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농산물소득조사
개요
농산물소득조사는 매년 농산물 소득을 조사·분석하여 농업경영 진단 및 설계 등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경영개선 연구·지도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농산물소득조사 작물
동작물(22작물) : 해당연도 8월까지 조사
봄감자, 겉보리, 쌀보리, 밀, 봄배추, 시설시금치, 시설상추, 시설오이(촉성), 시설오이(반촉성), 시설오이(억제), 시설토마토(촉성), 시설토마토(반촉성), 시설방울토마토, 시설호박, 시설참외, 시설수박(반촉성), 시설딸기, 시설고추, 시설부추, 시설가지, 시설착색단고추, 시설장미
하작물(28작물) : 차년도 2월까지 조사
고구마, 가을감자, 노지풋옥수수, 인삼(4년근), 참깨, 들깨, 가을무, 고랭지무, 가을배추, 고랭지배추, 양배추, 대파, 쪽파, 생강, 당근, 수박, 시금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단감, 블루베리, 참다래, 자두, 오미자, 시설포도
조사체계(수행기관 및 역할)
- 농촌진흥청
- 조사계획 수립
- 분석프로그램 개발·보완
- 조사자료 집계·분석
- 보고서 발간
- 도농업기술원
- 조사·입력 교육
- 경영기록장 및 조사표 검토
- 조사·입력자료 검토 및 보완조사
- 시·군농업기술센터
- 조사지역 및 농가선정
- 농가방문 및 경영기록장 기장조사
- 경영기록장 및 조사표 검토
- 시스템(AMIS) 조사자료 입력
외부사이트
농사로https://www.nongsaro.go.kr/
연혁 및 현황
- 1977년 : 농축산물소득 조사·분석
- 2000년 : 1차 표본설계
- 2002년 : 통계청 일반통계 승인 (제 143002호 43작물)
- 2007년 : 2차 표본설계 – 모집단 노후화
- 2010년 : 통계승인 작물 확대(58작물)
- 2012년 : 3차 표본설계 – 신뢰성 제고
- 2017년 : 4차 표본설계 – 표본대표성 제고
- 2020년 : 경영기록장을 이용한 전면 기록조사 전환
연구현황[1]
- Woo 등(2007)은 현실에 맞는 과수 조성비 산출을 위해 새로운 재배 방법에 맞는 과수별 내용연수 개발이 필요하고, 기존 농산물소득조사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재배면적이 확대되는 작목에 대한 소득 정보 제공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Lee 등(2015)은 농산물소득 조사가 농가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농가경영 특성, 생산기술 및 정책참여 현황 등을 추가로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 Seo 등(2018)과 Yang 등(2020)은 효율적인 소득 조사와 자료 신뢰성 제고를 위한 도 광역조사체계 도입방안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 Lee 등 (2018)은 시군농업기술센터 조사원 1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산물소득조사 의 정확성과 신뢰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춘수 외(2023)은 농산물소득조사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사회경제적 가치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정보의 가치추정 사례를 조사하고, 농산물소득조사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산물소득조사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농가 및 전문가 인식을 조사하였다.
참고문헌
이춘수, 정다은, & 양성범. (2023). 농산물소득조사의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31(4), 259-289.
Lee, C. S., H. S. Ko, H. K. Kim, and S. B. Yang. 2018. A Study on the Inspecto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f Agriculture Income Survey.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5(2): 1-20. 7
Lee, C. S., S. J. Yun, G. A. Kim, and S. R. Yang. 2015. An Analysis of Economic Efficiency of Fruits Farms: the Case of Apples, Pears, and Grapes Farms.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3(4): 615-641.
Woo, S. G., H. D. Kim, J. S. Han, T. G. Jeong, D. H. Lee, H. K. Kim, J. W. Lee, B. K. Kim, J. H. Choi, and S. H. Ko. 2007. Profitability Analysys of Agricultural Produc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eo, S. T., U. S. Jeong, J. H. Ha, S. H. Jeon, and S. H. Jeong. 2018.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Record Operation of Agricultural Income Survey and the Introduction of Province Wide-area Survey Syste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 Project.
- ↑ 이춘수, 정다은, & 양성범. (2023). 농산물소득조사의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31(4), 259-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