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도시 바람길 숲 조성(제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사업 개요 == | == 사업 개요 == | ||
바람길 숲이란 바람의 통로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곳에 위치한 선형의 가로수, 녹 지, 숲을 말한다. 제주도는 사라봉 일원에 미세먼지 저감과 도심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 | 바람길 숲이란 바람의 통로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곳에 위치한 선형의 가로수, 녹 지, 숲을 말한다. 제주도는 사라봉 일원에 미세먼지 저감과 도심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시 바람길 숲'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 순환을 통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과 뜨거운 도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진다. '도시 바람길 숲 ' 조성 사업을 통해 도시의 열섬현상, 열대야 등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숲 조성을 통해 도시열섬 완화, 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한다. | ||
== 바람김 숲 개념과 유형 == | == 바람김 숲 개념과 유형 == | ||
바람길 숲은 숲에서 생성된 양질의 공기를 주민 생활 공간으로 공급하는 통로로서, 도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 | 바람길 숲은 숲에서 생성된 양질의 공기를 주민 생활 공간으로 공급하는 통로로서, 도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 내·외곽 숲에서 만들어진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도심으로 유도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연결된 숲을 의미한다. 이는 미세먼지 저감 숲 및 차단 숲 간의 상호 연계성을 증대시켜 생활권 내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한다. | ||
바람길 숲은 크게 바람 생성 숲, 연결 숲, 디딤·확산 숲으로 구분된다. 첫째, 바람 생성숲은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수목의 작용으로 정화된 찬바람이 생성되는 숲이다. 둘째, | 바람길 숲은 크게 바람 생성 숲, 연결 숲, 디딤·확산 숲으로 구분된다. 첫째, 바람 생성숲은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수목의 작용으로 정화된 찬바람이 생성되는 숲이다. 둘째, 연결 숲은 생성 숲에서 만들어진 차가운 바람을 디딤·확산 숲으로 유입하기 위해 수목을 식재하여 바람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만드는 숲이다. 마지막으로 디딤·확산 숲은 도심 내에 조성된 공원이나 녹지 공간을 통해 생성된 찬바람을 더욱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람길 숲은 도심 내 공기질 개선과 열섬 현상 완화에 기여하며, 도시 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중요한 녹지 공간으로 기능한다. | ||
== 추진 경위 == | == 추진 경위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기본계획 수립 (2020년)''': 2020년에는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 * '''기본계획 수립 (2020년)''': 2020년에는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 ||
* '''사업 본격 추진 (2021년)''': 2021년 6월부터 2022년까지 총 100억 원(국비 50억 원, 도비 50억 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 * '''사업 본격 추진 (2021년)''': 2021년 6월부터 2022년까지 총 100억 원(국비 50억 원, 도비 50억 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 ||
* ''' | * '''권역 별 사업 추진 (2021년)''': 사업은 신제주, 구제주, 화북권역 등으로 나뉘어 시행되었으며, 권역 별로 확산 숲, 연결 숲 등 다양한 기능의 도시 숲을 조성하였다. | ||
* '''사라봉 공원 조성 (2024년)''': 2024년 8월, 제주시 사라봉 공원 일원에 약 2.2헥타르 규모로 도시 바람길 숲이 조성되었다. | * '''사라봉 공원 조성 (2024년)''': 2024년 8월, 제주시 사라봉 공원 일원에 약 2.2헥타르 규모로 도시 바람길 숲이 조성되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법령상 근거 조상 == | == 법령상 근거 조상 == | ||
* '''「산림기본법」제18조(도시지역 산림의 조성·관리)''' | * '''「산림기본법」제18조(도시지역 산림의 조성·관리)'''<ref>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3589869&utm_source=chatgpt.com</ref>: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지역의 산림 및 녹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 ||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ref>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4607395&utm_source=chatgpt.com</ref>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ref>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4607395&utm_source=chatgpt.com</ref>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할 수 있다. |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 |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토지의 매수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토지의 매수 |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정보화 |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정보화 | ||
*# 그 밖에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사업 | *# 그 밖에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사업 | ||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0조(국가 등의 지원)''' |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0조(국가 등의 지원)'''<ref>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4607395&utm_source=chatgpt.com</ref>: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 ||
== 연구 동향 == | == 연구 동향 == | ||
2023년 설계 착수 후 2024년 시공을 진행하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 2023년 설계 착수 후 2024년 시공을 진행하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업성과 평가를 통해 연차적으로 사업 확대 계획을 진행 중이다. 향후 지구 열대화에 따른 기후 변화 대응 사업으로서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할 것이고 산림청과 지자체의 협력을 통한 지역별 맞춤형 숲을 조성하고 운영할 것이다. |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
2024년 11월 27일 (수) 21:23 기준 최신판
사업 개요
바람길 숲이란 바람의 통로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곳에 위치한 선형의 가로수, 녹 지, 숲을 말한다. 제주도는 사라봉 일원에 미세먼지 저감과 도심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시 바람길 숲'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 순환을 통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과 뜨거운 도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진다. '도시 바람길 숲 ' 조성 사업을 통해 도시의 열섬현상, 열대야 등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숲 조성을 통해 도시열섬 완화, 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한다.
