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사업
개요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사업이란 병의원에서 제공하는 만 30세 이상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개인별로 전산 등록하는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이다. 또한 정부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만 65세 이상 등록환자에게 일부 치료비를 정액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병원 방문 예약일, 혈압 및 혈당 조절상태, 보건교육 일정 등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예약일을 경과한 후에는 방문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질병에 대한 이해와 자가 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인별 특성과 위험요인에 따라 맞춤형 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합병증 발생, 거동장애 등으로 장기간 병의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을 때는, 보건소를 통하여 개별 전화상담과 방문보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병의원에서는 환자분들에게 등록관리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이전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등록환자의 진료비 및 약제비를 국가가 정액 지원함으로, 65세 이상 주민의 의료비 비용부담이 적어진다.
운영 지역
- 서울 성동구, 광주 광산구, 울산 중구, 경기 광명시, 남양주시, 부천시, 안산시, 하남시, 강원 동해시, 홍천군, 전북 진안군, 전남 목포시, 여수시, 장성군, 경북 포항시, 경주시, 경남 사천시, 제주 제주시, 세종 세종시에서 운영 중
-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병의원」,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약국」이라는 스티커가 붙어있는 의료기관과 약국에서 등록관리를 받을 수 있다. 방문하기 전에 관할 보건소를 통해 지정 의료기관을 확인하여야 한다.
준비사항
- 등록관리를 받기 위해 병의원을 처음 방문할 때, 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임을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과 ‘건강보험증’을 지참해야 한다. 진료를 받기 전에 미리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동의서」를 작성하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참여 절차
①사업 안내문이나 홍보물,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 대상과 참여 방법을 확인
②거주지와 가까운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의료기관」과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약국」을 확인
③시범사업 지역 주민임을 증명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과 ‘건강보험증’을 가지고 등록관리
④의사나 간호사의 설명을 듣고,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동의서」를 작성
⑤담당의사의 진료를 받고, 다음 방문 예약일을 확인
⑥처방전을 들고 등록관리 약국에 가서 약을 구입
의료기관·약국의 참여 절차(지정 신청)
①해당 보건소로부터 사업 및 지정신청 안내를 받음
②지정신청서 뒷면의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의료기관」과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약국」의 준수사항을 확인한 후 지정신청서를 작성하고 관련 서류를 갖추어 보건소로 제출(우편, 팩스 등)
③참여 의료기관 및 약국 대상 교육을 이수
④관할 보건소로부터 지정·승인 통보
⑤고혈압·당뇨병 환자 등록을 시작
연혁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수립
- 04.12.17 : 「순환기질환 등 주요만성질환 국가중점관리를 위한 중장기 전략목표수립 및 사업체계」 개발
- 05. 3.10 : 보건복지부 ‘심뇌혈관질환관리 10개년 계획’ 검토
- 05.11.14 : 질병관리청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안) 작성
- 06. 4.18 : 질병관리청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실행계획」(안) 작성
- 06. 6. 9 : 보건복지부에서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확정 ※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장관님 언론 브리핑(‘06. 6.12)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실행
- 06. 7.18 : 「'06년도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후속조치 계획(안)」 수립
- 06. 7.31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실행계획」 ‘06년 후속조치
- 07. 1.20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07년 사업계획」확정 ※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 계획 반영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구,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사업)추진
- 07. 2. 9 : 시범사업 지역으로 대구광역시 선정 ※ 당초 공모를 통해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그간 대구광역시가 고혈압·당뇨병 관리 및 지역사회 보건교육 활성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으며, 지방정부·병의원·대학 간 공고한 연계체계가 구축되어 있어 시범사업 수행에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선정함
- 07. 2~4.8 : 대구광역시 시범사업계획 수립 및 의사회 협의
- 대구광역시 의사회 대표자 면담 및 시범사업 설명회 개최
- 시범사업과 관련 지역사회 병의원의 입장 및 의견 수렴
- 향후 추진될 시범사업에 대한 적극적 협조 당부
- 07. 4.19 : 대구광역시 시범사업 계획서 제출
- 07. 6.1 : 대구광역시 시범사업 계획서 승인
- 07. 9.3 : 대구광역시 시범사업 시작, 현재 3차년도 사업 지속 중
