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감염인지원사업

Public Policy Wiki
River9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6일 (화) 10:15 판 (새 문서: 정부는 후천성면역결핍증 감염인을 위하여 각종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진료비 지원, 감염인 상담 지원, 간병 및 간병비 지원, 감염인의 사회통합 지원, 쉼터 운영 등이 있다. == 진료비지원 == ==== 목적 ==== HIV 감염인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 지원으로 타인에게 전파 예방과 건강관리를 지원하고, HIV 감염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와 감염인의 혈액 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정부는 후천성면역결핍증 감염인을 위하여 각종 지원 사업을 수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진료비 지원, 감염인 상담 지원, 간병 및 간병비 지원, 감염인의 사회통합 지원, 쉼터 운영 등이 있다.

진료비지원

목적

HIV 감염인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 지원으로 타인에게 전파 예방과 건강관리를 지원하고, HIV 감염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와 감염인의 혈액 등에 노출된 보건요원의 HIV 감염 예방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내용

  • HIV 감염 진단되어 실명으로 등록된 사람의 HIV 관련 진료에 대한 요양급여의 본인부담금
  • HIV 감염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HIV 감염 예방 약제 및 HIV 추구검사 비용
  • 의료행위 중 HIV 감염인의 혈액 등에 노출된 보건요원의 HIV 감염 예방 치료에 대한 요양급여의 본인부담금

지원기간

HIV 감염 진단일(확인검사기관의 최종 판정일)로부터 지원

  • 입원기간 중 진단된 경우, 입원일로부터 지원
  • 익명 신고자인 경우, 실명전환일로부터 지원
  • 미결정 판정 후 진단된 경우, 미결정 판정일로부터 지원


의료기관감염인상담사업

목적

감염인에게 복약 및 심리상담 등 통합 상담을 제공하여 건강유지・증진 및 사회적응을 촉진하고, 행동변화를 통해 전파 예방을 하고자 한다.

대상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HIV 감염인, 가족 등

내용

HIV 감염인이 주로 이용하는 의료기관 감염내과에 전문 상담간호사를 배치하여 대면, 전화, 온라인 상담을 제공한다.

  • 질병관련 올바른 정보제공, 복약상담, 심리상담 등 통합적 상담 제공
  • 유관기관 연계 : 지역사회자원 및 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지원 방안 모색

참여 의료기관 현황

참여 의료기관 현황 - 지역, 의료기관명, 상담실(전화번호, FAX)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역 의료기관명 상담실
전화번호 Fax
서울특별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02-2258-1242 02-2258-1254
고려대학교구로병원 02-2626-2828 02-851-8054
국립중앙의료원 02-2260-7546 02-2268-0803
삼성서울병원 02-3410-2131 02-3410-2131
서울아산병원 02-3010-6923 02-3010-6711
세브란스병원 02-2228-5494 02-2227-8047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02-2276-7801 02-2276-7111
강동성심병원 02-2152-1051 02-475-1095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02-870-3898 02-870-3899
건국대학교병원 010-3053-7546 -
고려대학교안암병원 02-920-6094 02-920-6094
순천향대학교부속서울병원 02-710-3064 -
한양대학교서울병원 010-5139-1898 -
부산광역시 동아대학교병원 051-240-5568 051-240-2045
부산대학교병원 051-240-8429 051-247-3213
대구광역시 경북대학교병원 053-200-5951 053-424-5542
인천광역시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032-890-2124 032-890-2123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병원 062-220-6495 062-220-6496
062-220-6907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병원 042-280-8626 042-280-8625
경기도 아주대학교병원 031-219-7414 031-219-7414
031-219-7412
고려대학교안산병원 031-412-5026 031-412-4210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032-621-6492 032-621-6494
강 원 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033-731-1290 033-731-1290
충청북도 충북대학교병원 043-269-6299 043-269-6299
전라북도 전북대학교병원 063-250-2578 063-250-2578
경상남도 경상대학교병원 055-750-9468 055-750-9469

급성기 간병지원사업

목적

건강 악화로 입원·치료중인 HIV 감염인 및 에이즈 환자에게 전문 간병인을 지원하여 입원중인 감염인의 건강 회복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상

전국 의료기관에 입원·치료 중인 HIV 감염인

내용

간병이 필요한 환자에게 전문교육을 수료한 간병인을 파견하여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건강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단기 서비스 제공한다.

수행기관 및 연락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02-861-5448

www.aids.or.kr

간병비 지원사업

목적

요양병원에 입원·치료 중인 에이즈 환자의 간병비 지원으로 심리적 안정 도모하고자 한다.

대상

전국 요양병원에 입원한 HIV 감염인

내용

전국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에이즈 환자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한 간병비 지원 및 의료기관에 대한 감염예방 관리비 지원한다.

수행기관 및 연락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02-861-5448

www.aids.or.kr

재가복지지원사업

목적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인 차별과 편견으로 인해 심리,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는 HIV 감염인의 사회통합 지원을 통한 삶의 질 향상하고자 한다.

대상

취약계층 재가 HIV 감염인 가정

장소

서울 및 수도권 지역

내용

반찬 및 생필품 지원, 청소 및 위생관리 지원, 병원동행, 행정지원, 안부 등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행기관 및 연락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02-861-4114

www.aids.or.kr

HIV 감염인 쉼터 운영사업

목적

입원 치료 후 퇴원한 환자 및 단기 주거가 필요한 HIV 감염인에게 숙식 및 프로그램 제공으로 사회복귀 유도하고자 한다.

대상

단기 주거시설이 필요한 HIV 감염인

입소방벙

담당자 상담을 통해 쉼터 생활 가능 여부 판단 후 입소 결정한다.

체류기간

6월 ~ 12월

지원내용

건강상 돌봄이 필요하거나 자립하려고 하는 HIV 감염인에게 숙식 및 편안한 휴식 장소를 제공한다.

수행기관 및 연락처

  • 부산 : 구세군보건사업부 1800-4939 www.aidscare.or.kr
  • 대구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02-859-5446 www.aids.or.kr

취약계층 감염인 지원사업

목적

경제적,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감염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긍정적 사회적응과 삶의 질 향상의 기반을 마련하고, 공동체 안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대상

취약계층 HIV 감염인(노숙 및 무연고, 임산부, 외국인, 교정시설 입·출소 감염인)

지원내용

  • 생활안정지원 : 주거비 지원, 교통비 지원, 행정비 지원, 의류 지원, 생필품 지원
  • 교정시설지원 : 도서구입비 지원, 영치물 지원, 서신교환, 접견상담
  • 정서안정지원 : 대면상담, 전화상담
  • 외부자원연계 : 재가복지 반찬지원, 의료비 지원, 쉼터 연계

수행기관 및 연락처

한국가톨릭레드리본 02-753-2037,8

www.redribbo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