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공와이파이: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Ee (토론 | 기여)
Ee (토론 | 기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소개 ===
=== 소개 ===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 본 서비스는 주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되며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ref name=":0" /> 본 서비스는 주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되며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


=== 추진 배경 ===
=== 추진 배경 ===
2010년을 전후하여 스마트폰의 등장과 LTE 서비스의 본격화로 무선데이터의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와이파이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2010년을 전후로 스마트폰의 등장과 LTE 서비스의 본격화로 인해 무선데이터의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와이파이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 2011년 12월말 119만 1천명에 불과했던 LTE 가입자는 2019년 7월말 5,584만 1천명이고 2019년 4월 개시한 5G는 3개월만에 191만 1천명이 가입
- 2011년 12월말 119만 1천명에 불과했던 LTE 가입자는 2019년 7월말 5,584만 1천명이고 2019년 4월 개시한 5G는 3개월만에 191만 1천명이 가입<ref name=":2" />
* 트래픽 현황을 보면 2012년 1월에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23,566TB, 가입자 1명당 470MB(4G폰 가입자 1.57GB)였는데 2019년 7월 현재는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510,597TB, 가입자 1명당 7.84GB(4G폰 가입자 9.49GB)까지 증가  
 
- 트래픽 현황을 보면 2012년 1월에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23,566TB, 가입자 1명당 470MB(4G폰 가입자 1.57GB)였는데 2019년 7월 현재는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510,597TB, 가입자 1명당 7.84GB(4G폰 가입자 9.49GB)까지 증가<ref name=":2" />


이와 같은 데이터 이용은 통신비용 부담과 연관되기 때문에 와이파이 수요도 자연스레 증대된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 이용은 통신비용 부담과 연관되기 때문에 와이파이 수요도 자연스레 증대된 것이다.
20번째 줄: 21번째 줄:


=== 근거법령 ===
=== 근거법령 ===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1조<sup>지능정보화 기본법으로 개정(2021)」</sup>


*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1조<sup>지능정보화 기본법으로 개정(2021)</sup>
[https://www.law.go.kr/법령/방송통신발전&#x20;기본법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13조」
 
* [https://www.law.go.kr/법령/방송통신발전&#x20;기본법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13조


= 국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현황 =
= 국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현황 =
우리나라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공공와이파이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2012년부터, 지자체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2011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개방·구축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이후 성남시 등 일부 지자체도 자체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ref name=":2" /> 2018년부터 정부는 신규로 전국 시내버스를 포함하여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확대하는 사업을 추진하였고,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20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구축 및 품질고도화 사업 본격화하였다.
우리나라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공공와이파이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2012년부터, 지자체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2011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개방·구축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이후 성남시 등 일부 지자체도 자체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ref name=":2" /> 2018년부터 정부는 신규로 전국 시내버스를 포함하여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확대하는 사업을 추진하였고,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20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구축 및 품질고도화 사업을 본격화하였다.


=== 전체 현황 ===
=== 전체 현황 ===
2017년에 정부가 파악한 공공와이파이 현황을 보면 AP, 즉 와이파이 접속 장치의 개수 기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2,068개, 지자체 21,523개, 6개 공공기관 6,990개 등 총 60,581개이다.
2017년에 정부가 파악한 공공와이파이 현황을 보면 AP, 즉 와이파이 접속 장치의 개수 기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2,068개, 지자체 21,523개, 6개 공공기관 6,990개 등 총 60,581개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공공 및 상용 와이파이 AP 현황(2017년말 기준)
|+공공 및 상용 와이파이 AP 현황(2017년말 기준)<ref name=":2" />
!구분
!구분
!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
46번째 줄: 46번째 줄:
|376,211
|376,211
|}
|}
<sub>자료: 한국정보화진흥원 제출자료, 2019. 8. 5.</sub>


=== 주체별 현황 ===
=== 주체별 현황 ===


==== 1) 정부(2019. 과기정통부 자료 기준) ====
==== 1) 정부 ====
정부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지자체·통신사와 공동으로 공공장소에 와이 파이 구축·개방을 추진하여 '''총 13,369개소'''(AP 32,068개)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축’이란 신규로 공공와이파이 접속점(AP)을 설치하는 것이고, ‘개방’이란 기존 통신사가 자가 가입자 전용으로 구축한 상용와이파이를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로 개방하여 일반 이용자가 무료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2012~2017년도
 
