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황열 예방접종

Public Policy Wiki
토피아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25일 (월) 14:2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황열이란?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걸리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고열, 두통, 오한, 식욕부진, 황달, 구토, 출혈성 징후, 종종 서맥을 동반하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 국가에서 발생한다.

감염경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가 원인이며 모기에 물렸을 때 모기의 침 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몸 속으로 들어와 혈액으로 침투하여 질병을 일으킨다. 주된 매개체는 Aedes aegypti (이집트숲모기)와 Haemagogus 속 모기이다.

증상

황열 감염자의 대부분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가벼운 증상만을 보인다. 감염 후 3~6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과 근육통, 오한, 두통, 식욕상실,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3~4일이 지나면 증상이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후 환자의 15% 정도는 독성기로 접어들게 된다. 독성기의 환자는 열이 다시 발생하며 급격히 황달, 복통,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또한 눈, 코, 입,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신부전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방

황열 유행지역을 여행할 경우, 반드시 황열 예방접종을 맞도록 하며,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에는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 모기장, 곤충기피제 등을 사용하고 야간에는 긴소매, 긴바지를 착용한다. 황열 매개체 중 이집트숲모기는 낮시간에 주로 활동하므로, 낮시간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

황열의 원인인 아르보바이러스 자체를 없앨 수 있는 치료제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증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완화시키는 것이 황열의 치료법이다.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면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여 혈압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급성신부전이 발생하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혈액투석을 해야 한다. 출혈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아스피린이나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약물 등의 특정 약물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예후

감염자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증상만 있어 완전 회복된다. 그러나, 증상이 있던 사람의 경우 회복되어도 몇달 간 위약감이나 피로감이 지속될 수 있으며, 독성기 환자의 경우 20~50% 정도가 사망한다. 이전에 감염되었다 회복된 경우, 면역이 평생 지속되어 재감염되지 않는다.

백신 접종

백신 특성

  • 생균형태의 약화 바이러스
  • 황열백신은 대다수의 다른 백신과 동일한 시점에 투여 가능

접종대상

  • 황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지역으로 여행하거나 해당지역에 살고 있는 경우
  • 황열예방접종증명서 요구 국가로 여행하는 경우 9개월에서 59세에 해당하는 사람
  • 황열 바이러스나 백신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는 실험실 직원

접종 시 주의사항

  • 황열 예방백신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백신으로 면역력이 평생 유지된다.
  • * 16.7.11 부터는 평생면역으로 변경
  • 예방접종은 최소 출국 10일 전에 접종하여야 하고 의학적으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황열예방접종면제증명서를 발급받아서 출국해야 한다.

예방접종 수수료

예방접종기관 예방접종 수수료(비용)
국립검역소
  •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 1,000원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의료기관)
  • 백신비 : 36,440원 ('23.8.1 시행)
  •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 1,000원
  • 예방접종 시행비용 : 19,610원('23.1.1 시행)
  •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 발급비용, 백신비는 수입인지로 납부
  • 전자수입인지 홈페이지(www.e-revenuestamp.or.kr) 및 은행, 우체국, 판매소에서 수입인지 구매 가능

예방접종 가능 기관

국립 검역소 및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

홈페이지 > 감염병관리 > 해외여행질병정보 > 예방접종기관안내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열위험국가 현황(WHO,CDC 기준)

황열위험국가로 입국 전 황열 예방접종 권고

황열위험국가로 입국 전 황열 예방접종 권고하는 국가
앙골라 콩고민주공화국 말리 베냉 적도기니 모리타니
부르키니파소 에티오피아 니제르 부룬디 가봉 나이지리아
카메룬 감비아 제네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가나 시에라리온
차드 기니 남수단 콩고 기니비사우 수단
코트디부아르 케냐 토고 라이베리아 우간다 아르헨티나
프랑스령기아나 페루 볼리비아 가이아나 수리남 브라질
파나마 트리니타드 토바고 콜롬비아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 2022년 11월 기준
* 참고

www.who.int/publications/m/item/countries-with-risk-of-yellow-fever-transmission-and-countries-requiring-yellow-fever-vaccination-(november-2022)

http://wwwnc.cdc.gov/travel/yellowbook/2024/infections-diseases/yellow-fever

입국 시 황열예방접종증명서 요구하는 국가(CDC기준)

모든 국가의 여행객에게 입국 시 황열예방접종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로 증명서 없을 시 불이익 받을 수 있음

