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흡연폐해실험실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흡연폐해실험실은 2017년부터 WHO 담배실험실네트워크(TobLabNet)의 분석회원으로서 국제표준시험법 마련, 품질보증 절차 참여 등의 국제협력공동연구에 참여해오고 있으며, 흡연으로 인한 인체 건강영향평가 및 면역학·유전학적 연구 등 세포를 기반으로 한 연구기능을 확충하기 위해 2021년 11월에 ‘흡연폐해세포실험실’을 신규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21~’22년에 신종담배 제품에 대한 표준시험법 마련 및 확립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직간접흡연에 따른 흡연유해물질 노출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바이오모니터링사업을 주관하고 있으며, 담배 유형별 사용자의 행태변화, 흡연습성 등을 반영한 건강영향연구와 관련 대사물질의 변화양상, 세포독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을 2005년에 비준하여 담배규제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모든 회원국가가 협력하여 흡연에 의한 건강위해를 해소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WHO 회원국가로서 협약이행 의무가 있으며, 특히 제9조와 10조의 검증된 실험실에서의 담배 성분 분석 등을 위해 질병관리청 (舊 질병관리본부)에 국제공인시험기관(ISO17025) 기준의 ‘흡연폐해실험실’을 2015년 11월에 설립하였다.

조직

  • 질병관리본부 흡연폐해예방TF(~’16.12), 호흡기 알레르기질환과(’17.1 ~ ’20.9)
  •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관 건강위해대응과(’20.9~현재)

임무

  • 국제공인시험기관(ISO 17025) 수준의 담배제품 배출물 성분분석, 임상분야 바이오마커 시험능력 확보
  • 국가수준에서의 직 간접흡연노출수준 모니터링 위한 바이오마커 등 담배의 인체 위해성 관련 근거 마련 연구
  •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에 따른 실험실 운영 및 WHO 담배실험실 네트워크(Tobacco Laboratory Network, TobLabNet) 분석회원 활동 -
    • 국제공인시험기관(ISO17025) 수준의 담배제품·배출물 성분분석, 임상분야 바이오마커 시험능력 확보 * 내부 정도관리, 시험기관 간 비교시험, 국외숙련도 평가 등을 통한 정기적인 기술력 검증 및 한국인정기구를 통해 ISO17025 자격 지속 갱신 중
    • 니코틴, 타르 등의 성분의 WHO 표준시험법에 따른 시험법 정립·적용
  • 국가수준 흡연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한 흡연물질 노출수준 파악 및 담배유형별 특성, 흡연습성 등에 따른 바이오마커 분석

-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공공자료원을 활용한 니코틴대사체 및 중금속 등의 흡연 특이 바이오마커 측정 * (니코틴대사체 및 알칼로이드) Nicotine, Nornicotine, Cotinine, 3'-OH Cotinine, Anabasine (중금속) 니켈(Ni), 납(Pb), 수은(Hg), 카드뮴(Cd), 알루미늄(Al), 크롬(Cr)

  • 가향·신종담배건강영향, 흡연행태·흡연습성, 흡연기인 질환 발생 등 심층조사결과와 연계된 실험연구 수행

법적 근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r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제9조, 제10조

FCTC 제9조(담배제품 성분에 관한 규제)

당사국총회는 자격이 있는 국제기구와의 협의하에, 담배제품의 성분과 배출물을 검사 및 측정하며, 이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해야 한다. 각 당사국은 관할 국가 기구로부터 승인을 얻을 경우, 그 시험·측정·규제를 위한 효과적인 입법적·집행적·행정적 또는 기타 조치를 채택·시행한다.

FCTC 제10조(담배제품 공개에 관한 규제)

각 당사국은 국내법에 따라 담배제품의 제조업자 및 수입업자가 담배제품의 성분 및 배출물에 관한 정보를 정부당국에 공개하도록

명령하는 효과적인 입법적·집행적·행정적 및 기타 조치를 채택·시행해야 한다. 더 나아가, 각 당사국은 담배제품에 포함된 유독 성분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배출물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조치를 채택·시행해야 한다.

외부링크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연혁

  • 보건복지부(건강증진과)에서 담배규제기본협약 준수 위해 질병관리본부로 ‘국가흡연폐해실험실’ 운영 요청(’14.9.)
  • ‘흡연폐해예방TF’ 구성‧운영(’15.1.~’16.12.) 및 ‘흡연폐해실험실’ 개소(’15.11.)
  • ‘흡연폐해예방추진단* ’ 구성(’17.1.) * 건강영양조사과(조사연구), 호흡기‧알레르기질환과(실험연구)
  • 질병관리청 승격에 따라 ‘건강위해대응관 건강위해대응과(신설)’로 통합(’20.9~)
  • ‘흡연폐해세포실험실’ 개소(’21.11.)

연구동향

이은지 외(2022)는 실외 간접흡연 폐해 연구는 길거리 등 환경 요인에 따라 확산상태가 달라질 수 있어 실제 야외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담배 연기 확산모델 기반 구축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김정미(2012)는 지역사회와 가정의 연계를 강화한 유아를 위한 간접흡연 예방 교육프로그램이 흡연 및 간접흡연의 폐해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간접흡연 상황에서의 대처기술을 습득하며, 금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노성규(2013)은 대학생의 흡연이 각종체력요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흡연의 운동효과 저해에 대한 입증자료 뿐만 아니라 금연 캠페인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였으며 K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5주간에 걸쳐 검사와 측정을 하였다.

참고문헌

김정미.(2012).유아를 위한 간접흡연 예방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열린유아교육연구,17(5),309-324.

노성규, 최영석.(2013).대학생의 흡연이 각종체력요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한국체육교육학회지,18(2),231-238.

이은지, 나경인, 양지연, 박정원, 박민지, 임영욱, ... & 김태연. (2022). 실외에서 흡연 및 담배제품 사용 시 발생되는 연기 특성. 주간 건강과 질병, 15(34), 2426-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