정부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지자체·통신사와 공동으로 공공장소에 와이 파이 구축·개방을 추진하여 '''총 13,369개소'''(AP 32,068개)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축’이란 신규로 공공와이파이 접속점(AP)을 설치하는 것이고, ‘개방’이란 기존 통신사가 자가 가입자 전용으로 구축한 상용와이파이를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로 개방하여 일반 이용자가 무료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 name=":2"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연도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구축·개방 실적 <small>(단위: 개소)</small>
|+연도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구축·개방 실적<ref name=":2" /> <small>(단위: 개소)</small>
!구분
!구분
!2012년
!2012년
99번째 줄: 101번째 줄:
|13,369
|13,369
|}
|}
<small><sub>자료: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제출자료, 2019. 7. 24.</sub></small>


정부의 공공와이파이 구축사업은 공공장소 중 수익성이 낮아 통신사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주민센터, 서민 또는 노인 등 정보통신 취약계층 이용 공공시설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취지였다. 아래 설치된 장소별 현황을 보면 단일유형 시설로는 주민센터가 3,292개소로 가장 많고 복지시설 2,597개, 전통시장 916개, 보건소 316개, 보건지소 946개 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468개소, 서울 1,262개소, 경북 1,058개소 등이다.
 
정부의 공공와이파이 구축사업은 공공장소 중 수익성이 낮아 통신사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주민센터, 서민 또는 노인 등 정보통신 취약계층 이용 공공시설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취지였다. 아래 설치된 장소별 현황을 보면 단일유형 시설로는 주민센터가 3,292개소로 가장 많고 복지시설 2,597개, 전통시장 916개, 보건소 316개, 보건지소 946개 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468개소, 서울 1,262개소, 경북 1,058개소 등이다.<ref name=":2"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지역·장소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세부현황 <small>(단위: 개소)</small>
|+지역·장소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세부현황<ref name=":2" /> <small>(단위: 개소)</small>
!구분
!구분
!주민센터
!주민센터
294번째 줄: 296번째 줄:
|13,369
|13,369
|}
|}
<sub>자료: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제출자료, 2019. 7. 24.</sub>


==== 2) 지방자치단체(2019. 과기정통부 자료 기준) ====
* 2020년도
현재 지방자치단체 공공와이파이 현황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준으로 파악된 자료는 없다. 2017년을 기준으로 과기정통부가 파악한 지자체의 공공와이파이는 AP(접속장치) 기준 21,523개이지만 이는 광역자치단체를 통해 취합된 것인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기존 정부 사업 AP와의 중복 가능성 등으로 자료가 정확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자료를 제출한 지자체 중 2019년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자체 사업이 있는 광역 지자체는 서울 등 7개, 자체 사업은 없으나 기초 지자체에 도비를 지 원한 경우는 경기 등 3개, 자체 사업이 있는 기초 지자체는 68개였다. 언론 등에 소개된 지자체 중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지자체도 있고, 별도의 예산사업이 아니거나 자료제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자체에서도 각종 공공 시설에서 와이파이를 제공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실제 사례는 더 많을 것이다.<ref name=":2" />
 
[[파일:2020.png|오른쪽|프레임없음|433x433픽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에 전국 공공장소의 와이파이를 55% 확대 구축하고 노후 와이파이를 교체했다. 버스 정류장, 공원, 보건지소 등 지역 밀착형 1만22개소에 공공와이파이를 새로 구축했고, 이용자가 많거나 공간 대비 와이파이 설치 수량이 부족해 이용이 불편한 공공기관 민원실과 주민센터, 전통시장 등에도 와이파이 공유기를 추가로 설치했다.<ref name=":7">정윤주, 과기부 "전국 5만7천여곳에서 공공와이파이 이용 가능", 연합뉴스, 2021. 02. 24.[https://www.yna.co.kr/view/AKR20210224070200017]</ref>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구축한 와이파이를 공공장소 2만8천132곳과 시내버스 2만9천100대 등 전국 5만7천232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ref name=":7" /> 또한 2012∼2017년 구축한 와이파이 중 노후 공유기 1만8천여 개를 최신 장비 '와이파이6'으로 교체했다. 이에 따라 유선 백홀 회선이 기가급으로 증속했고 그동안 전송 속도 등 품질 이슈가 제기된 장소는 기존 대비 속도가 3배 이상 증가했다.<ref name=":7" />
 
 
 