- 09. 1.29 : 경기도 광명시 시범사업 실시계획 제출
- 09. 2.24 : 경기도 광명시 시범사업 승인
- 09. 7.1 : 경기도 광명시 시범사업 시작
- 09. 12.7 : 경기도 사업계획서 제출
- 10. 1. 14 : 보건복지부 경기도 사업 승인
- 10. 5.12 :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조례 제정
- 10. 10.20 : 경기도 남양주시 시범사업 시작
- 10. 11.1 : 경기도 하남시 사업 시작
- 10. 11.15 : 경기도 안산시 사업 시작
- 12. 1.1 : 사업 지역 확대(20개보건소)하여 사업추진
외부링크
연구동향
박미경 외(2021)은 지역주민이 고 . 당등록관리사업에 참여하며 건강관리를 한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생생한 건강관리 경험 탐색을 통해 사업주체가 아닌 사업대상자로서 가지는 주관적 인식 및 상황에 대한 해석, 건강행위정요인 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향후 만성질환 관리 정책수립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연구질문은 ‘고혈압 . 당뇨병등록관리사업은 참여 주민들의 자가건강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습니까?’이었으며, 이를 위한 주 면담질문은 ‘고혈압 . 당뇨병등록관리사업에 참여하며 자신의 건강관리를 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주십시오’이었다.
Lee(2014)는 고 . 당등록관리사업 성과에 대하여도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양립하고 있는데, 긍정적인 평가로는 병 . 의원과 약국의 높은 참여, 지속치료율 상승, 건강지표 개선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부정적인 평가로는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및 자가관리 능력향상에는 큰 변화를 보지 못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사업평가에는 사업제공자들의 의견과 건강지표변화 등이 주로 반영되었고 시범사업에 대상자로 참여했던 지역주민의 생생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평가는 매우 미흡하다고 밝혔다.
Baker 등은 지역사회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첫 단계를 이해관계자의 많은 의견을 듣는 과정이라 하였는데, 주요 이해관계자인 사업 대상자들의 사업참여 경험과 사업에 대한 의견을 듣는 것 또한 요구된다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사업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Joo(2017)은 국내의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대한 질적연구로는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의사의 단독 대면 교육이 환자의 집중력뿐 아니라 질환 관리 동기를 강화하는 등의 사업 만족도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Park(2018)dms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 표적집단 면담을 통해 의원에서의 치료과정을 경험으로 진술한 보고를 시도하였다.
Youn 외(2015)는 대구광역시의 ‘고혈압 . 당뇨병등록관리사업’을 모태로 하여 시작된 고 . 당등록관리 시범사업은 지역 병의원과 약국, 보건소, 고혈압 . 당뇨병등록교육센터(이하, 고 . 당교육센터) 4개의 기관이 민 . 관 . 학 협력체계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고혈압 . 당뇨병 자가관리 능력향상에 기여했음을 밝혔다. 주요 내용은 사업 참여자들의 건강행태를 개선하고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자가관리 역량을 향상시켜 향후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의 합병증 발생을 억제하거나 발생 시기를 지연시켜 의료비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병 . 의원이 주체가 되어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를 산등록하고 고
. 당교육센터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Lee SY. Current status and tasks of hypertension ‧ diabetes reg-istration management project.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1:1-23
박미경, 박형근, 김현주, 김옥진, 공문연.(2021).지역사회 고혈압 · 당뇨병등록관리사업 참여를 통한 주민의 건강관리경험.지역사회간호학회지,32(4),518-528.
.
Baker QE, Davis DA, Gallerani R, Sanchez V, Viadro C. An evaluation Framework for community health programs. Dur-ham (North Carolina): The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Community Based Public Health; 2000. 71 p.
Joo JM, Joe JJ, Kwon YJ, Lee YL, Sin DW. A qualitative study of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based primary care project among primary care patients and its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7;60(2):173-182.https://doi.org/10.5124/jkma.2017.60.2.17
Park EJ, Jeon JA, Kim DE, Song ESl, Choi SJ, Sim BR.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Focusing on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Research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December. Report NO.: 2016-01.
Youn YH, Hong YH, Kim YE, Kim EJ, Park KE, Kang BJ, et a. l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 for each sub-area
of the management project for chronically ill patients focused on local primary care.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5 June.: 321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