바람김 숲 개념과 유형
바람길 숲은 숲에서 생성된 양질의 공기를 주민 생활 공간으로 공급하는 통로로서, 도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 내·외곽 숲에서 만들어진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도심으로 유도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연결된 숲을 의미한다. 이는 미세먼지 저감 숲 및 차단 숲 간의 상호 연계성을 증대시켜 생활권 내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한다.
바람길 숲은 크게 바람 생성 숲, 연결 숲, 디딤·확산 숲으로 구분된다. 첫째, 바람 생성숲은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수목의 작용으로 정화된 찬바람이 생성되는 숲이다. 둘째, 연결 숲은 생성 숲에서 만들어진 차가운 바람을 디딤·확산 숲으로 유입하기 위해 수목을 식재하여 바람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을 만드는 숲이다. 마지막으로 디딤·확산 숲은 도심 내에 조성된 공원이나 녹지 공간을 통해 생성된 찬바람을 더욱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람길 숲은 도심 내 공기질 개선과 열섬 현상 완화에 기여하며, 도시 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중요한 녹지 공간으로 기능한다.
추진 경위
- 산림청 공모사업 선정 (2019년): 제주시는 2019년 산림청의 '도시 바람길 숲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되었다.
- 기본계획 수립 (2020년): 2020년에는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 사업 본격 추진 (2021년): 2021년 6월부터 2022년까지 총 100억 원(국비 50억 원, 도비 50억 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 권역 별 사업 추진 (2021년): 사업은 신제주, 구제주, 화북권역 등으로 나뉘어 시행되었으며, 권역 별로 확산 숲, 연결 숲 등 다양한 기능의 도시 숲을 조성하였다.
- 사라봉 공원 조성 (2024년): 2024년 8월, 제주시 사라봉 공원 일원에 약 2.2헥타르 규모로 도시 바람길 숲이 조성되었다.
법령상 근거 조상
- 「산림기본법」제18조(도시지역 산림의 조성·관리)[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지역의 산림 및 녹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2]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할 수 있다.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토지의 매수
-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정보화
- 그 밖에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사업
- 「도시 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0조(국가 등의 지원)[3]: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시 숲 등의 조성·관리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연구 동향
2023년 설계 착수 후 2024년 시공을 진행하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업성과 평가를 통해 연차적으로 사업 확대 계획을 진행 중이다. 향후 지구 열대화에 따른 기후 변화 대응 사업으로서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할 것이고 산림청과 지자체의 협력을 통한 지역별 맞춤형 숲을 조성하고 운영할 것이다.
참고 문헌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제주시 도시바람길숲 기본계획.
- 산림청. 도시바람길숲 조성(제주).
각주
- ↑ 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3589869&utm_source=chatgpt.com
- ↑ 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4607395&utm_source=chatgpt.com
- ↑ https://law.go.kr/lsLinkCommonInfo.do?chrClsCd=010202&lsJoLnkSeq=1024607395&utm_source=chatgp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