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스마트팜 혁신밸리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 (개념) 스마트팜에 특화된 청년농 육성, 스마트팜 기자재 연구·실증 기능을 집약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
  • 농업‧농촌에 청년 유입 : 전문 보육체계, 창업 및 주거공간 구축 ⇒ 청년의 안정적 창업·정착
  • 농업과 전후방산업 동반성장 : 기업-연구기관-농업인 간 공동 R&D ⇒ 기술혁신, 신제품 개발
  • (개소수) ‘22년까지 전국 거점에 4개소 조성 ☐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예시)
  • (구성)「스마트팜 창업보육센터, 임대형팜, 실증단지」를 기본 요소(20ha+α)로, 연계 사업군(유통, 정주여건 등) 패키지 지원
    • (청년 보육)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4개소)를 통해 청년들이 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팜 전문지식 습득 및 경영실습 후, - 임대형 스마트팜을 거쳐 창업으로 연착륙 유도
    • (연구·실증)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서 기업‧연구기관의 실증·테스트, 빅데이터 분석, 검·인증, 전시‧체험 서비스 제공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개념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의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판로개척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로,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모두 갖춘 일종의 산업단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까지 전국 4개 지역에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할 계획이다.[1]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특징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고, 농업 생산성 향상과 농촌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규모화와 집적화: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을 대규모로 집적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소규모 분산형 스마트팜과는 차별화된 특징이다.
  • 청년창업 지원: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청년 창업가들을 위한 보육센터와 임대형 스마트팜을 운영하여 청년들의 스마트팜 창업을 지원한다. 이는 농업 분야의 청년 창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술혁신과 판로개척: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R&D)을 수행하여 스마트팜 기술을 혁신하고, 판로를 개척한다. 이는 스마트팜 기술의 발전과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발전 방향

  • 규모 확대: 정부는 2022년까지 4개 지역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할 계획이지만, 향후 추가 조성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 특화 모델 개발: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 모델을 개발하여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다.
  • 민간 참여 확대: 민간 투자와 참여를 확대하여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자생력을 확보할 것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기대 효과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농업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농업 생산성 향상: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규모화와 집적화로 농업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농촌 지역 일자리 창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으로 농촌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농업 부가가치 증대: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통해 농업 부가가치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향후 과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향후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사업 추진의 효율성 제고: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은 정부, 지자체,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복잡한 사업으로,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지역 특성화 모델 개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 모델을 개발하여 농업인과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 마련: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정부의 지원 없이도 지속 가능한 운영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외부링크

현황

  • (추진경과) 「스마트팜 확산방안(’18.4월, 부처 합동)」에 따라 스마트농업 인력・기술의 확산 거점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추진(~’22년)
    • 스마트팜에 특화된 청년창업 보육, 스마트팜 임대, 기자재 실증을 핵심 기능으로 조성
    • 김제·상주(1차지역, ’18.8월), 밀양·고흥(2차지역, ’19.3월) 등 4개소 선정
  • 혁신밸리 핵심시설 주요 개요
혁신밸리 핵심시설 주요 개요 , 핵심시설, 주요 내용
핵심시설 주요 내용
보육온실 개소별 약 2.3ha, 보육센터 교육형(6개월) 및 경영형(12개월) 실습장 활용
임대온실 개소별 약 6ha, 성적우수 보육생 3년 임대(4~500평/인)
실증온실 개소별 약 2ha, 스마트 농업 기자재 실증 및 R&D 공간 임대
  • (공사현황) 1차지역은 ’21.12월 가동*, 2차지역은 ’22.上 목표 공사 중
    • * (전북 김제) ’21.11.29일 준공식 / (경북 상주) ’21.12.15일 준공식
    • ** 경북 상주의 경우 일부 임대온실, 보금자리주택은 ’22.상반기 완공 예정
    • 2차지역 일부 핵심시설은 先완공(밀양 보육온실, ’21.9월)하여 운영 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