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Public Policy Wiki
토피아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21일 (화) 21:04 판 (새 문서: = 개요 및 현황<ref>'''교육부 보도자료. 2022년 직업계고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2022. 7. 4.(월) 08:30'''</ref> = 직업계고 재구조화는 직업계고의 질적 경쟁력을 제고하고, 반도체 등 첨단산업 수요 맞춤형 기초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2022년 '''직업계고등학교'''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79개교 1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및 현황[1]

직업계고 재구조화는 직업계고의 질적 경쟁력을 제고하고, 반도체 등 첨단산업 수요 맞춤형 기초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2022년 직업계고등학교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79개교 102개 학과)를 발표하였다. 산업구조 변화와 학령인구 감소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업계고의 경쟁력제고하고, 산업수요와 학교 교육과정의 불일치해소하고자 2016년부터 매년 100개 내외의 학과 개편과 교육과정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각 학교로부터 신청을 접수받아 교육·산업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거쳐 지원 대상학교와 학과를 최종 선정하였으며, 지원이 확정된 학교는 시도교육청의 승인 절차를 거친 후 2024학년도부터 학과 개편에 따라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다. 학과개편 유형을 교과군별로 분석한 결과, 전기·전자(17%), 기계(16%), 디자인문화콘텐츠(13%), 농림수산해양(11%) 순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이번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에 인공지능, 미래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첨단산업 관련 학과 개편이 다수 선정되어 신산업 분야의 기초기술인재 육성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인력수요가 확대되는 반려동물·보건 등 서비스 관련 분야 학과 개편으로 학생·학부모의 교육 만족도를 제고하고, 지역산업과 연계한 학과 개편으로 지역별 특화·전략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 (추진배경) 산업구조 및 직무내용 변화, 학생‧학부모의 직업교육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직업계고의 학과개편 등 지원

○ (추진경과) ’16년 이후 매년 100개 내외의 학과를 선정

연도 선정학교 총계 유형별 선정 현황 학교(학과 수) 예산규모
유형전환 학교

통폐함

학과 재구조화‧개편 학급증설
2016년 96개교(155개 학과) - 3 87(141) 11(13) 786.5억원
2017년 71개교(121개 학과) 3(8) - 62(103) 10(10) 596.5억원
2018년 61개교(98개 학과) - - 59(95) 3(3) 453억원
2019년 91개교(125개 학과) 1(1) - 86(120) 4(4) 560억원
2020년 101개교(153개 학과) 1(2) - 97(146) 4(5) 711.5억원
2021년 101개교(148개 학과) 1(3) - 98(143) 2(2) 615.5억원

○ (심사방법) 교육청별로 신청 학과 분야별로 교육과정·산업현장 전문가로 심사위원을 구성하여 심사하고 지원대상 결정→교육부는 재구조화 지원에 대한 기준을 선정하고 필수요건 충족 여부 등 검토

○ (심사기준) 추진 필요성, 성공 가능성, 절차적 타당성 평가

영역 배점 평가 기준
추진

필요성

40 재지원 여부, 미래 고졸인력 수요, 신입생 확보 및 중장기적 비전

※ 4차 산업분야, 지역 전략·특화 산업분야, 뿌리산업 분야 등 교육청별 가점 부여 가능

성공

가능성

40 교육과정 변경비율 충족여부 (Pass / Fail) (필수)

※ 동일 교과군 내 개편 시 30%, 타 교과군으로 개편 시 40% 이상 변경 / 학점제 등에 따라 동일 학과 내 코스를 다양화하는 경우 코스별로 변경

전공교원 확보 및 연수 계획, 취업처 확보 방안, 예산 편성 및 운영 계획

절차적

타당성

20 이해관계자(교직원, 학운위, 이사회 등) 동의 (Pass / Fail) (필수)

※ 재구조화 타당성 획득을 위한 노력

□ 추진 절차 및 향후 추진계획

재구조화

안내 및 공고

접수 교육청 심사 필수요건 등 점검 선정

및 안내

(당해연도 3월) (당해연도 4월) (당해연도 6월) (당해연도 6월) (당해연도 7월)
컨설팅 및 모니터링 학과개편 승인(교육청) 신입생 입학 및 운영
(당해연도 8월~) (당해연도 상)
학과개편 추진 (학교)
(당해연도 7월~) (차차년도3월~)

< 신산업 분야 학과개편 주요 사례 >

학교명 선정학과명 교과군
서울공업고등학교 친환경에너지전기과 전기·전자
부산자동차고등학교 미래자동차정비과 기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스마트농생명과 농림수산해양
문학정보고등학교 소프트웨어개발과 정보·통신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스마트기계과 재료
경기항공고등학교 로봇자동화과 전기·전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IOT소프트웨어과 전기·전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AI콘텐츠과 디자인문화콘텐츠
창녕공업고등학교 스마트팩토리과 기계
창원공업고등학교 로봇산업설비과 기계