 
[[파일:2020지역.pn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 2) 지방자치단체 ====
현재 지방자치단체 공공와이파이 현황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준으로 파악된 자료는 없다. 2017년을 기준으로 과기정통부가 파악한 지자체의 공공와이파이는 AP기준 21,523개이지만 이는 광역자치단체를 통해 취합된 것인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기존 정부 사업 AP와의 중복 가능성 등으로 자료가 정확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ref name=":2" /> 자료를 제출한 지자체 중 2019년까지를 기준으로 자체 사업이 있는 광역 지자체는 서울 등 7개, 자체 사업은 없으나 기초 지자체에 도비를 지원한 경우는 경기 등 3개, 자체 사업이 있는 기초 지자체는 68개였다. 언론 등에 소개된 지자체 중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지자체도 있고, 별도의 예산사업이 아니거나 자료제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자체에서도 각종 공공 시설에서 와이파이를 제공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실제 사례는 더 많을 것이다.<ref name=":2" />
 




'''지역별 구축 현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지역별 구축 현황
|서울
|서울
| -서울특별시는 2011년부터 통신사와 협조하거나 독자적인 구축을 통해 시내 도심, 공원, 공공시설물 등에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서울시내 자치구 중 구로구(마을버스 포함), 마포구, 강북구 등 일부 자치 구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는 2011년부터 통신사와 협조하거나 독자적인 구축을 통해 시내 도심, 공원, 공공시설물 등에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서울시내 자치구 중 구로구(마을버스 포함), 마포구, 강북구 등 일부 자치구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f name=":2" />
-사례로 최근 동대문구는 배봉산과 중랑천 산책로 일대에서 공공와이파이 속도개선 사업을 완료했다. 이용자가 많은 구간을 중심으로 Wi-Fi 장비 70대를 교체했으며, 이번에 교체된 장비는 기존보다 10배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5G’ 기술을 적용해 공공와이파이를 통해 고용량 콘텐츠도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ref>동대문구, ‘10배 빠르게’ 공공와이파이 속도 개선, 한겨레, 2024. 11. 21.[https://v.daum.net/v/20241121101303501]</ref>
-사례로 최근 동대문구는 배봉산과 중랑천 산책로 일대에서 공공와이파이 속도개선 사업을 완료했다. 이용자가 많은 구간을 중심으로 Wi-Fi 장비 70대를 교체했으며, 이번에 교체된 장비는 기존보다 10배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5G’ 기술을 적용해 공공와이파이를 통해 고용량 콘텐츠도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ref name=":6">동대문구, ‘10배 빠르게’ 공공와이파이 속도 개선, 한겨레, 2024. 11. 21.[https://v.daum.net/v/20241121101303501]</ref>
|-
|-
|경기·인천·강원
|경기·인천·강원
| -경기도는 기초 지자체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인천광역시와 강원도는 자체 사업을 추진하였다. 성남시가 전국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는 가장 큰 규모로 자체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여 왔고, 인천 계양구 등도 버스정류장 등 특화된 사례가 있다.
| -경기도는 기초 지자체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인천광역시와 강원도는 자체 사업을 추진하였다. 성남시가 전국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는 가장 큰 규모로 자체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여 왔고, 인천 계양구 등도 버스정류장 등 특화된 사례가 있다.<ref name=":2" />
|-
|-
|충청
|충청
| -광역 지자체에서 독자적인 구축 실적은 없고 일부 기초 지자체에서 통신사 망 임차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한 실적이 있다.
| -광역 지자체에서 독자적인 구축 실적은 없고 일부 기초 지자체에서 통신사 망 임차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한 실적이 있다.<ref name=":2" />
|-
|-
|호남·제주
|호남·제주
| -제주, 순천, 나주, 무안 등 지자체는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공공 와이파이를 적극 추진하여 왔다.
| -제주, 순천, 나주, 무안 등 지자체는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공공 와이파이를 적극 추진하여 왔다.<ref name=":2" />
-제주자치도는 올해(2024) 관광지와 마을회관 등에 공공와이파이 150대를 추가 설치하고, 2026년까지 공공와이파이망을 6300개로 확대 구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f>강석창, 제주 공공와이파이 이용 23.5% 급증, JIBS, 2024. 10. 28.[https://v.daum.net/v/20241028162503238]</ref>
-제주자치도는 올해(2024) 관광지와 마을회관 등에 공공와이파이 150대를 추가 설치하고, 2026년까지 공공와이파이망을 6300개로 확대 구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f>강석창, 제주 공공와이파이 이용 23.5% 급증, JIBS, 2024. 10. 28.[https://v.daum.net/v/20241028162503238]</ref>
|-
|-
|대구·경북
|대구·경북
| -광역 지자체의 사업 실적은 없으나 대구 동구, 경주 등 기초 지자체 일부가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왔다.
| -광역 지자체의 사업 실적은 없으나 대구 동구, 경주 등 기초 지자체 일부가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왔다.<ref name=":2" />
|-
|-
|부산·울산·경남
|부산·울산·경남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는 최근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중이고 김해시, 산청군 등 일부 기초 지자체에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는 최근(2019)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중이고 김해시, 산청군 등 일부 기초 지자체에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ref name=":2" />
|}
|}


