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완전위탁형 OCIO 투자정책 의사결정 흐름도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 개요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펀드 설정 현황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는 전담조직 등 자산운용 체계를 갖추기 어려운 중소형 기금의 자산운용 업무 전체를 투자풀에 위탁하는 제도이다. 여기서 연기금투자풀은 기금의 여유자금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집합투자기구와 통합집합투자기구에 투자된 자금을 금융시장에서 운용하는 운용집합투자기구로 구성되며, 기금 여유자금 등의 안정성과 수익성 및 공공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마련된 제도이다. 해당제도는 여유자금이 1조원 미만이거나 투자풀 위탁 비중이 50% 이상, 전담 운용조직이 없는 기금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까지 사학진흥기금 등 27개 기금이 완전위탁형 제도에 참여하기로 확정하였다. 완전위탁형 OCIO 의사결정 체계는 전담주간운용사, 투자정책자문단, 투자풀자산운용소위원회 및 기금운용심의회 등이 참여하는 구조로 완전위탁형 기금의 전담주간운용사는 기금의 설립 목적과 자금의 특성에 맞는 투자정책 수립, 자산배분 결정 및 상품을 선택하며 투자정책은 투자풀위원회 산하의 ‘투자정책자문단’ 검토를 받은 후 투자풀자산운용소위원회의 심의 하에 추가 진행할 수 있다.

자산운용 주기는 운용전략 수립과 투자실행, 성과평가 및 위험관리 단계로 나뉘는데 주간사와 투자풀 운영위원회가 전주기를 이를 대신 수행한다. 기금이 여유자금 전액을 일괄 위탁하면 연기금풀은 자산유형별 통합펀드로 자산을 배분·운용하게 된다. 개별 기금은 완전위탁형으로 자금을 맡기면 연기금풀 주간운용사 2곳 중 1곳을 '전담 주간운용사'로 두게 된다. 해당 제도를 통하여 중소형기금은 수입·지출 관리 등 기금 고유 업무에 집중할 수 있으며 투자풀은 기금의 유동성과 기대수익률, 투자위험 등을 고려해 기금별로 자산운용 지침과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 국내·외 OCIO 유형 분류
분류 설 명
완전위탁형 IPS 수립, 자산배분부터 매니저 선정, 자금배정, 위험관리 등 거의 모든 투자 프로세스를 주간운용사에 위임

예) 국내의 경우 국민연금, 사학연금 등

해외의 경우 CalPERS, CPPIB 등

부분위탁형 IPS 수립, 자산배분은 기금위원회에서 수립하며, 그 외 매니저 선정, 자금배정, 위험관리 등의 과정을 주간운용사에 위임

예) 국내의 경우 주택도시기금, 고용보험기금 및 산재기금 등

제한적위탁형 일부 자산 또는 운용전략만을 OCIO 형태로 주간운용사에 위임

예) OO공단의 대체투자 OCIO 전담운용기관

외부링크

근거법령

  • 국가재정법: 공포일 2023.06.09 시행일 2023.07.10
  • 제81조(여유자금의 통합운용) 기획재정부장관은 기금 여유자금의 효율적인 관리ㆍ운용을 위하여 각 기금관리주체가 예탁하는 여유자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절차에 따라 선정된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통합하여 운용하게 할 수 있다.
  • 국가재정법 시행령: 공포일 2023.07.07 시행일 2023.07.10

37조(여유자금의 통합운용을 위한 금융기관의 선정 등) ①법 제81조에 따라 각 기금관리주체가 예탁하는 여유자금을 통합운용하는 금융기관은 관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기획재정부장관이 선정하되, 다음 각 호의 선정기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재무상태 및 경영지표의 건전성

2. 수익률 등 자산운용의 성과

3. 자산운용 전략 및 계획의 적정성

4. 그 밖에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자산운용을 위하여 기획재정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제1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법 제81조에 따른 기금 여유자금의 통합운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한다.