<2022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대상 학과>

학과 개편 : 75개교 98개과 / 학급증설: 4개교 4개과

연번 시도 학교명 지원유형 신청학과 현재학과
학과명 학급수 학과명 학급수
1 서울

(15교)

서울관광고등학교 학과개편 카페경영과 2 관광경영과 2
2 성동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소방안전기계과 1 컴퓨터응용기계과 1
3 성동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소방시설관리과 1 산업설비과 1
4 서울전자고등학교 학과개편 애니메이션과 2 스마트시스템과 1
조명아트과 1
5 서울전자고등학교 학과개편 웹툰과 2 미디어아트과 2
6 성동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도시건축디자인과 1 건축토목과 1
7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의료미용과 1 의료비즈니스과 1
8 유한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로봇전기과 2 로봇전기과 2
9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컴퓨터전자과 2 컴퓨터전자과 2
10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학과개편 콘텐츠디자인과 2 국제통상과 1
IT비즈니스과 1
11 서울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친환경에너지전기과 1 전기전자과 1
12 서울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전자과 1 전기전자과 1
13 서울금융고등학교 학과개편 반려동물과 2 세무회계과 2
14 대진디자인고등학교 학과개편 메타버스디자인과 3 소프트웨어콘텐츠과 3
15 상일미디어고등학교 학과개편 사물인터넷과 2 스마트정보통신과 2
16 서울디지텍고등학교 학과개편 게임개발과 2 게임콘텐츠과 1
VR콘텐츠과 1
17 서울아이티고등학교 학과개편 3D모델링과 1 폴리메카닉스과 1
18 세명컴퓨터고등학교 학과개편 모빌리티메이커과 1 디바이스소프트웨어과 1
19 한양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전자과 2 디지털전자과 2
20 부산

(2교)

부산자동차고등학교 학과개편 미래자동차정비과정 2 자동차정비과정 1
자동차정비과정

(바디리페어)

1
21 배정미래고등학교 학과개편 보건간호과 2 경영과 2
22 대구

(5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농생명과 2 신수종과수경영과 2
23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학과개편 그린바이오산업과 2 ICT시설특작과 2
24 대구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친환경자동차과 2 자동차기계과 2
25 대구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전기과 2 전기과 2
26 대구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융합섬유과 1 섬유과 1
27 경북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반도체화공과 2 디스플레이화공과 2
28 영남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패션콘텐츠과 2 텍스타일디자인과 2
29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보건행정코디네이터과 2 경영사무과 1
금융회계과 1
30 인천

(7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자동화과 2 자동화기계과 2
31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전기과 2 전기과 2
32 인천정보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IT스마트전자과 3 IT전자과 3
33 인평자동차고등학교 학과개편 자동차바디튜닝과 2 에코자동차과 1
자동차IT과 1
34 문학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소프트웨어개발과 2 스마트미디어과 2
35 문학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웹툰시각디자인과 2 스마트미디어과 1
36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콘텐츠디자인과 2 금융회계과 1
세무회계과 1
37 인천세무고등학교 학과개편 베이커리카페과 2 세무회계과 1
수출입물류과 1
38 인천세무고등학교 학과개편 디자인콘텐츠과 2 세무회계과 1
수출입물류과 1
39 인천금융고등학교 학과개편 유아보육과 2 사무행정과 2
40 광주

(2교)

광주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과개편 인공지능(AI)과 1 스마트IoT과 2
41 전남공업고등학교 학급증설 카페베이커리과 1 - -
42 대전

(4교)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기계과 3 기계과 3
43 신일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카페파티셰과 2 스토어마케팅과 1
스마트금융과 1
44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기계과 1 컴퓨터응용기계과 1
45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학과개편 미디어콘텐츠디자인과 2 광고영상디자인과 2
46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설비과 2 산업설비과 2
47 경기

(16교)

