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동기부여 이론
종류
- 내용이론 - 무엇(What)의 문제에 관심
- 인간 내면의 무엇이 혹은 어떤 환경이 개인의 행동을 활성화시키는가에 관심
- 과정이론 - 어떻게(How)와 왜(Why)의 문제에 관심
- 동기유발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지, 왜 동기유발이 되는지에 관심
내용이론
욕구단계이론 (Marslow)
- 모든 인간은 다섯가지 기본욕구를 지니며, 이 욕구들은 계층적
- 다섯가지 기본욕구
- 생리적 욕구: 의식주 등에 대한 기본적 생존욕구, 신체적 생물적 욕구
- 안전의 욕구: 물질적, 정신적 안전 욕구
- 사회적 욕구(애정의 욕구): 조직 내 인간관계, 소속감
- 존경의 욕구: 조직 내 인정과 신뢰
- 자아실현의 욕구: 자신의 발전과 이상실현
X,Y 이론 (McGregor)
- X이론
- 대부분의 사람은 본질적으로 일과 책임을 싫어하고 변화에 저항적이라 가정
- 관리자가 직원을 잘 통제, 감독해야 한다고 봄 (외재적 동기 중시)
- Y이론
- 대부분의 사람이 일을 본질적으로 싫어하는 것은 아니며, 자율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한다고 가정
- 관리자는 직원이 능동적으로 일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고 봄 (내재적 동기 중시)
2요인 이론 (Herzberg)
-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며, 이들은 독립적인 차원
- 직무만족의 반대 = 만족이 없는 상태 (not 직무불만족) / 직무불만족의 반대 = 불만이 없는 상태 (not 직무만족)
- 위생요인 (Hygiene factor)
- 직무불만족을 야기하는 요인 (업무환경과 깊게 관련)
- 근무환경, 보수, 인간관계, 관리감독 등
- 동기요인 (Motivation factor)
- 직무만족을 야기하는 요인 (일 자체와 깊게 관련)
- 직무특성, 직무내용 등
- 관리적 함의
-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처방과 직무불만족 감소를 위한 처방이 차별화 되어야 함
- 한계
- 이론의 내용이 경험적 연구들에 의해 크게 지지되지 못함
(다수 연구들이 만족과 불만족을 동일한 차원에서 반대개념임을 지지)
- 위생요인이자 동기요인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이 존재
ex) 보수: 단순한 위생요인이 아닌 개인의 성취감과 역량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기도 함
성취동기 이론 (McClelland)
- 행동을 동기화 시키는 욕구는 학습되는 것이므로 개인마다 욕구계층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
- 욕구
- 성취욕구: 무언가를 잘하고자 하는 욕구
- 권력욕구: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욕구
- 소속욕구: 타인과 친화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
- 세가지 욕구 중 성취욕구를 가장 중시
- 조직관리자는 성취욕구가 높은 직원을 선발, 지속적으로 성취동기를 제고해야 함
과정이론
기대이론 (Vroom)
- 개인의 행위와 보상이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초점을 두어 동기부여 과정 설명
- 인간의 행동은 일정한 성과, 성과가 결과(보상)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보상이 가지는 매력에 따라 달라짐
- 동기 =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의 함수
- 기대감 (Expectancy): 열심히 노력하면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주관적 인식
- 수단성 (Instrumentality): 열심히 노력해 달성한 높은 성과가 보상이나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인식
- 유의성 (Valence): 결과에 대해 내가 가지는 선호의 강도
공정성이론 (Adams)
- 조직내 다른 사람들과 비교를 통해 동기부여 (나의 투입과 산출 vs. 조직내 준거인물의 투입과 산출)
- 차이가 클수록 불공정한 상황을 인식 (불균형을 줄이려는 동기)
- (나의 산출)/(나의 투입) = (타인의 산출)/(타인의 투입): 공정 인식 (행동변화 없음)
(나의 산출)/(나의 투입) < (타인의 산출)/(타인의 투입): 과소보상의 불공정 인식 (행동변화)
(나의 산출)/(나의 투입) > (타인의 산출)/(타인의 투입): 과대보상의 불공정 인식 (행동변화)
- 불균형을 줄이는 방법
- 자신의 투입을 변경
- 자신의 산출물을 조절하거나 산출물에 대한 인식 조정
- 심리적 왜곡 행위
- 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