, 67(4),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