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결핵접촉자조사사업
개요
결핵접촉자조사사업은 가족접촉자검진사업과 집단시설 역학조사로 구분된다. 가족접촉자검진사업은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을 대상으로 검진사업 수행한다. 가족접촉자조사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접촉자 검진 사업 참여 의료기관 명단을 현행화하며 가족접촉자 검진 실시 의료기관은 보건소 및 검진 참여를 희망하는 의료기관으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한 기관만 검진비 청구 가능하다.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는 학교, 직장 등과 같이 집단시설 내에서 전염성 결핵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다수에게 결핵균이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집단 내 결핵환자 발생 시 밀접접촉자에 대하여 신속하게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추가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확인하여 대상자별로 적정한 치료를 시행한다. 이는 결핵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가족접촉자검진사업
가족접촉자 검진
- 결핵균은 기침,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결핵환자와 접촉하면 결핵에 감염될 수 있다.
- 특히 매일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자녀 등)에게 결핵균을 전파하기 쉽다.
-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음으로써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여부를 조기에 확인‧치료를 통하여 결핵 확산을 방지한다.
가족접촉자 검진대상
- 결핵 환자가 결핵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 및 동거인
검진 절차와 방법
1) 가족접촉자 검진수첩(무료 쿠폰)’ 발급 및 의료기관 방문
- 결핵환자 신고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검진수첩을 발급
- 가족접촉자는 1개월 이내에 검진수첩을 반드시 지참하여 검진 참여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
- ※ 검진 참여의료기관 찾기는 결핵ZERO 홈페이지>의료기관 검색에서 가능
- 검진수첩 접수 후 호흡기내과, 감염내과, 소아청소년과 등 관련 의사의 진료
2)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 실시
① 결핵검진
- 흉부 X선 검사 : 흉부 X선 사진 상에 나타난 음영 등을 판독하여 폐결핵을 진단
- 객담검사(도말 및 배양) : 가래를 즉시 또는 배양한 후 집균, 염색 등 방법을 이용하여 결핵을 진단
- 결핵균핵산증폭검사(TB-PCR) : 결핵균에만 특이하게 존재하는 핵산(DNA)을 증폭시켜 확인하는 검사로 결핵진단에 보조검사로 활용
② 잠복결핵감염검진
- 투베르쿨린검사(TST) : 결핵균 항원(PPD) 시약을 팔에 주사 후 48-72시간 사이에 주사한 부위에 부풀어 오른 정도를 측정하여 결핵균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
-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IGRA) : 혈액을 채취하여 결핵균에 감염됐을 때 몸에서 분비되는 인터페론감마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
- ※ 잠복결핵감염자는 연령, 결핵환자의 약제감수성 결과, 간독성 위험인자 등을 고려하여 담당의사 판단에 따라 치료
가족접촉자 검진에서 결핵이나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받으면?
- 결핵은 약제를 정해진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므로 결핵으로 진단받으면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결핵약을 불규칙하게 복용하거나 도중에 중단하는 경우 약제에 내성이 생겨 치료 실패할 가능성 있으므로 초기 치료 시 처방 받은 약제들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잠복결핵감염은 결핵으로 발병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받으면 연령, 결핵환자의 약제감수성 결과, 간독성 위험인자 등을 고려하여 담당의사 판단에 따라 치료해야한다.
참여의료기관
역할
가족접촉자 대상 검진 실시
검진 및 치료 결과 입력
가족접촉자 검진비 청구
의료인 대상 교육 이수
등록 대상
가족접촉자 검진사업에 신규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료기관
등록 절차
참여를 원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지자체(관할 보건소)를 통하여 신청서 제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접촉자검진사업 참여 의료기관 등록 및 참여 확정
- ※ 문의 : 질병관리청 결핵정책과 (☎ 043-719-7270, 7287)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
- 결핵 역학조사 : 집단시설에서 전염성 결핵환자가 발생한 경우 접촉자조사를 통해 진단되지 않은 다른 결핵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를 찾아 치료하기 위한 조사이다.
- 밀접접촉자 : 발견된 환자와 같은 밀폐된 실내공간을 사용하며 장시간 동안 직접 접촉한 적이 있는 자를 뜻함
- 잠복결핵감염 : 폐로 결핵균이 들어왔지만 결핵으로 진행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정상이며 결핵균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타인에 대한 전염력도 없는 상태이다. 이런 특성으로 흉부 엑스선 검사 및 가래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없고, 피부반응검사 및 혈액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잠복결핵감염자 중 약 10% 가 평생에 걸쳐 결핵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병자의 50% 이상이 감염 후 1~2년 이내에 발병하므로, 접촉자 검진 후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통해 활동성 결핵의 발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접촉자 검진에서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을 받으면?
접촉자 검진을 통하여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된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 치료받는 것을 권고한다. 잠복결핵감염치료를 통해 활동성 결핵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잠복결핵감염은 몸에 소수의 결핵균이 있어서 활동성결핵치료보다 쉽다. 결핵이 발병한 경우 항결핵제 4가지를 장기간 복용해야 하지만 잠복결핵감염은 1가지(또는 2가지) 약제로 치료가 가능하며 잠복결핵감염 치료 시 결핵 발병을 60-90% 까지 예방할 수 있다. 잠복결핵감염은 다음의 몇 가지 처방요법이 있다.