경기세무고등학교 학과개편 e커머스과 1 세무행정과 1
48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패션스타일리스트과 1 디지털섬유과 2
49 경기관광고등학교 학과개편 항공호텔서비스과 1 관광외국어과 1
50 경기물류고등학교 학과개편 융합소프트웨어과 1 국제경영과 3
51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영상커뮤니케이션과 2 스마트영상통신과 2
52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공간연출디자인과 2 방송무대디자인과 2
53 경기항공고등학교 학과개편 로봇자동화과 1 스마트전자과 1
54 동일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미래자동차과 2 자동차과 2
55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메타비즈니스과 2 회계금융비즈니스과 4
56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패션산업디자인과 1 공공사무행정과 2
57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영상콘텐츠과 2 소셜미디어콘텐츠과 2
58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학급증설 레저동물산업과 1 - -
59 삼일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로봇설계과 2 기계과 2
60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전기전자과 2 디지털전기전자과 2
61 성보경영고등학교 학과개편 펫매니지먼트과 1 외식조리경영과 3
62 세경고등학교 학과개편 크리에이티브미디어디자인과 2 미디어콘텐츠디자인과 2
63 세경고등학교 학과개편 항공전자과 1 디지털정보전자과 1
64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학과개편 베이커리카페과 1 비즈니스중국어과 2
비즈니스일본어과 2
65 진위고등학교 학과개편 그래픽미디어과 1 사무자동화과 2
66 평촌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기계과 2 전자기계과 2
67 강원

(3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커피베이커리과 1 금융정보과 1
68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항공정비시스템과 3 자동화기계과 1
특수기계과 1
전기과 1
자동차과 1
69 소양고등학교 학과개편 반려동물케어과 1 스마트전기전자과 1
70 소양고등학교 학과개편 카페N디저트과 1 바이오식품가공과 1
71 충북

(1교)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학급증설 농산업경영과 1 - -
72 충남

(6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축산자원개발과 1 축산경영과 1
73 서산중앙고등학교 학과개편 생태경관디자인과 1 원예조경과 1
74 서산중앙고등학교 학과개편 산업설비기계과 1 생물산업기계과 1
75 금산하이텍고등학교 학과개편 전기시스템제어과 1 전기제어과 1
76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IoT소프트웨어과 2 디지털전자과 2
77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IoT디바이스제어과 2 전기제어과 2
정보통신과 2
78 천안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도시공간건설과 2 토목과 2
79 천안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건축디자인과 2 건축과 2
80 천안상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경영과 3 물류유통과 3
81 전북

(4교)

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 학과개편 보건행정과 2 창업경영과 2
82 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 학과개편 반려동물과 2 회계금융과 2
83 전주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전자과 2 전자과 2
84 부안제일고등학교 학과개편 카페베이커리과 1 식품가공과 1
85 진경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카페디저트과 1 국제무역과 1
86 전남

(2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학과개편 AI콘텐츠과 2 금융정보과 2
87 해남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기계과 2 기계과 2
88 경북

(5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디저트카페창업과 1 회계금융과 1
89 구미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메타커머스과 1 유통판매과 1
90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디저트카페경영과 1 식품가공과 2
91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학과개편 미트푸드산업과 1 식품가공과 2
92 경주정보고등학교 학과개편 글로벌경영과 2 경영품질과 2
93 신라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AI융합과 2 자동화시스템과 1
정밀기계과 1
94 경남

(7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학과개편 AI측정과 1 AI측정과 1
95 마산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융합설비과 2 기계과 2
96 선명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베이커리카페과 2 경영정보과 2
97 창녕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팩토리과 1 컴퓨터응용기계과 1
98 창원공업고등학교 학과개편 로봇산업설비과 2 특수산업설비과 2
99 한일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미디어콘텐츠과 2 웹솔루션과 2
100 한일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스마트디자인과 2 웹솔루션과 1
컴퓨터정보기술과 1
101 한일여자고등학교 학과개편 AI소프트웨어과 2 컴퓨터정보기술과 2
102 진영제일고등학교 학급증설 상업정보과 1 - -

사업내용[2]

1) 산업 수요 전망 자료 개발

○ 목적 ­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의 학과 개편 방향 설정과 추진 지원을 위한 고졸인력 관련 산업 수요 전망 자료 작성 및 배포

○ 내용 및 방법 ­ 고졸인력 관련 산업 수요 전망 자료 검색 및 자료 작성 ­ 고졸인력 관련 정책동향 자료 수집(기획재정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 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 추진 시기: 2022년 2~3월

2) 직업계고 재구조화 사업 컨설턴트 양성

○ 목적 ­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의 학과 개편 추진 지원을 위한 역량 있는 컨설턴트 양성

○ 내용 및 방법 ­ 예비 컨설턴트 선정: 시도교육청 추천 ­ 분야(NCS 교과군 등) 및 활동 가능 지역을 고려 ­ 연수 대상: 직업계고 부장급 교사(교직 경력 10년 이상), 25명 이내 ­ 예비 컨설턴트에 대한 역량 강화 연수 실시 ­

연수 내용: 직업계고 재구조화 사업 이해, 최신 직업교육 정책(학점제, NCS 교육과정 등), 학과 개편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진단 및 해결 방안 도출 등) 등 ­