입국 시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
앙골라 코트디부아르 니제르
베닌 콩고민주공화국 시에라리온
부르키나파소 가봉 남수단
부룬디 가나 토고
카메룬 기니 우간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기니비사우 프랑스령기아나
콩고 말리
2023년 1월 기준, 황열예방접종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여행 전 확인 필요
http://wwwnc.cdc.gov/travel/yellowbook/2024/infections-diseases/yellow-fever

주의 및 금기사항

  • 9개월 미만의 영아는 백신으로 인한 뇌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9개월이 될 때까지 예방접종을 피하도록 하며,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백신 사용이 금기된다.
  • 60세 이상의 노인들은 접종 후 전신이상반응에 따른 위험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의 후 예방접종을 하여야 한다.
  • 임산부는 황열 노출의 위험이 높을 때에만 예방접종을 하도록 합니다. 만약, 임산부가 예방접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기록되는 혈청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수유 중에 있는 여성은 젖먹이 아이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으므로 예방접종을 피해야 한다.
  • 계란이나 젤라틴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은 백신 사용이 금기된다.
  • HIV 감염자, 악성종양자, 흉선질환자 또는 기타 면역저하질환을 가진 자들은 백신 사용이 금기된다. 그러나 금기사항이 없는 면역저하질환자나 HIV환자의 가족들은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 황열 백신은 홍역백신(생백신, 약독백신)과 동시 투여가 가능하다.
  • 황열 예방백신은 접종 후 10일(항체형성 기간)부터 예방접종 효력이 발생하므로 여행국가 입국 최소 10일 전에 황열예방백신을 접종․기록한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출국하여야 한다.

이상반응

  • 황열 예방백신에 대한 이상반응은 접종자의 10~30% 정도에서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뇌염 등과 같은 신경계 질환은 주로 유아에게서 보고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 황열 백신과 연관된 내장향성 질환으로 열성다발성기능부전이 보고된 바 있다.

국제공인 예방접종 기관 현황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진료예약)

황열 콜레라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시 중구 을지로 245 1588-1775 O O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로 59 02-709-9114 O O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서울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02-2650-5114 O O
강북삼성병원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02-2001-1130 O O
중앙대학교병원 서울시 동작구 흑석로 102 1800-1114 O O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02-2626-1114 O O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1599-1004 O O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1588-1511 O O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서울시 강동구 동남로 892 02-440-7000 O O
건국대학교병원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1 1588-1533 O O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로 1 1577-5587 O O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1588-5700 O O
한양대학교병원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1 1577-6382 O O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시 동구 방축로 217 032-580-6000 O O
인하대학교병원 인천시 중구 인항로 27 032-890-2114 O O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1588-3369 O X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100 1577-0013 O O
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 031-910-7000 O O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경기도 구리시 경춘로 153 1644-9118 O X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 경기도 의정부시 천보로 271 1661-7500 O X
세종병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호현로 489번길 28 1599 -6677 O X
충북대학교병원 충북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043-269-6114 O O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시 중구 대사동 640 042-280-7114 O O
건양대학교병원 대전시 서구 관저동로 158 1577-3330 O O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세종특별자치시 보듬7로 20 1800-3114 O O
조선대학교병원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65 062-220-3006~9 O O
전남대학교병원 광주시 동구 제봉로 42 1899-0000 O O
전라북도 군산의료원 전라북도 군산시 의료원로 27 063-472-5000 O O
목포시의료원 전라남도 목포시 이로로 18 061-260-6500 O O
여수전남병원 전라남도 여수시 좌수영로 49 061-640-7575 O O
경상남도 마산의료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1 055-249-1000 O O
통영적십자병원 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97 055-644-8901 O O
의료법인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 경상남도 거제시 두모길 16 055-680-8114 O O
진주고려병원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2 055-751-2500 O O
혜명심의료재단 울산병원 울산광역시 남구 월평로 171번길 13 052-259-5000 O O
경상북도 포항의료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로 36 054-247-0551 O O
대구의료원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 157 053-560-7575 O O
동해동인병원 강원도 동해시 하평로 26번지 033-530-0200 O O
강원대학교병원 강원도 춘천시 백령로 156 033-258-2000 O X
강원도 속초의료원 강원도 속초시 영랑호반길 3 033-630-6000 O O
부산대학교병원 부산시 서구 구덕로 179 051-240-7300 O X
온종합병원(일시적접종중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21(당감동 966번지) 051-607-0114 O X
부산 영도병원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5 051-412-8881 O O
제주한라병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령로 65번지 064-740-5338 O O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13길 15 064-717-1601 O O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95 042-259-1155 O O
세흥병원 부산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05 051-805-8888 O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