연혁

  • 2001년: 연기금투자풀제도 도입[1]
  • 2012년: 연기금투자풀 복수 운용체제 도입
  • 2022년: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 도입[2]
  •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 선정기준 개정 내용
연도 세부 기준
2001 정량

평가

(50%)

재무안정성(20%) 정성

평가

(50%)

운용수수료(30%)
인적자원(30%) 투자풀운영지원(20%)
운용자산규모(30%) 펀드관리방안(30%)
운용성과(20%) 리서치능력(20%)
2005 정량

평가

(40%)

재무

안정성

(15%)

위험대비자기

자본비율(5%)

정성평가

(60%)

운용

보수율

(20%)

운용보수율 제시(10%)
실질자기자본

비율(5%)

운용보수율 적정성

검토(10%)

총자산순이익률

(5%)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55%)

투자풀 운영·관리조직과

전문인력(20%)

인적

자원

(30%)

운용전문인력

업계경력가중

인원수(20%)

하위운용사 관리방안 (10%)
운용전문인력

자사경력가중

총인원수(10%)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25%)

투자계획

(6%)

운용

자산

(25%)

총수탁고 3년

평균(12%)

투자실행

(6%)

총수탁고 3년

증가율(10%)

평가

(6%)

유형별 수탁고 하한선 초과여부(3%) 위험관리

(7%)

운용

성과

(30%)

위험조정성과(20%) 상품수요 및

기금지원

(25%)

상품수요파악(12%)
성과지속성(10%) 연기금에 대한 지원(13%)
2009 정량

평가

(30%)

재무

안정성

(10%)

영업용순자본비율

(3%)

정성평가

(70%)

보수율

(15%)

운용보수율 제시(5%)
적정성 검토(10%)
총자산순이익률

(3%)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60%)

투자풀 전담인력의 전문성(10%)
자기자본비율

(4%)

투자풀 전담조직의 구성·독립성(10%)
인적

자원

(40%)

집합투자자산운용사

업계경력가중

총인원수(20%)

하위운용사 관리방안 (10%)
집합투자자산운용사

자사경력가중

총인원수(20%)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25%)

투자계획

(7%)

운용

자산

(20%)

총순자산 3년

평균(10%)

투자실행

(7%)

총순자산 3년

증가율(7%)

평가

(7%)

유형별 순자산 하한선 초과여부(3%) 위험관리

(9%)

운용

성과

(30%)

위험조정성과(20%) 상품수요 및

기금지원

(25%)

상품수요파악(10%)
성과지속성(10%) 연기금에 대한 지원(15%)
2012

(복수주간운용사 체제 도입)

정량

평가

(30%)

재무

안정성

(10%)

영업용순자본비율

(3%)

정성평가

(70%)

운용

보수율

(15%)

운용보수율 제시(10%)
보수율 산정체계 및

적정성 검토(5%)

총자산순이익률

(3%)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60%)

투자풀

운용조직 및

관리능력(15%)

투자계획

(5%)

자기자본비율

(4%)

투자실행

(5%)

인적

자원

(30%)

운용관련 인원수(10%) 평가

(2.5%)

위험관리

(2.5%)

운용관련 업계경력 가중인원수(10%)
운용조직 독립성 및

내부통제(10%)

독립성

(5%)

1인당

운용펀드수(5%)

내부통제

(5%)

1인당 운용설정원본(5%)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35%)

투자계획

(10%)

운용

자산

(20%)

총순자산 3년

평균(8%)

투자실행

(10%)

총순자산 3년

증가율(8%)

평가

(7%)

유형별 순자산 분포도(4%) 위험관리

(8%)

운용

성과

(40%)

위험조정성과(30%) 상품수요 및

기금지원

(25%)

상품수요파악(10%)
성과지속성(10%) 연기금에 대한 지원(15%)
2013 정량

평가

(30%)

재무

안정성

(10%)

영업용순자본비율

(3%)

정성평가

(63%)

운용

보수율

(5.5%)

운용보수율

적정성 검토(5.5%)

총자산순이익률

(3%)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66.7%)

투자풀

운용조직과

전문인력(16.7%)

투자계획

(5.5%)

자기자본비율

(4%)

투자실행

(5.5%)

인적

자원

(30%)

운용관련 인원수(10%) 평가

(2.85%)

위험관리

(2.85%)

운용관련 업계경력 가중인원수(10%)
투자풀

운용조직 독립성 및

내부통제(11.1%)

운영조직

독립성

(5.55%)

1인당

운용펀드수(5%)

내부통제

적정성

(5.55%)

1인당 운용설정원본(5%)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38.9%)

투자계획

(11.1%)

운용

자산

(20%)

총순자산 3년

평균(8%)

투자실행

(11.1%)

총순자산 3년

증가율(8%)

평가

(7.8%)

