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농촌관광마을

Public Policy Wiki
수정스탈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20일 (월) 17:06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농촌관광마을의 개념과 특징

농촌관광마을은 농촌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체험, 휴식, 관광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된 마을을 말한다. 농촌관광마을은 광의적으로는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산촌생태마을 등을 포함하며, 「도시와 농어촌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과 사업을 갖추고, 국가 및 지자체로부터 지정받은 마을을 의미한다.[1]

농촌관광마을의 추진 배경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농촌의 정주여건을 악화시키고, 지역경제를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농촌의 인구 감소로 인해 농촌지역의 학교, 병원, 상점 등 생활편의시설이 감소하고, 농촌의 공동체가 약화된다. 또한, 농촌의 고령화로 인해 농촌의 노동력이 감소하고, 농촌의 생산력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농촌의 소득 수준 저하 또한 농촌의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농촌 주민들의 소득이 낮으면, 농촌에서의 삶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농촌 주민들이 도시로 이주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농촌관광은 농촌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농촌관광을 통해 농촌지역의 소비가 증가하고, 농촌기업의 매출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농촌관광은 농촌의 문화와 자연을 홍보하고, 농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연구동향

서정호(2008)[2]는 지리산권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농촌관광은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마을회관의 생산적 활용이 미흡하여 마을소득증대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권역 5개 시·군 10개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마을회관이 회의, 마을행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관광마을들이 정부의 지원으로 방문자센터, 각종 체험장과 시설물 설치에 치중한 결과이다.

윤유식(2009)[3]은 농촌관광마을 사회자본에 따른 관광개발태도 및 관광개발 지지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민의 사회자본은 네트워크, 주민 협력 및 협력, 신뢰 및 믿음, 마을 규정 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며,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와 관광개발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관광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사회자본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병훈(2012)[4]은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스토리텔링구현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은 기승전결의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연속성과 동선체계, 위계, 감춤과 드러냄, 틀, 수사적 기법에 의한 명명 등의 방법론적 요소를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혜련&채혜성(2013)[5]은 농업, 농촌 6 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만족도가 낮고, 브랜드, 소재, 형태, 용도, 품목, 컬러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은 농가소득 증대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마을 표준화 디자인 활용 교육, 라벨 표기 사항 개선, 용도별 포장디자인 개발, 가공류 생산·판매 법·제도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서정호. (2008). 지리산권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8(2), 121-144.
  3. 윤유식. (2009). 농촌관광마을 사회자본에 따른 관광개발태도 및 관광개발 지지도에 관한 연구. 농어촌관광학회지, 16(3), 41-61.
  4. 이병훈. (2012).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스토리텔링구현 전략. 관광연구, 26(6), 247-261.
  5. 진혜련, & 채혜성. (2013). 농업, 농촌 6 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5), 599-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