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정부원격근무서비스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내용

정부원격근무서비스(GVPN: Government Virtual Private Network)는 공무원 등이 근무지가 아닌 국내 외 출장, 재택근무 시 내부망을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망에서 원격으로 행정업무시스템 등에 접속하여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1][2]. 전자정부법 제32조(전자적 업무수행) 및 동법 시행령 제 36조(온라인 원격근무)에 근거하는 정부원격근무서비스를 통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 신속한 의사결정 등을 기대하였다.[3][4] 정부원격근무서비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전자정부 통합망에 접속하여 전자결재, 전자우편 등의 행정업무를 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 통신내용 암호화 기능 등을 통해 보안 이슈 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행정전자서명(GPKI), 모바일공무원증을 발급받을 수 이있는 공무원 등 행정기관 소속 직원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용기관의 특성에 따라 공문접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3]

연구 동향

이원석 외 (2021)[4]는 코로나19로 원격근무가 활성화됨에 따라 정부원격근무서비스의 이용자 급증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원격근무서비스 품질 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원석 외 (2020)[2]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기술수용모형을 근거로 정부원격근무서비스의 품질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용 현황

2020년 코로나19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3교대 재택근무지침을 시행하였고, 정부원격근무서비스 이용자 수는 급증하였다. 그 과정에서 2020년 9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재택근무가 확대됨에 따라 출퇴근 시간에 정부원격근무서비스 접속장애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는 서버 메모리 자원을 증설하고 관련 장비를 긴급 증설하였다.[1] 그러나 몇일 뒤 정부원격근무시스템 홈페이지 접속 자체가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재택근무 공무원이 업무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5]

정부원격근무서비스 이용자 수 및 비중 (단위: 명, %)[6]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중앙행정기관 15,978.0 7,644.0 3,241.0 2,134.0 2,001.0 2,965.0 4,048.0 4,994.0 7,175.0 13,533.0 83,643.0 97,733.0 98,030.0
40.07 30.01 31.67 26.05 28.14 30.31 33.61 34.30 39.60 69.67 44.99 43.98 42.38
시도 20,512.0 12,193.0 5,511.0 4,670.0 3,823.0 4,844.0 5,560.0 6,613.0 7,809.0 4,734.0 100,351.0 122,256.0 131,559.0
51.44 47.87 53.85 57.00 53.77 49.52 46.16 45.42 43.10 24.37 53.98 55.01 56.87
기타공공기관 3,383.0 5,633.0 1,482.0 1,389.0 1,286.0 1,973.0 2,436.0 2,952.0 3,135.0 1,158.0 1,915.0 2,244.0 1,745.0
8.48 22.12 14.48 16.95 18.09 20.17 20.23 20.28 17.30 5.96 1.03 1.01 0.75
39,873.0 25,470.0 10,234.0 8,193.0 7,110.0 9,782.0 12,044.0 14,559.0 18,119.0 19,425.0 185,909.0 222,233.0 231,334.0
정부원격근무서비스(GVPN) 활용업무 수 및 비중[6]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중앙행정기관 583.0 315.0 188.0 189.0 232.0 244.0 291.0 330.0 446.0 461.0 1,105.0 1,175.0 1,378.0
30.36 32.24 26.82 30.00 30.73 28.77 28.67 28.40 33.18 32.53 34.13 34.14 28.45
시도 1,316.0 652.0 508.0 437.0 516.0 597.0 715.0 820.0 874.0 937.0 2,074.0 2,219.0 3,410.0
68.54 66.73 72.47 69.37 68.34 70.40 70.44 70.57 65.03 66.13 64.05 64.47 70.40
기타공공기관 21.0 10.0 5.0 4.0 7.0 7.0 9.0 12.0 24.0 19.0 59.0 48.0 56.0
1.09 1.02 0.71 0.63 0.93 0.83 0.89 1.03 1.79 1.34 1.82 1.39 1.16
1,920.0 977.0 701.0 630.0 755.0 848.0 1,015.0 1,162.0 1,344.0 1,417.0 3,238.0 3,442.0 4,844.0

참고문헌

  1. 1.0 1.1 연합뉴스 (2020. 09. 04). 공무원 재택근무 증가에…정부원격근무시스템 한때 접속장애.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4138300530
  2. 2.0 2.1 2.2 이원석, 장상현, 김영대, & 신용태. (2020).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기술수용 모형 관점에서 정부원격근무서비스 (GVPN)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2), 494-497.
  3. 3.0 3.1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2022). Government Virtual Private Network 이용자 매뉴얼.
  4. 4.0 4.1 이원석, 장상현, 김영대, & 신용태. (2021). 정부원격근무서비스 (GVPN) 의 품질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부처 이용자 중심으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10(1), 15-28.
  5. 조선일보. (2020. 09. 09). [단독] 정부원격근무시스템 또 먹통… 재택 공무원 업무 마비.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9/09/2020090901220.html
  6. 6.0 6.1 행정안전부. 행정안전 통계. https://data.mois.go.kr/mois/visual/stat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