유형별 순자산 분포도(4%) 위험관리

(8.9%)

운용

성과

(40%)

위험조정성과(30%) 상품수요 및

기금지원

(27.8%)

상품수요파악(11.1%)
성과지속성(10%) 연기금에 대한 지원(16.7%)
가격평가(7%) 운용보수율 운용보수율 제시(7%)
2016 정량

평가

(25%)

재무

안정성

(10%)

자기자본이익률

(2%)

정성평가

(65%)

운용

보수율

(7.7%)

운용보수율 산정체계

및 적정성 검토(7.7%)

총자산순이익률

(2%)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70%)

투자풀

운용조직과

전문인력(16.2%)

투자계획

(5.45%)

투자실행

(5.45%)

자기자본비율

(6%)

평가

(2.65%)

인적

자원

(25%)

운용관련 인원수(10%)
위험관리

(2.65%)

운용관련 업계경력 가중인원수(10%)
투자풀

운용조직 독립성 및

내부통제(10.8%)

운영조직

독립성

(5.4%)

내부통제

적정성

(5.4%)

1인당

운용펀드수(5%)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43%)

투자계획

(10.7%)

운용

자산

(15%)

총순자산 3년

평균(6%)

투자실행

(10.7%)

평가

(7.5%)

총순자산 3년

증가율(6%)

위험관리

(8.6%)

해외대체투자관리계획 및 관리 능력(3%)
유형별 순자산 분산도(3%)
대체투자성과(2.5%)
운용

성과

(50%)

위험조정성과(36%) 투자풀

발전

기금

지원방안

(22.3%)

투자풀

발전방안

(7.7%)

상품개선

(3.1%)

투자풀

확대(3.1%)

업무지원

(1.5%)

성과지속성(14%) 연기금에

대한

지원방안

(14.6%)

교육및자문(9.3%)
전문성확보(2.3%)
요청서비스제공(3%)
가격평가(10%) 운용보수율 운용보수율 제시(10%)
2017

(현재)

정량

평가

(25%)

재무

안정성

(10%)

총자산순이익률

(2%)

정성평가

(65%)

운용

보수율

(7.7%)

운용보수율 산정체계

및 적정성 검토(7.7%)

자기자본이익률

(2%)

투자풀

펀드

관리

능력 (70%)

투자풀

운용조직과

전문인력(16.2%)

투자계획

(5.45%)

투자실행

(5.45%)

자기자본비율

(6%)

평가

(2.65%)

인적

자원

(25%)

운용관련 인원수(10%)
위험관리

(2.65%)

운용관련 업계경력 가중인원수(10%)
투자풀

운용조직 독립성 및

내부통제(10.8%)

운영조직

독립성

(5.4%)

내부통제

적정성

(5.4%)

1인당

운용펀드수(5%)

투자풀

관리계획 및

관리능력(43%)

투자계획

(10.7%)

운용

자산

(15%)

총순자산 3년

평균(6%)

투자실행

(10.7%)

평가

(7.5%)

위험관리

(8.6%)

총순자산 3년

증가율(6%)

해외대체투자관리계획 및 관리 능력(3%)
유형별 순자산 분산도(3%)
대체투자성과(2.5%)
운용

성과

(50%)

위험조정성과(36%) 투자풀

발전

기금

지원방안

(22.3%)

투자풀

발전방안

(7.7%)

상품개선

(3.1%)

투자풀

확대(3.1%)

업무지원

(1.5%)

성과지속성(14%) 연기금에

대한

지원방안

(14.6%)

교육및자문(9.3%)
전문성확보(2.3%)
요청서비스제공(3%)
가격평가(10%) 운용보수율 운용보수율 제시(10%)