==== 3) 그 외 기관 ====
==== 3) 그 외 기관 ====


* 문체부·관광공사의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ref name=":2" />사업: 과기정통부가 아닌 부처 중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는 대표적 사례가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으로 2015년부터 한국관광공사가 수행하고 있는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사업(사업명 “스마트관광 IoT 기반조성 사업”)이다. 2015∼2017년에는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강원도를 대상지역으로 시범사업 형식으로 추진하였다가 2018년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하고 있으며 내·외국인 관광객 Wi-Fi 접근성 확대를 통한 관광정보 서비스 이용환경 개선 및 편의 제고와 스마트관광 환경 미흡 지자체 지원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사용을 위한 SSID는 “KOREA FREE WiFi”이다.
* '''문체부·관광공사의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사업''': 과기정통부가 아닌 부처 중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는 대표적 사례는 한국관광공사가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으로 201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사업(사업명 “스마트관광 IoT 기반조성 사업”)이다. 2015∼2017년에는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강원도를 대상지역으로 시범사업 형식으로 추진했다가 2018년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하고 있으며 내·외국인 관광객 Wi-Fi 접근성 확대를 통한 관광정보 서비스 이용환경 개선 및 편의 제고와 스마트관광 환경 미흡 지자체 지원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ref name=":2" /> 사용을 위한 SSID는 “KOREA FREE WiFi”이다.
 
* '''우체국 와이파이 구축 사업''':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부터 추진하는 우정사업기반망고도화 사업 내에서 우체국 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내용을 포함하여 추진하였다.<ref name=":2" /> 기존에는 전국 우체국에서 정부 공공와이파이로 120개소, KT 서비스 219개소 등 총 481개소에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 버스 공공와이파이 현황 ===
[[파일:버스.jpg|오른쪽|프레임없음|373x373픽셀]]
과기정통부는 2018년부터 전국 모든 시내버스에서 공공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규로 버스 공공와이파이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8년에 편성된 1차분 4,200대가 2018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하여 2019년 5월에 정식 서비스되었고, 연말까지 19,800대가 2차로 구축되었다.<ref name=":2" /> 한편, 2019년 중에 일부 지자체는 정부 사업과는 별도로 3,200대에 버스 공공와이파이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ref name=":2" /> <small>※ 기존에 수원, 성남, 광주 등에서 버스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진행한 바 있음.</small>
 
이후 과기정통부는 2020년 예산안으로 시내버스 증차 및 잔여분 5,100여대에 대한 공공와이파이 구축사업을 계획하였고, 2020년 3차 구축 사업이 완료된 11월부터는 전국 총 35,006대 모든 시내버스에서 편리하게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ref name=":5">김태홍 외. (2020). 공공 와이파이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f>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총 5,906대(AP)의 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운영 중이며 정부에서 29,100대(AP)를 구축했다.
 
버스 공공와이파이는 버스가 80 km/h의 속도로 이동할 때 버스당 최소 20 Mbps의 속도를 제공하여 버스 내 승객 10~20여 명이 동시 접속할 때 개인 평균 2 Mbps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ref>최홍주 외. (2022). 버스 공공와이파이 데이터 사용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3권 제2호.</ref> 이는 270 p 및 480 p에 해당하는 화질의 동영상 시청에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 class="wikitable"
|+전국 버스 공공와이파이 현황<ref name=":5"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자체구축
!합계
|-
|서울
|270
|5,370
|1,399
|0
|7,399
|-
|부산
|270
|1,930
| -
|317
|2,517
|-
|대구
|281
|302
|1,034
|0
|1,617
|-
|인천
|271
|1,629
|567
|0
|2,467
|-
|광주
|294
|706
| -
|44
|1,044
|-
|대전
|270
|730
| -
|16
|1,016
|-
|울산
|270
|330
|1
|147
|748
|-
|세종
|179
|0
|24
|62
|265
|-
|경기
|271
|5,129
|1,342
|3,865
|10,607
|-
|강원
|281
|40
|115
|64
|500
|-
|충북
|182
|318
|53
|83
|636
|-
|충남
|281
|519
|20
|142
|962
|-
|전북
|270
|530
|44
|4
|848
|-
|전남
|270
|230
|20
|201
|721
|-
|경북
|270
|447
|348
|97
|1,162
|-
|경남
|270
|1,230
|133
|68
|1,701
|-
|제주
| -
| -
| -
|796
|796
|-
|합계
|4,200
|19,800
|5,100
|5,906
|35,006
|}
 


