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혁신생태계
혁신생태계의 정의 및 개념
혁신생태계란 용어는 비즈니스생태계 차원에서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주변의 생산자와 사용자 간 공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Moore, 1993)되었다.
Moore(1993)에 따르면 새로운 혁신, 고객 수요의 만족, 차세대 혁신 등을 둘러싸고 기업은 협력과 경쟁을 통해 공진화(co-evolution)한다.
Juceviclus와 Grumadaite(2014)는 혁신생태계와 혁신시스템(System of Innovation)의 관점을 비교(<아래 표> 참고)하였다.
Bessant et al.(2014)은 혁신시스템은 지리적 제약성과 정태적 특성을 갖는 반면 생태계 이론은 특정한 혁신시스템의 구체적인 상호관계에 집중하고 시스템의 동태성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Jackson(2011)은 혁신생태계는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와 상업경제(commercial economy)로 구성되며, 지식경제에서 창출된 자원과 상업경제의 자원과 결합의 개념으로 이해하였다.
R&D투자를 통해 상업경제의 매출과 이익을 증가시켜 생태계가 균형·발전에 도달하는 선순환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Valkokari(2015)는 경제생태계를 비즈니스생태계, 지식생태계, 혁신생태계로 분류하면서, 혁신생태계는 탐구(exploration)영역을 담당하는 지식생태계와 개척(exploitation)영역을 담당하는 비즈니스생태계를 통합하는 생태계로 정의하였다.
지식생태계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 창출에 집중하며 비즈니스생태계는 고객 가치 창출에 집중한다.
Jackson(2011)과 Valkokari(2015)의 연구에 따르면 혁신생태계는 지식과 상업적 생태계의 결합을 통해 선순환 하는 과정을 특성으로 하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혁신생태계의 구성>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핵심기업과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하다.
혁신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행위자는 지식생태계와 비즈니스생태계를 구성하는 행위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즈니스생태계의 핵심주체는 핵심기업(focal company)과 플랫폼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시장으로 이해한다.
핵심기업과 플랫폼은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고객과 기업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이해한다.
[출처] 혁신생태계의 정의 및 개념|작성자 MOT Consultant
<참고자료> 중소기업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STEPI. 202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