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직무특성이론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직무특성이론(Job Characteristic Model) 이란, Herzberg의 직무충실화 (job enrichment) 이론을 비판하며 1976년 Hackman 과 Oldham에 의해 등장했고,

직무의 특성이 직무수행자의 성장욕구 수준과 부합할 때 긍정적 효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직무특성이론은 세 가지 중요한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업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5가지의 핵심 직무 차원을 식별한다.

핵심 직무 특성

직무특성이론 (JCM) 에서는 다섯 가지의 핵심 직무 특성을 제시한다.

  1. 과업 정체성 (Task identity) : 직무가 하나의 완전한 작업 또는 결과물을 창출하는 정도
  2. 과업 중요성 (Task significance) : 전체적이고 식별 가능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정도
  3. 기술 다양성 (Skill variety) : 직무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술과 능력의 범위
  4. 자율성 (Autonomy) : 직무 수행 과정에서, 직원 스스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유의 정도
  5. 피드백 (Feedback) : 직무 수행 과정에서, 명확하고 직접적인 성과 정보를 제공받는지 여부

심리 상태

직무특성이론 (JCM) 에서는 위에서의 직무 특성이 세 가지의 중요한 심리 상태를 이끈다고 주장한다.

  1. 직무의 의미감 (Experienced meaningfulness) : 그들의 직무 수행이 의미가 있다고 느끼는지, 광범위한 목적을 충족시킨다고 느끼는지의 여부
  2. 직무에 대한 책임감 (Experienced responsibility) : 직무 수행의 결과물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느끼는 지의 여부
  3. 결과에 대한 인식 (Knowledge of results) : 결과에 대한 만족도, 효율성의 인식 정도

특징 및 의의

- 5가지의 핵심 직무 특성과 3가지의 중요 심리 상태를 염두에 둔 채 직무를 구성할 시,

동기부여 증가, 높은 직무 만족도, 직무 효율성 향상, 이직률 감소 등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다양한 연구들이 직무특성이론 (JCM) 을 지지한다.

- 직무 특성의 측정에 있어, 측정 방식이 인간의 인식에 기반하기 떄문에 인지적 편향 (perceptual bias) 가 발생할 수 있다.

- 개인 간의 차이 및 조직 간의 차이를 간과한다.

- 전문직이나 자율성이 큰 직무에는 잘 적용되는 반면,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에는 적합하지 않다.

비판점

직무특성이론의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직무 특성의 '측정 방식'에 있다.

  1. 직무특성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왜곡 우려 : 직무 만족이 직무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 (내재적 직무특성의 경우, 직원들의 인식에 기반해 측정하므로, 기분에 따라 측정이 달라질 우려가 있음)
  2. 개인차 무시 : 직무의 핵심 특성이 모두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므로,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
  3. 조직과 직무 맥락 무시 : 직무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조직 내 환경적 요인이나 사회적 요인을 간과하게 됨.
  4. 일반화 한계 : 전문직이나 자율성이 큰 직무에 잘 적용되나,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에는 적합하지 않음.
  5. 문화적 차이 무시 : 주로 서구 사회에서 개발된 이론이므로, 문화적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