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플랫폼 일자리: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nowiki/>'플랫폼 노동''''이란 “디지털 네트워크에 의해 중개되는 노동”(Pesole et al., 2018: 7)으로 정의된다.
'''<nowiki/>'플랫폼 노동''''이란 “디지털 네트워크에 의해 중개되는 노동”(Pesole et al., 2018: 7)으로 정의된다.


=== 플랫폼 일자리의 분류 ===
국제노동기구(ILO)는 플랫폼 노동의 등장이 지난 10년간 노동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주목해야 하는 현상이며, 미래의 노동공급 방식, 일자리의 규모 및 내용, 산업구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가장 기본적인 유형화 ====
=== 플랫폼 노동의 분류 ===
 
==== 기본적인 유형화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개된 노동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웹기반(web-based)과 지역기반(location-based)으로 분류된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개된 노동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웹기반(web-based)과 지역기반(location-based)으로 분류된다.
=== 플랫폼 노동의 규모 ===
== 관련 이슈 ==
=== 플랫폼 노동 종사자 규모 증가 ===
플랫폼 노동은 ICT 발전을 기반으로 기존 일자리에 쉽고 빠르게 결합되는 '플랫폼화' (platformization)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 범위와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향후 증가세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의 경우 2012년 플랫폼 노동자가 처음 등장한 이후, 5년간 노동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든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7년에는 전체 노동인구 대비 약 2% 수준인 약 110만 명에 도달하였고 (Balaram et al., 2017), 미국의 노동통계국(BLS) 역시 2017년 전체 취업자의 약 1.0%에 해당하는 161만명이 플랫폼 노동자일 것으로 추산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플랫폼 노동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 수 또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 플랫폼 노동자 규모를 최초로 추정한 김준영 외(2019)에 의하면 우리나라 플랫폼 노동자 수는 약 50만명으로 추산되었다. 그 당시 플랫폼 노동은 운송 서비스(대리운전, 화물운송, 택시운전, 음식배달, 퀵서비스)를 중심으로 청소, 돌봄, 판매ㆍ영업의 일부가 플랫폼 노동에 편재되어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배관, 목수, 예술(그림, 조각), 반려동물 돌봄, 미용, 레슨, 온라인 크리에이터 등 다른 영역으로까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 노동의 범위 확대는 플랫폼 노동자 규모의 확대로 이어져 2020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최대 182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장지연, 2020)
=== 플랫폼 노동의 모호한 법적 지위로 인한 노동권의 취약성 ===
=== 낮은 소득과 일감의 불안정성 ===
=== 독립계약자 지위와 모순되는 알고리즘 및 평점에 의한 통제 ===
=== 사회보장으로부터의 배제 ===
=== 숙련개발기회 부족 ===
== 플랫폼 노동자 노동환경 개선 정책대안 ==
플랫폼 노동자의 경우 전통적 근로관계와 상업적 거래관계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특성으로 인해 사회보장체계에서 배제되고 있다.
== 해외 사례 ==
=== 독일 ===
=== 프랑스 ===
== 연구 동향 ==
=== 플랫폼 노동의 유형 구분 ===
* 장지연, 정민주(2019)는 종전의 지역기반, 웹기반의 분류에 직무유형을 고려하여 웹기반은 ① 소프트웨어 개발 및 IT 기술 지원, ② 전문서비스(회계, 법률, 교육 등), ③ 창작(예: 유튜브, 일러스트레이트 등), ④ 데이터 입력, 컴퓨터로 하는 단순작업 등, ⑤ 전자상거래, 온라인 쇼핑몰, ⑥ 기타의 6가지로, 지역기반은 ① 운송(운전, 배달, 심부름 등), ② 지역형 서비스(청소, 수리, 돌봄노동, 건설노동 등), ③ 전문서비스(교육, 상담, 여행 가이드 등), ④ 임대업, ⑤ 기타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 같이 보기 ==
[[대문]]으로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 남재욱. (2021).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상황과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21(2), 101-133.
# 장진희, 윤진하, 이상국, 조현진. (2021). 플랫폼노동자 건강권 실태와 개선방안 -플랫폼이동노동자 노동환경 및 건강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연구총서 2021-05