해외사례

  • 네덜란드: APG는 네덜란드 연기금을 운용하는 독립된 기관으로 2008년에 자산운용공사를 설립하여 ABP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적 기금의 자산을 함께 운용해왔으며 2019년말 기준 5,380억 유로를 운용하고 있음, APG 기금운용조직은 실제 투자집행을 담당하며, 관리 조직은 투자 계획의 집행 및 투자 성과 등에 대한 사항을 정기적으로 수탁자위원회에 보고함은 물론 연간 재무제표와 연차 보고서의 발행을 통해 연금 자산의 재무 상태와 자산운용 활동에 대한 사항을 보고함, 전략적 포트폴리오 비중에 따라 수익자별 투자자산 배분 및 비중 산출 등을 통합 포트폴리오로 관리 (Commingled Fund) 하며, 아래와 같은 다양한 이종 자산에 투자하고 있음
  • 미국: 미국 CommonFund는 주정부 연금을 비롯한 연금 투자자와 비영리단체 중 전략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한 전문 자산운용 기관임, CommonFund의 목표는 전략적 투자자를 위한 규모의 경제와 Best Manager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투자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요 사업은 3가지로 정리 가능, 소규모 기금의 경우 통합펀드를 통해 투자하며 전략적 및 전술적 자산배분, 하위운용사 유니버스 및 선정, 실사, 포트폴리오 구축 등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금 운용, CommonFund는 위탁운용자회사인 CAMC는 하위매니저 선임 권한과 책임을 위원회로부터 위임받아 자금을 각 하위매니저에게 배분·회수 및 재배정을 실행, CommonFund는 의사결정에 전문적인 자문을 받기 위해 CommonFund Institute를 설립하여 운영, 또한 직원 및 기금 담당자의 교육 및 리서치, 출판을 담당

연구동향

  • 이성효(2014)의 연구는 주로 중소형 기금의 여유자금을 예탁받아 운용하는 연기금투자풀의 제도 개요와 기금별 참여 현황을 소개하고 액티브 주식형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운용 성과와 스타일을 비교하였다. 순자산 규모에 의해 가중평균하여 하나로 통합된 펀드(전체 펀드)를 비교할 때 연기금투자풀 펀드는 공모 펀드에 비해 보수 차감 전(후) 기준으로 0.64%(1.84%) 정도 높은 연간성과를 달성하였지만 4요인모형으로 분석한 운용 스타일 측면에서는 투자풀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는 베타 성과 측면에서 유사하고, 둘째, 위험과 스타일 요인을 조정한 후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성과 차이는 대부분 알파 수익률 차이인데, 보수 차감 전에는 알파 수익률 차이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개별 펀드를 분석 단위로 하는 패널회귀분석 결과 투자풀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는 역시 유의적인 성과 차이가 존재하지만 펀드별 보수율 차이를 감안하면 성과 차이가 현저히 줄어들어 투자풀과 공모 펀드 간성과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위험 조정 전후 모두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 사이에 평균적인 성과 차이가 존재하지만 이는 주로 보수율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진정한 운용능력인 알파 성과의 차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 이성효(2016)의 연구는 연기금의 여유자금을 예탁 받아 운용하는 연기금투자풀 액티브 주식형펀드의 운용 성과와 운용스타일을 공모 펀드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기금투자풀의 중요성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고 또한 연기금투자풀은 사모펀드의 성격을 띄고 있어 자료를 구할 수 없어 연구를 할 수 없었던 사모펀드의 성과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분석 결과 순자산 규모에 의해 가중 평균하여 하나로 통합된 펀드(전체 펀드)를 비교할 때 연기금투자풀 펀드는 공모 펀드에 비해 보수 차감 전(후) 기준으로 0.64%(1.84%) 정도 높은 연간 성과를 달성하였지만 4요인모형으로 분석한 운용 스타일 측면에서는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는 베타 성과 측면에서 유사하고, 둘째, 위험과 스타일 요인을 조정한 후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성과 차이는 대부분 알파 수익률 차이인데, 보수 차감 전에는 알파 수익률 차이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개별 펀드를 분석 단위로 하는 패널회귀분석 결과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는 역시 유의적인 성과 차이가 존재하지만 펀드별 보수율 차이를 감안하면 성과 차이가 현저히 줄어들어 투자풀과 공모 펀드 간 성과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졌다. 연기금투자풀 자금을 운용하는 개별운용사는 여러 단계의 엄격한 평가를 거쳐 선정될 뿐만 아니라 운용현황을 주간운용사와 제도관리주체인 기획재정부가 상시적으로 파악하고 만일 운용성과가 계속 저조하면 자금을 회수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력한 모니터링에도 불구하고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성과 차이가 보수율 차이를 조정하면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조사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여타 기관투자자를 위한 사모펀드의 성과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는 연기금투자풀이 사모펀드를 완전히 대표할 수 없다는 점이라 하겠다.
  • 김준범(2017)의 연구는 국내 연기금의 자산운용체계가 자산운용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한다. 국내 60개 연기금을 대상으로 자산운용체계를 ⑴ 내부 위원회, ⑵ 연기금투자풀 위탁, ⑶ 자산운용조직 등 3가지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금운용평가 보고서」와 개별 연기금의 공시 등에서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한 결과, 연기금 내부의 위원회가 정부로부터 비독립적일 경우에 자산운용 수익률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연기금투자풀 위탁 여부는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내부의 자산운용인력은 공무원이 아닐 경우에만 수익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산운용체계가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중장기자산 투자 비중이 매개변수로 기능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국내 연기금 전체를 대상으로 자산운용체계가 자산운용 성과에 주는 영향을 처음으로 실증 분석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기금별로 상이한 자산운용 위험과 내부 운용인력의 전문성 등이 운용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공개된 자료가 부족해 분석을 하지 못했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반드시 다뤄질 필요가 있다.
  • 민재훈(2013)의 연구는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주식을 대상으로 연기금의 주식 선택 능력(stock selection ability)과 이에 따른 장기적인 투자 성과에 대해서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연기금 투자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제약들로 인해서 본 연구는 연기금의 과거 거래 정보의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연기금의 과거 매매 정보를 이용한 모방 투자 전략의 수익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연기금과 투신사의 과거 매매 정보를 이용한 모방 전략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두 기관투자자의 주식 투자 목표가 기본적으로 다르다는 전제하에서 투신사는 단기성과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주식 운용구조를 가진 반면 연기금의 경우 보다 장기적인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주식 투자에 임하고 이에 따른 종목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투신사의 운용 성과가 연기금보다 나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연기금의 투자 전략을 모방함으로써 보다 우월한 장기적인 투자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증분석의 결과는 두 가지 가설을 모두 지지하지 않았다. 연기금과 투신사의 과거 주식 매매 자료를 이용하여 두 기관투자자가 주로 사는 종목을 매수하고 많이 파는 종목을 공매도하는 모방 전략을 따라한 결과 이들 두 기관 투자자를 추종하는 모방 전략은 헤지 포트폴리오 구성 후 3년 동안 양(+)의 초과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신사의 투자 패턴을 모방하는 경우가 연기금의 과거 매매 행태를 따라하는 경우에 비해서 포트폴리오 구성 후 1년부터 3년까지의 모든 기간에 있어서 높은 수익성을 보여서 연기금이 투신사와 대비해 장기적인 투자 성과 측면에서 비교 우위를 가진다는 가설 역시 지지될 수 없었다.
  • 김지홍과 류두진(2020)의 연구는 OCIO 서비스 공급자 측면에서 OCIO 사업모형을 해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 도입 가능한 사업모형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분석 결과,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는 OCIO 금융투자회사, OCIO 전문회사, 그리고 OCIO 컨설팅회사와 같은 사업모형이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각 사업모형은 고유한 특성에 따라 주요 수요층, 도입의 조건 및 시기가 상이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책적인 측면의 경우, OCIO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의 도입과 OCIO 사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와 관련하여, 도입 가능한 OCIO 공급자 사업모형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와 시의성이 있다.