- 표준치료 : 잠복결핵감염자는 검사결과 및 치료 대상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담당의사의 처방에 따라 아래 3가지의 치료 방법 중 한 가지로 치료
- 밀접접촉자 : 발견된 환자와 같은 밀폐된 실내공간을 사용하며 장시간 동안 직접 접촉한 적이 있는 자를 뜻함
- 단, 최초 발견된 전염성 결핵환자의 객담 검사에서 약제에 내성균이 보고되는 경우에는 대체요법을 하거나 다제 내성인 경우는 치료를 하지 않고 추구 검진과 관찰을 통해 관리
- 결핵(치료 약제 > 6개월), 잠복결핵감염(이소니아지드 > 9개월, 리팜핀 > 4개월, 이소니아지드+리팜핀 > 3개월), 치료방법 : 잠복결핵감염 치료는 3가지 치료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치료, 검사 결과 및 치료 대상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담당의사가 선택하여 처방
현황
연도별 결핵환자 가족접촉자 검진 현황 ( 2020 - 2022 )
구분 | 결핵환자 | 가족접촉자가
있는 결핵환자(A) |
(A)중 중 1명 이상
가족검진을 한 결핵환자(B) |
결핵환자
가족접촉자 수(C) |
(C)중
검진실시자 (D) |
가족검진율* |
---|---|---|---|---|---|---|
2020 | 22,457 | 11,773 | 11,404 | 24,650 | 23,913 | 93.1 |
2021 | 20,290 | 13,490 | 13,172 | 27,808 | 27,068 | 95.0 |
2022 | 18,137 | 12,085 | 11,813 | 22,297 | 22,023 | 97.3 |
*가족검진율 = (B/A)*(D/C)*100
연도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2020 - 2022)
(단위 : 건, 명,%)
구분 | 접촉자 | 흉부X선 | 잠복결핵감염 | ||||||
---|---|---|---|---|---|---|---|---|---|
검사자 | 추가결핵환자(접촉자10만 명당) | 검사자 | 감염자(율) | 치료대상자(율) | 치료시작자(율) | 치료완료예정자(율) | 치료완료자(율) | ||
2020 | 24,650 | 23,833 | 126
(511.2) |
20,254 | 5,547
(27.4) |
5,395 | 3,234
(59.9) |
3,210 | 1,850
(57.6) |
2021 | 27,808 | 26,432 | 158
(568.2) |
21,972 | 5,988
(27.3) |
5,590 | 3,540
(63.3) |
3,269 | 2,559
(78.3) |
2022 | 22,297 | 22,239 | 101
(453.0) |
17,444 | 4,362
(25.0) |
4,044 | 2,950
(72.9) |
3,069 | 2,824
(92.0) |
자료원 : 질병관리청, 「2022 결핵 역학조사 통계집」
가족접촉자 검진 참여 의료기관 현황 (보건소 256개소, PPM의료기관 169개소, Non-PPM 384개소)
시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현황 | 809 | 115 | 56 | 28 | 39 | 34 | 13 | 13 | 8 | 136 | 40 | 32 | 35 | 26 | 72 | 68 | 79 | 15 |
자료원 :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연도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실시 현황(2020-2022)
단위 : 건
구분 | 계 | 학교 | 의료기관 | 군부대/경찰 | 교정시설 및
사회복지시설 |
사업장 | 그 밖의 시설 |
---|---|---|---|---|---|---|---|
2020 | 4,188 | 325 | 651 | 68 | 850 | 2,090 | 204 |
2021 | 3,999 | 266 | 650 | 39 | 885 | 1,998 | 161 |
2022 | 3,416 | 249 | 572 | 24 | 865 | 1,589 | 117 |
연도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결과(2020-2022)
단위 : 건, 명, (%)
구분 | 접촉자 | 흉부X선 | 잠복결핵감염 | ||||||
---|---|---|---|---|---|---|---|---|---|
검사자 | 추가결핵환자(접촉자10만명당) | 검사자 | 감염자(율) | 치료대상자(율) | 치료시작자(율) | 치료완료예정자(율) | 치료완료자(율) | ||
2020 | 109,723 | 107,557 | 102(93.0) | 53,033 | 11,494(21.7) | 10,860(94.5) | 5,397(49.7) | 5,261 | 4,184(79.5) |
2021 | 90,073 | 89,215 | 85(94.4) | 42,799 | 11,009(25.7) | 10,445(94.9) | 5,506(52.7) | 5,780 | 4,665(80.7) |
2022 | 72,824 | 71,955 | 89(122.2) | 38,123 | 7,640(20.0) | 6,867(89.9) | 3,438(50.1) | 4,750 | 3,928(82.7) |
* 자료원 : 질병관리청, 「2022 결핵 역학조사 통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