== 각주 ==
== 각주 ==
[[분류:고용노동부]]
[[분류:고용노동부]]

2023년 8월 23일 (수) 15:39 기준 최신판

용어의 표기 및 유사 용어

플랫폼 노동, 플랫폼 노동자, 불안정 노동

개요 및 배경

용어의 사용

'플랫폼 노동'이란 “디지털 네트워크에 의해 중개되는 노동”(Pesole et al., 2018: 7)으로 정의된다.

국제노동기구(ILO)는 플랫폼 노동의 등장이 지난 10년간 노동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주목해야 하는 현상이며, 미래의 노동공급 방식, 일자리의 규모 및 내용, 산업구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플랫폼 노동의 분류

기본적인 유형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개된 노동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웹기반(web-based)과 지역기반(location-based)으로 분류된다.

플랫폼 노동의 규모

관련 이슈

플랫폼 노동 종사자 규모 증가

플랫폼 노동은 ICT 발전을 기반으로 기존 일자리에 쉽고 빠르게 결합되는 '플랫폼화' (platformization)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 범위와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향후 증가세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의 경우 2012년 플랫폼 노동자가 처음 등장한 이후, 5년간 노동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든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7년에는 전체 노동인구 대비 약 2% 수준인 약 110만 명에 도달하였고 (Balaram et al., 2017), 미국의 노동통계국(BLS) 역시 2017년 전체 취업자의 약 1.0%에 해당하는 161만명이 플랫폼 노동자일 것으로 추산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플랫폼 노동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 수 또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 플랫폼 노동자 규모를 최초로 추정한 김준영 외(2019)에 의하면 우리나라 플랫폼 노동자 수는 약 50만명으로 추산되었다. 그 당시 플랫폼 노동은 운송 서비스(대리운전, 화물운송, 택시운전, 음식배달, 퀵서비스)를 중심으로 청소, 돌봄, 판매ㆍ영업의 일부가 플랫폼 노동에 편재되어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배관, 목수, 예술(그림, 조각), 반려동물 돌봄, 미용, 레슨, 온라인 크리에이터 등 다른 영역으로까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 노동의 범위 확대는 플랫폼 노동자 규모의 확대로 이어져 2020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최대 182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장지연, 2020)

플랫폼 노동의 모호한 법적 지위로 인한 노동권의 취약성

낮은 소득과 일감의 불안정성

독립계약자 지위와 모순되는 알고리즘 및 평점에 의한 통제

사회보장으로부터의 배제

숙련개발기회 부족

플랫폼 노동자 노동환경 개선 정책대안

플랫폼 노동자의 경우 전통적 근로관계와 상업적 거래관계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특성으로 인해 사회보장체계에서 배제되고 있다.

해외 사례

독일

프랑스

연구 동향

플랫폼 노동의 유형 구분

  • 장지연, 정민주(2019)는 종전의 지역기반, 웹기반의 분류에 직무유형을 고려하여 웹기반은 ① 소프트웨어 개발 및 IT 기술 지원, ② 전문서비스(회계, 법률, 교육 등), ③ 창작(예: 유튜브, 일러스트레이트 등), ④ 데이터 입력, 컴퓨터로 하는 단순작업 등, ⑤ 전자상거래, 온라인 쇼핑몰, ⑥ 기타의 6가지로, 지역기반은 ① 운송(운전, 배달, 심부름 등), ② 지역형 서비스(청소, 수리, 돌봄노동, 건설노동 등), ③ 전문서비스(교육, 상담, 여행 가이드 등), ④ 임대업, ⑤ 기타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같이 보기

대문으로

참고 문헌

  1. 남재욱. (2021).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상황과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21(2), 101-133.
  2. 장진희, 윤진하, 이상국, 조현진. (2021). 플랫폼노동자 건강권 실태와 개선방안 -플랫폼이동노동자 노동환경 및 건강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연구총서 2021-0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