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공봉사동기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및 의의

공공봉사동기의 개념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공공조직에 대한 직무동기에 반응하는 개인의 기질'로 정의된다.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다양한 정의

(1) Perry & Wise (1990) “주로 공공기관과 공공조직에 고유한 또는 이에 우선적인 기반을 둔 동기에 부응하려는 개인의 경향”

(2) Brewer & Selden (1998) “의미 있는 공공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개인을 유인하는 동기”

(3) Rainey & Steinbauer (1999) ”지역사회, 국가, 또는 인류의 이익에 봉사하기 위한 일반적인 이타적 동기"

(4) Kim(2017) “자기이익보다는 공익과 공공가치를 추구하면서 국가와 일반 국민을 위해 의미 있는 봉사를 하려는 개인의 성향”

공공봉사동기의 의의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의 시장모델이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내적보상이 중요하게 인식될 수 있다는 분석틀을 제공한다. 공공봉사동기는 공공부문 종사자의 특유한 동기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전략과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도 가진다.

공공봉사동기의 세 가지 차원

Perry & Wise는 공공봉사동기의 개념을 합리적 동기(rational motives), 규범적 동기(norm-based motives), 정서적 동기(affective motives)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1) 합리적 동기(rational motives)

세부내용

- 정책형성과정에 참여

- 개인적 동일시로 인한 공공정책에의 몰입

- 특정 또는 개인의 이익에 대한 옹호

하위개념

공공정책입안에 대한 호감도 (Attraction to Policy Making)

주목할 점

합리적 동기에서 추구하는 개인 효용의 극대화의 대상은 개인 이익이 아니라 공공봉사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규범적 동기(norm-based motives)

규범적 동기는 공공선(公共善)을 증진하고 공익을 추구하려는 열망과 관련되며, 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의무감을 포함한다.

세부내용

- 공익 기여에 대한 열망

- 의무와 정부조직 전반에 대한 충성심

- 사회적 형평성

하위개념

공익에 대한 헌신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사회정의 (Social Justice)

시민의무 (Civic Duty)

(3) 정서적 동기(Affective motives)

세부내용

- 정책의 사회적 중요성에 관한 진정한 신념으로부터 유래하는 정책에 대한 몰입

- 선의의 애국심

하위개념

동정심 (Compassion)

자기희생 (Self-Sacrifice)

공공봉사동기의 네 가지 구성개념

Perry(1996)는 공공봉사동기의 세 가지 차원을 바탕으로 공공봉사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네 가지 구성개념을 제시했다.

① 공공정책입안에 대한 호감도 (Attraction to Policy Making)

② 공익에 대한 헌신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③ 동정심 (Compassion)

④ 자기희생 (Self-Sacrifice)

공공봉사동기의 세 가지 하위차원과 네 가지 구성개념에 대한 비판점

(1) 합리적 동기의 차원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 동기에서 사익 추구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규범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가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구별의 실익(實益)이 적다는 것이다.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

(1) 구성원이 입직 전 경험하는 일반사회화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

대체적으로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가 높다. (Ritz, Brewer, & Neumann)

(2) 구성원이 입직 후 경험하는 조직사회화 요인

조직몰입, 의사소통, 리더십 등이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영・오민지・이수영, Schott & Pronk, Park & Rainey)

개혁의지와 계층적 권위는 긍정적인 영향을, 형식주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직요인으로 나타났다. (Pandey & Moynihan)

같이 보기

대문으로

참고문헌

  1. 최낙범・이수영. (2016).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 제25권 제1호(2016): 170
  2. 김상묵・노종호. (2018).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인적자원관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7권 제3호(2018): 145~150
  3. 정재호・최규현. (2020).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6권 제1호(2020): 185~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