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내용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이란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진로개발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육역량 강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주도하에 한국교육평가학회와 다수의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진단 도구이다.

K-CESA는 고등교육을 통해 길러진 역량, 즉 부가가치적인 교육효과 (value-added effect)를 평가하는 데 대안적인 평가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대학 재정지원 평가를 통해 검증하기 힘들었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이수 전과 이수 후 진단 등 기존 대학평가의 보완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최근 재정지원 사업 평가방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자율적 질 평가와 교육의 질 향상에 대학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이에 관한 객관적인 xii 데이터를 K-CESA가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개별 대학은 K-CESA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개별 대학 재 학생들의 역량 강화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과 직간접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다.


- 추진 목적

◦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을 유도

◦ 대학생 개인의 핵심적인 능력, 핵심역량 정도를 진단하여 본인의 취업능력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계발 가이드를 제공

◦ 대학과 개별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진로지도 지침 개발에 도움


-  K- CESA 진단 영역 및 문항 구성

핵심역량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의미한다.

K-CESA에서 제공하는 평가영역은 전문가 델파이 조사에서 대학, 연구소 및 산업체 현장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한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역 구성요인 문항수 진단시간(일반형)
의사소통 역량 · 듣기 10 15분
· 토론과 조정 10 20분
· 읽기 10 15분
· 쓰기 1 20분
· 말하기 1 약 10분
종합적 사고력 · 평가적 사고력

· 대안적 사고력

· 추론적 사고력

· 분석적 사고력

8 90분
글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글로벌 환경에 대한 노출)

· 유연성과 적극성

· 다문화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능력

· 글로벌화, 글로벌 경제에 대한 지식 및 이해

38 30분
대인관계 역량 · 정서적 유대/협력

· 중재/리더십

· 조직에 대한 이해

50 제한 없음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 내용 영역: 자원, 정보, 기술

· 수행요소: 수집, 분석, 활용

30 45분
자기관리 역량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목표지향적 계획 수립 및 실행능력

·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

· 직업의식

60 제한 없음

관련 사이트

KCESA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1]

해외사례[2]

미국의 대학·고용주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Colleges and Employers; NACE) 에서도 대학생들이 졸업 후, 직장 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돕기 위한 “경력 준비(career readiness)” 에 필수적인 7가지의 역량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비판적 사고 또는 문제해결력(critical thinking/problem solving), 말 과 글의 의사소통(oral/written communications), 팀워크 또는 협동(teamwork/ collaboration), 정보 테크놀로지 활용(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리더 십(leadership), 전문 직업의식 또는 직업윤리(professionalism/ work ethic), 그 리고 경력관리(career management)가 포함된다.

연혁[3]

- 2007년 「대학생 직업기초 능력 선정 및 문항 개발 연구」를 시작

- 2010년부터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온라인 시스템에 기반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을 계속 수행

- 2011~2012년에 6개 영역의 문항 세트(일반형)를 개발

- 2014년에 6 개 영역의 핵심형 문항 세트를 개발

- 2016년부터 6개 영역의 새로 운 문항 세트(일반형) 개발을 진행하여 2022년에 제5판형 개발을 완성하여 운영 중임

- 2022년 이전까지 K-CESA는 일반형 2개 세트와 핵심형 1개 세트를 사 용하고 있고, 2022년 9월에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 글로벌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자기관리역량, 종합적 사고력 일반형 1개 세트를 추가 개발하여 시스템에 탑재-

- 종합적 사고력 신규 문항 같은 경우는 현재 문항 타당도 조사를 완료 하였으며, 2022년도 9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신규판형으로 학생들이 진단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을 완료

현황[4]

2022년(’21년 7월~’22년 6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에 참 여한 대학은 모두 61개 대학

○ 이들 대학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소재 대학이 21개(34.4%), 비수도 권 소재 대학이 40개(65.6%)임. ○ 규모별로 보면 대규모 대학 30개(49.2%), 중규모 대학 16개(26.2%), 소규모 대학 15개(24.6%)로, 대규모 대학의 비중이 높은 편

○ 대학 설립 유형별로 보면 사립대학 48개(78.7%), 국공립대학 13개 (21.3%)로, 사립대학의 비중이 국공립대학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2022 년 기준 전체 대학 수와 비교했을 때는 국공립대학의 22.4%, 사립대 학의 13.6% 정도가 참여

○2022년(’21년 7월~’22년 6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에 참여 한 대학은 모두 78개 대학임


2022년(’21년 7월~’22년 6월)에 진단에 참여한 학생은 모두 14,290 명으로 확인

○ 참여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학생이 8,963명(62.7%)으 로 남학생 5,327명(37.3%)보다 참여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남.

○ 학년별로는 1학년 2,926명(20.5%), 2학년 3,618명(25.3%), 3학년 4,576명 (32.0%), 4학년 3,170명(22.2%)으로 3학년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소재 대학생이 9,199명(64.4%)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생 5,091명(35.6%)보다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

○ 계열별로는 공학(28.0%) > 사회(20.7%) > 인문(15.1%) > 자연(14.9%) > 예체능(9.3%) > 의약(6.8%) > 교육(5.3%) 순으로 참여 비중이 높았음.

○ 규모별로는 대규모 대학 학생들의 비중이 59.1%로 가장 높게 나타남.

연구 동향

- 진미석 외(2011)는 K-CESA 진단실시과정 상에서 노정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아울러, K-CESA 결과가 대학교육과정개선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김희연 외(2018)은 핵심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와 타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검사 사례를 바탕으로 A 대학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12개 핵심역량을 선별하여 대학 구성원인 교원 60명과 재학생 391명 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핵심 역량으로 논리비판적 사고, 창의융합적 사고, 자기관리, 문제해결, 소통, 글로벌, 공동체의식 등 7개 역량을 도출했다.

- 윤지영 외(2018)은 C대학교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C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교과과정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장, 단기 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궁극적으로 C대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

- 고진영 외(2017)은 영역-특수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별 교육이념, 교육목표, 및 교육목적에 기반한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2012년 한국의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에 선정된 H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진단도구(HY CCA)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2)

고진영, & 정기수. (2017).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475-504.

김희연, 민경석, & 정지영. (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양교육연구, 12(3), 63-87.

윤지영, & 유영림. (2018).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C 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353-373.

진미석, 손유미, & 주휘정. (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1. KCESA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
  2. 고진영, & 정기수. (2017).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475-504.
  3.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2)
  4.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