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흡연폐해 바이오모니터링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흡연폐해 바이오모니터링(Biomonitoring)이란 환경 유해물질의 노출 및 건강영향에 대한 노출평가 방법론을 의미하며 노출 바이오마커는 체내에 흡수된 유해물질의 존재를 특이적으로 확인하는데 활용한다. 질병관리청이 수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조사 대상자의 혈액 및 소변 검체를 수집하여 국가수준의 직,간접 흡연노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흡연폐해 바이오모니터링'을 2005년(제3기)부터 수행하고 있다.

  • -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는 바이오마커를 사용하여 소변이나 혈액과 같은 생체지표에서의 바이오마커(유해물질) 또 그 대사체를 측정 - 바이오마커(Biomarker)는 체내 노출 또는 건강영향을 알려주는 지표인 ‘생체지표'로 번역되기도 하며, 노출 바이오마커 또는 영향 바이오마커로 구분

연혁 및 현황

흡연폐해 바이오모니터링 현황표 : 기수, 조사기간(년도), 조사대상, 검체종류, 측정항목로 구성
기수 조사기간(년도) 조사대상 검체종류 측정항목
제3기 2005 만 10세이상,

2,000명 내외

소변 Cotinine
제4기 2007-2009 만 10세이상,

매년 2,000명 내외

소변 Cotinine
제5기 2010-2012 만 10세이상,

매년 2,400명 내외

소변 Cotinine
제6기 2013-2015 만 10세이상,

매년 7,000명 내외

소변 Cotinine
제7기 2016-2018 만 6세이상,

매년 7,000명 내외

소변 Cotinine
만 6세이상,

매년 3,000명 내외

소변 Cotinine
2016-2017 만 6세이상,

2,000명 내외

혈액 납(Pb), 수은(Hg), 카드뮴(Cd), 니켈(Ni)
제8기 2019-2021 만 6세이상,

매년 7,000명 내외

소변 Nicotine, Nornicotine, Cotinine, OH-cotinine, Anabasine

외부 링크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

연구동향

김성균(2015)은 바이오모니터링 연구 또는 사업에 대해 특히 노출바이오모니터링에 대해 학술적으로 검토하고, 바이오마커 연구의 특장점과 건강위해성평가에 활용할 때 주의할 점을 지적하였다. 특별히 국가단위 인구집단 바이오모니터링 사업의 중요성과 의의를 환경부의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자료해석 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하였다.

National Research Council(2006)은 바이오모니터링은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평가 및 관리에 감시(scoping)영역에서 기여한다고 밝혔다. 이는 환경보건학적으로 잠재적 문제를 찾는 활 동을 의미하며 인구집단의 생체시료에서 어떤 물질이 얼마나 검출되는지 스크리닝하고 고노출 군이나 고위험군을 찾고,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설명하는 노출원이나 경로를 조사하는 작업이 함께 수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Schulz C 외(2011)은 노출바이오마커를 인구집단에서 측정하면 다양 한 편차를 보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대수정규 분포(log-normal distribution)의 양상을 띄며 [6], bimodal 또는 경우에 따라 censoring되는 형태를 보이기도 하며 전체분포를 살펴 높이 상대적 고노출 집단을 식별하기 위해 95분위수 이상 수치를 보이는 경우 전체집단에서 고노출 군으로 선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물론 이것은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지만 population-based biomonitoring에서 통용되는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어 독일의 인체바이오모니터링 위원회나 US NHANES에도 참고치(reference value)로서 RV95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최경호(2013)은 노출바이오마커는 정량적(quantitative)이며 개인특이적인 내적용량 (internal dose)와 관련되어 있기에 전통적인 노출모델로 함께 활용되면 불확실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체내 반감기가 짧은 물질 의 경우 일상적으로 노출되어야 한다는 등의 약간의 가정이 필요하지만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적 노출량을 pharmacokinetics 모델을 이용하여 역추정(reverse dosimetry)하면 노출계수와 비교한다고 밝혔다.

Sexton 외(2004)는 노출 바이오마커는 노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에 노출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수영이나 육상경기 메달리스트들이나 마약복용 혐의자들에게 도핑검사를 함으로써 금지된 약물 복용여부를 알듯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소변에서 니코틴(nicotine)의 대사체인 코티닌(cotinine)을 측정하면 직접 흡연여부뿐 아니라 간접흡연까지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on Human Biomonitoring for Environmental Toxicants. Human biomonitoring for environmental chemical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xxi, 291 p. p.

Sexton K, Adgate JL, Church TR, Hecht SS, Ramachandran G, Greaves IA, Fredrickson AL, Ryan AD, Carmella SG, Geisser MS. Children's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using diverse exposure metrics to document ethnic/racial differences. Environ Health Perspect. 2004;112(3):392-397.

Schulz C, Angerer J, Ewers U, KolossaGehring M. The German Human Biomonitoring Commission. Int J Hyg Environ Health. 2007;210(3-4):373-382.

최경호. 생활공감 유해물질의 매체통합위해성평가(III) - Bisphenol A (BPA). 국립환경과학원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NIERSP2013-144)2013.

김성균. (2015). 바이오모니터링에 대한 학문적 고찰. 보건학논집, 52(1), 5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