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예방사업

Public Policy Wiki
River9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6일 (화) 10:2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정부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한 각종 사업을 수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및 상담, 홍보, 상담·검진 제공 및 취약 감염 외국인들에게 진료비 등을 지원하고 맞춤 상담 제공, 대국민 캠페인을 통해 HIV/AIDS에 대한 잘못된 정보 및 부정적인 인식을 바로 잡아 올바른 정보를 전달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이즈에 대한 지식·태도·신념 및 행태조사

목적

HIV/AIDS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에이즈에 대한 두려움 및 감염인에 대한 편견 해소를 위해 일반 국민 대상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HIV/AIDS 예방관리 정책수립의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는 정책연구용역사업이다.

수행기관 및 연락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1599-8105

www.aids.or.kr, aids114.or.kr

에이즈상담센터

목적

국민들을 대상으로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및 상담을 통해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에이즈 예방을 하고자 한다.

상담시간

월 ~ 금 09:00 ~ 18:00

지원내용

내담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담 창구를 통해 전문 심리상담사가 에이즈와 관련한 올바른 정보 및 상담 제공한다.

상담방법

전화상담(1599-8105), 인터넷상담(aids114.or.kr), 방문상담, 카카오톡상담(에이즈상담센터), 네이버지식인상담

수행기관 및 연락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1599-8105

www.aids.or.kr, aids114.or.kr

외국인 HIV 예방지원센터

목적

국내 체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홍보, 상담·검진 제공 및 취약 감염 외국인들에게 진료비 등을 지원하고 맞춤 상담 제공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에이즈 감염을 조기에 발견하며, 예방행동으로 감염예방 확산을 억제한다.

대상

국내 체류 외국인

장소

서울(길음/이태원), 경기(안산), 부산(범일)

지원내용

  • 전국 캠페인, 커뮤니티 및 홈페이지 등 온/오프라인 홍보활동 실시
  • 에이즈 신속검사 및 성병검사 제공 : 일요일 또는 토요일 실시되며, 국내 체류 외국인 대상 무료 및 익명 검사
  • 국내 체류 외국인 중 국내에서 발견된 감염인(OECD 비가입국 출신 및 건강보험 혜택받지 못하는 자) 대상 치료비 지원 및 상담 지원

수행기관 및 연락처

한국에이즈퇴치연맹(외국인 HIV/AIDS 예방지원센터)

www.khap.org

  • (서울 길음) 02-927-4322, 02-927-4323
  • (서울 이태원) 02-749-1108
  • (경기 안산) 031-495-0550
  • (부산 범일) 출장으로 운영, 서울(길음/이태원)로 전화예약

동성애자 에이즈 예방센터

목적

감염 취약 군인 남성 동성애자(MSM)와 성 전환자(MtoF)를 대상으로 에이즈 예방 홍보, 교육, 상담, 검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에이즈 예방에 기여한다.

대상

남성 동성애자(MSM) 및 성 전환자(MtoF)

장소

서울(종로/이태원)·부산 iSHAP 센터

지원내용

  • 에이즈 상담(전화·인터넷·방문)
  • 전국 캠페인 실시 및 홍보물(콘돔·윤활 젤 등) 배포
  • 에이즈 예방 동료 교육 실시
  • 에이즈(신속 진단·자가 진단 )및 종합 성병 검진

수행기관 및 연락처

한국에이즈퇴치연맹(동성애자 HIV/AIDS 예방지원센터)

ishap.org

  • (서울 종로) 02-792-0083
  • (서울 이태원) 02-749-1107
  • (부산 범일) 051-646-8088

세계 에이즈의 날 행사

사업배경

  • 1988년 1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 보건장관회의에서 참가 148개국이 에이즈 예방을 위한 정보교환, 교육홍보, 인권존중을 강조한 '런던선언'을 채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12월 1일을 세계에이즈의 날로 정하였다.
  • 레드리본은 HIV 감염인 및 에이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지지하며, 그들을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는 에이즈 상징물로서 HIV 감염인 및 에이즈 환자와 그들을 위해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지지의 표현이다.
  • 국내에서도 꾸준히 증가하는 HIV/AIDS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대국민 참여를 통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정기검진을 통한 예방과 치료효과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사업목표

  • 대국민 캠페인을 통해 HIV/AIDS에 대한 잘못된 정보 및 부정적인 인식을 바로 잡아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에이즈에 대한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사업개요

  • 명칭 : 세계 에이즈의 날 캠페인
  • 일시 : 12월 1일(*에이즈 예방주간 12월1일∼12월7일)
  • 주최 : (사)한국에이즈퇴치연맹
  • 대상 : 전 국민
  • 후원 : 질병관리청
  • 목표 : 감염인지 90%, 치료율 90%, 치료효과 90%


HIV 예방요법

HIV 노출 전 예방요법 (PrEP;Pre-exposure prophylaxis for HIV)

  • 경구용 HIV PrEP는 HIV에 감염되지 않은 고위험군에게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매일 복용하도록 하여 HIV 감염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HIV 감염인과 비감염인이 성접촉을 했을 때, HIV 감염인으로 부터 전달 된 수많은 바이러스 중에서 소수의 바이러스가 감염을 유발하는데,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전파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에 의해 전달된 바이러스를 사멸시켜서, 감염의 전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효과적인 PrEP을 위해서는 반드시 콘돔 사용을 병행하고, 복약순응을 유지하여야 하며 HIV 전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상담과 교육 및 약제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 등도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HIV 노출 후 예방요법 (PEP;Post-exposure prophylaxis for HIV)

  • HIV 감염을 사전에 예방하지 못한 경우 노출 후 예방적 화학요법을 이용하여 HIV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 노출 후 조치가 필요 한 사람은 우선 전문가의 진료를 통해 노출 당시의 상황 및 기타 성 질환의 동반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하며, 노출원이 HIV 감염자인 경우 72시간 이내(가능한 빨리) 예방적 화학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 단, 예방적 화학요법은 고위험 행위 후 72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으며 HIV 감염의 고위험 행위를 지속할 의사가 있는 경우에도 권고하지 않는다. - 예방적 화학요법의 치료 약제에는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emtricitabine (TDF/FTC) + 통합효소억제제 (raltegravir 또는 dolutegravir) 등을 이용한 병합요법이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단백분해효소억제제의 병용이 필요할 수 있다.

U=U(Undetectable = Untransmittable, 검출되지 않으면 전파되지 않는다)

최근 유엔을 중심으로 각국에선 에이즈와 관련해 U=U를 선언하고 있다.

‘U=U(Undetectable=Untransmittable, 바이러스 미검출=전파되지 않음)’ 캠페인

에이즈 감염인이 (3개월 이상) 매일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아서 HIV가 미검출 수준으로 떨어지고 그 상태가 유지 될 경우 타인에게 전파하지 않는다.

관련 사이트

대한에이즈예방협회 www.aid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