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및 연혁[1]

  • 개념: 정부의 인적자원관리 수준 향상을 통해 정부경쟁력을 강화하고자 (구)중앙인사위원회에서 개발하여 중앙행정기관에 보급을 완료한 시스템으로, 전자적인사관리시스템(Personnel Policy Support System: PPSS)이라는 명칭으로 시작했으나, 2016년 그 명칭을 ‘e-사람’으로 변경하였음[2]
  • 중앙행정기관의 인사업무를 지원하는 '표준인사관리시스템' 과 인사혁신처의 인사정책 및 인사업무처리를 돕는 '중앙인사정책지원시스템’을 통칭함
  • 공무원 인사, 급여, 성과평가, 교육훈련, 복무 관련 자료를 통합관리하고 있으며, IT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업무를 자동화, 효율화함
  • 연혁: ’e-사람'은 최초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한 C/S기반의 1세대와 새로운 환경의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한 Web기반의 2세대로 구분 가능

3세대 e-사람 추진 배경

2011년 2세대 시스템 구축 이후 10여 년이 경과하여 최근 급변하는 환경을 따라가기에 부족한 측면이 있어, 인사혁신처는 3세대 지능형 시스템으로 전면 재구축을 추진 중임

주요 서비스[3]

표준인사관리시스템(중앙행정기관용)

중앙행정기관 인사관련 자료를 DB화하여 관리하고, 인사 담당자 및 공무원들의 인사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구분 주요 서비스
인사 임용에서 퇴직까지의 모든 개인신상 정보와 인사기록을 관리
  • 개인신상 정보와 인사기록의 통합 관리
    • 개인의 인적사항, 교육훈련, 상훈, 충원채용 등 인사 관련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 증명서 발급을 지원한다.
  • 임용관리
    • 인사발령, 임용기록 관리 등을 지원한다.
  • 호봉관리
    • 호봉획정, 정기승급 등 호봉 관리를 지원한다.
  • 교육훈련, 상훈, 충원채용관리
    • 교육훈련, 상훈, 충원채용을 지원한다.
  • 조직관리
    • 부서코드정보, 조직개편, 부서 정현원 관리를 지원한다.
급여 공무원과 행정지원인력의 수당 및 공제 등 급여 작업을 지원하고, 건강보험 등 후생관리 업무를 지원
  • 월급여, 별도지급급여, 연말정산 등을 지원한다.
복무 근무상황, 초과근무, 출장관리 업무를 지원
  • 근무시간, 형태, 유연근무제 등 복무 기본사항을 관리한다.
  • 초과근무 신청 및 승인, 연가사용일수 및 연가보상일수 관리를 지원한다.
연계 인사정보를 공동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정보활용 체계를 제공
  • 금융결제원, 디지털예산회계, 국가인재DB 등 정부 주요 시스템과 연계한다.
  • 각 부처 행정정보 시스템(부처 포탈)과 연계한다.

중앙인사정책지원시스템

인사혁신처에서 정책업무를 수행하고, 현황분석 및 통계자료를 제공하여 과학적, 합리적인 인사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분 주요 서비스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 및 후보자의 인력 풀을 관리하며, 고위공무원단 인사업무를 지원
  • 공모직위 및 개방형직위(과장급직위 포함) 등 직위정보를 관리한다.
  • 개방형직위(과장급직위 포함), 공모직위의 충원 결과를 관리한다.
  • 후보자 교육 및 역량 평가 결과를 관리한다.
  • 고위공무원의 정기/수시적격 심사 결과를 관리하고, 현황 통계를 조회한다.
인사심사 고위공무원단의 채용, 승진임용 등을 위한 인사심사관리 업무 및 온라인 심사 작업을 지원
  • 고위공무원 인사심사의 개요 및 인사심사 서식 자료를 조회할 수 있다.
  • 온라인 심사를 수행하고, 인사심사 결과를 관리하며, 부처에 통보한다.
정부인사발령 임용제청 대상 공무원의 신규채용, 승진 등 대통령 임명사항에 대한 결재 및 발령처리를 지원
  • 임용제청 대상자의 자료를 접수하고, 심사한다.
  • 정부 인사발령 기안/통지 관리 및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통계분서 축적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각종 통계자료를 제공
  • 계급별 현원, 직종별 현원 등 정기 및 수시 통계를 제공한다.
  • 급여, 복무, 균형인사 통계를 제공한다.
  • 비정형 통계를 통한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제공한다.

3세대 e-사람 주요 내용[4]

  • 공무원 인사행정 전 과정 디지털화: 공무원 인식변화와 성과 데이터를 근무 지표와 함께 분석해 공직문화 혁신에 활용
  • 챗봇을 통한 직원 인식 파악 및 업무 피드백: 챗봇을 이용한 펄스 서베이로 직원 인식을 수시로 파악하고 업무실적을 수시로 피드백
  • 빅데이터 기반 과학적 인력계획 수립: 인구구조와 공직지원 동기 변화 등 외부요인을 빅데이터 기술로 분석해 과학적인 인력계획 수립
  • 공무원 개개인 일상 지원: 출장 여비 결제 내역 자동 처리, 출퇴근 관리 자동화, '나의 인사도우미' 제공 등 공무원 개개인 일상 지원

연구동향

정진우(2017)는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성과를 효율성, 민주성, 투명성 측면에서 살피고 있다.

  • 효율성: 인사통계자료의 정확성 및 다양성 향상, 인사 관련 정책의 질 제고, 업무의 자동화 및 효율화
  • 민주성: 인사 관련 의사결정시 조직구성원의 참여 및 의견반영 기회 확대, 인사행정 전반의 공정성 제고
  • 투명성: 인사 관련 자료의 내부 공개 확대, 인사 관련 조직구성원의 공식적 이의제기 감소

그밖에, 행정기관간, 행정기관-민간기관간 인사정보를 공동활용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인사관련 업무처리 역량이 우수한 부서에서 상대적으로 역량이 부족한 부서로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조직관리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승호. (2023년 7월 26일). [기고]3세대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과 정부인사 디지털 혁신.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30725000012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https://www.mpm.go.kr/mpm/info/infoEsaram/infoEsaram1/, https://www.mpm.go.kr/mpm/info/infoEsaram/infoEsaram2/

정진우. (2017).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의 성과에 관한 연구: 효율성, 민주성, 투명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4), 125-143.

각주

  1.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2. 정진우(2017).
  3.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4. 김승호(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