연수 시간: 30시간

○ 추진 시기: 2022년 7~8월

3)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을 위한 집중 컨설팅 실시

○ 목적 ­ 대폭적인 학과 개편*이 이루어지는 학교 및 학과에 대해 중앙 차원에서 컨설팅단을 구성하여 학과 개편 계획 수립 및 추진 지원

* 학교유형 전환(일반고 → 특성화고), 교과군 변경(예: 경영·금융 교과군 → 음식조리 교과군) 또는 학과 신설 등을 추진하는 학교 중 추진 계획 수립 등에 어려움(적임자 부재)이 발생한 경우

○ 내용 및 방법 ­ 추진 절차: 집중 컨설팅 수요 조사*(하반기) → 집중 컨설팅 대상 학과 선정 → 컨설팅 요구사항 접수 → 컨설팅단(교당 최소 3명) 구성 → 컨설팅 실시(최소 3회 협의) → 컨설팅 결과 공유(학교) → 컨설팅 결과 보고서 작성 * 수요 조사는 시도교육청을 통해 실시(자발적 참여) ­

대상 학과: 2022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사업 신규 선정 학과 중 19개 학과

○ 추진 시기: 2022년 9월 ~ 2022년 12월

필요성[3]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의 변화, 저출산·고령화 등 직업 환경의 변화는 중등 단계 직업교육 전반에 위기이자 기회로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

○ 특히 유망 분야 고졸인력 수요를 고려한 직업계고 학과 개편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음〔교육부,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향과 과제(마스터플랜)」, 2018. 7. 18.〕.

○ 정부는 고졸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불일치를 완화하기 위한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 확대 계획(2016. 4. 25.)’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따라서 본 사업은 2020년부터 시도교육청 주도의 직업계고 재구조화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시도교육청에 필요한 중앙 차원의 지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시도교육청 및 학교에서 학과 개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고졸인력 수요 전망 자료를 제작하여 보급함. ­

둘째, 시도교육청 차원의 대상 학교에 대한 지원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컨설턴트를 양성함. ­

셋째, 대규모 학과 개편이 계획된 학교를 대상으로 중앙단위에서 집중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학과 개편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함.

외부링크

교육부

재구조화 모니터링

하이파이브 (특성화고 포털)

우수사례

구분 주요내용
신기술·

신산업분야 학과개편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인공지능전자과, 2020

- 전자제어과·전자회로과 → 인공지능전자과, 신입생 100% 충원

- 인공지능 관련 기술인력 수요 확대 예측에 따라 학과개편 실시, 유관협회인 인천경총, 인천테크노파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한국인공지능협회등과 MOU체결 및 우수 AI 기업 발굴 및 학생 취업 연계

- 마이크로프로세서 펌웨어 기반의 전자와 인공지능의 융합 교육과정 운영, ARM 펌웨어, AI 플랫폼, AI 펌웨어, AI 모델링 등 교육과정 편성, 인공지능 프로젝트 학습으로 전문기술 향상

∙경기 세경고등학교 인공지능반도체과, 2020

- 반도체디스플레이과 → 인공지능반도체과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산업현장(반도체, 전자, IT분야)의 직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AI Lap Space 구축 → AI・AR 기반 증강현실 체험 운영, 혼합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 수업 실시

- 인텔이노베이션랩 연계 인공지능 실습 운영 등으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제고. 학과 재구조화(2020년) 이후 신입생 충원율 100%달성, 졸업생 취업처 확보를 위한 인공지능반도체과 중심의 클러스터 운영으로 2021년 취업률 75% 달성

지역산업 연계형 학과개편 ∙전남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스마트팜관리과, 2021

- 산업기계과 → 스마트팜관리과

- 스마트팜 구축, 스마트팜 관리사, 스마트팜 농산물 품질관리사, 농기계 정비사 등 기타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여 취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편

- 스마트팜 혁신밸리 지역인 고흥군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지역과 함께 동반성장 발전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농생명 계열 스마트팜 분야 취업으로 창의융합적인 스마트팜 기능 인재 육성

서비스·

유망분야 학과개편

경북 한국펫고등학교, 2019

- 금융회계과→반려동물과(’19), 경영서비스과→반려동물뷰티케어과(’20)

- 반려동물교육센터 건립, 야외 훈련장 구축, 반려동물 공원 조성으로 펫 교육의 중심 학교로 정착

- 반려동물 시장 규모의 확대 등 반려동물에 대한 높은 수요를 반영하여 반려동물케어 전문 특성화고로 전환하고 신입생 충원률 100% 달성

  1. 교육부 보도자료. 2022년 직업계고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2022. 7. 4.(월) 08:30
  2. 교육부, 부산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 1. 직업계고 재구조화 역량 강화 지원 사업
  3. 교육부, 부산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 1. 직업계고 재구조화 역량 강화 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