참고문헌

  • 조훈. (2021). 연기금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한국금융공학회 연구보고서.
  • 이성효. (2014). 연기금투자풀 액티브 주식형펀드의 성과와 그 결정요인: 공모 액티브 주식형펀드와의 비교 분석. KIF working paper, 2014(13), 1-35.
  • 이성효. (2016). 연기금투자풀 주식형펀드의 성과분석. Financial Planning Review, 9(4), 107-132.
  • 김준범. (2017). 연기금의 자산운용체계는 운용 성과에 영향을 주는가: 국내 연기금의 위원회, 투자풀, 운용조직 중심으로: Pension fund's asset management system and financial performance: focusing on committee, investment pool and manpower of Korean pension fund.
  • 민재훈. (2013). 연기금의 주식투자 장기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6(5), 2379-2405.
  • 김지홍, & 류두진. (2020). 퇴직연금 시장과 외부위탁운용관리 (OCIO) 공급자 사업모형에 관한 정책연구. 금융공학연구, 19(4), 139-170.

각주

  1. 재경부 "3월초 기금 투자풀 설립". 머니투데이. 2001년 2월 8일 작성. 2023년 12월 20일 확인함.
  2. 연기금투자풀, 내년 완전위탁형 제도 전면 도입. 연합인포맥스. 2021년 10월 7일 작성. 2023년 12월 20일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