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만족모형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정의

현실적인 의사결정은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대안의 선택으로 이루어진다는 의사결정 모형이다. 의사결정에서 합리적인 결정이나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데는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동의할 만한(agreeable) 차선의 대안을 선택함으로써 제한된 합리성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이론모형이다.

모든 상황을 고려하거나 모든 대안을 살피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상황이나 대안을 보고 수용 가능 영역 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주요내용

등장 배경

사이먼(H. Simon)과 마치(J. March)에 의하여 합리모형의 현실적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만족모형의 전제 - 행정인

행정인(administratvie man)이란 경제인(economic man)에 대비되는 의사결정 모델에서 특성을 부여한 사람이나 조직이다. 여기에서 경제인은 합리모형에 등장하므로 참고하도록 한다.

행정인은 만족모형에서 제시되는 전제로, 인지적 능력의 한계로 환경에 대한 지식이 제한되어 있다.

제한된 합리성

만족모형은 합리모형과 같이 완전무결한 합리성이 아니라 제한된 합리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이란 능력에 한계가 있는 현실적인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합리성을 뜻하는 것으로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인정한다. 정책결정자가 자신의 주관적 판단으로 최선의 것이라 믿어지는 대안을 선택해서 의사결정을 했을 때 실현되는 주관적 합리성을 말한다.

평가

장점

만족모형은 실질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는 실제로 적용하기 쉽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조직이론상의 사회심리학적 요소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단점

만족모형은 사람에 따라 만족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또한 객관성이 없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힌다. 이를 종합해보면, 주관적이라는 점을 만족모형의 단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만족모형의 영향

만족모형은 사이버네틱 모델(Cybernetic model)과 린드블름의 점중주의(Lindblom's incrementalism)에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네이버 행정학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6378&cid=42155&categoryId=42155, 2024.12.20.

네이버 교육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12679&cid=42126&categoryId=42126, 202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