* 우체국 와이파이 구축 사업: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부터 추진하는 우정사업기반망고도화 사업 내에서 우체국 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내용을 포함하여 추진하였다. 기존에는 전국 우체국에서 정부 공공와이파이로 120개소, KT 서비스 219개소 등 총 481개소에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ref name=":2" />


= 문제점 =
= 문제점 =
*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의 부담''': 공공 와이파이의 설치와 운영에는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초래한다.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상당하다. 공공 와이파이의 설치 초기 비용은 네트워크 장비 구매 및 설치,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기술 인력 고용 등으로 구성되며, 이후 유지‧보수 비용과 전기 요금, 서버 관리 비용 등이 꾸준히 발생하는데, 이러한 초기 비용과 유지 비용이 지자체 예산에 큰 부담을 준다. 지자체의 예산이 부족한 경우, 유지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공공 와이파이가 고장난 채로 방치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지자체의 큰 운용비용 부담은 지역 간 구축 격차를 벌려 공공와이파이의 '지역 쏠림'을 심화시킨다.
* '''관리 주체 부재와 통합 관리의 어려움''': 공공 와이파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지만, 현재 체계적인 관리 주체가 부재한 경우가 많다. 공공 와이파이 사업은 각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전국적인 표준화와 통합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격차를 초래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낙후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 '''장비 노후화''': 설치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네트워크 장비가 노후화되어 업그레이드나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용을 부담할 여력이 부족한 지자체에서는 노후화된 장비를 방치하거나 최소한의 수리만으로 연명하는 경우가 많다.
* '''이용률의 지역적 편차''': 공공와이파이는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반면, 농촌이나 소외 지역에서는 낮은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해당 지역 주민들이 서비스 접근성 부족이나 낮은 품질 문제로 인해 공공 와이파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용률 편차는 디지털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서비스 품질 문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경우 네트워크 과부하가 발생하여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거나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공공 와이파이를 신뢰하지 못하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통신비 절감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이용 안내 =
= 이용 안내 =


=== 연결 및 이용 방법 ===
=== 1) 정부 구축 공공와이파이 ===
 
* '''이용 방법'''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ref name=":0">공공와이파이 [https://www.wififree.kr/index.do 홈페이지]</ref>
#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ref name=":0">공공와이파이 [https://www.wififree.kr/index.do 홈페이지]</ref>


* '''주의사항'''


* 안드로이드인 경우
'''제공자가 불분명한 공중 무선랜 사용 주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무선공유기를 이용할 경우 무선공유기 제공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가 확인된 공중 무선랜만을 이용해야 한다.<ref name=":0" />


[[파일:안드로이드1.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2.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3.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4.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f name=":0" />


* 아이폰인 경우


[[파일:아이폰1.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아이폰2.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아이폰3.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 윈도우인 경우
안드로이드


[[파일:윈도우1.jpg|프레임없음|269x269픽셀]]    [[파일:윈도우2.jpg|프레임없음|269x269픽셀]]    [[파일:윈도우3.jpg|프레임없음|333x333픽셀]]
[[파일:안드로이드1.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2.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3.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안드로이드4.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위 안내는 KTOA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부 구축 공공와이파이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IOS


=== 이용 시 주의사항 ===
[[파일:아이폰1.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아이폰2.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파일:아이폰3.jpg|프레임없음|378x378픽셀]]
'''제공자가 불분명한 공중 무선랜 사용 주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무선공유기를 이용할 경우 무선공유기 제공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가 확인된 공중 무선랜만을 이용해야 한다.   
PC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파일:윈도우1.jpg|프레임없음|269x269픽셀]]    [[파일:윈도우2.jpg|프레임없음|269x269픽셀]]    [[파일:윈도우3.jpg|프레임없음|333x333픽셀]]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f name=":0" />






=== 보안 기능 및 사용자 보호 조치 ===
==== 보안 기능 및 사용자 보호 조치 ====
본 서비스에서는 보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Public WiFi Secure”는 무선인터넷으로 통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시켜서 보안을 강화한 서비스다. 와이파이 신호 옆에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 것이 보안 WiFi이다.
본 서비스에서는 보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Public WiFi Secure”는 무선인터넷으로 통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보안을 강화한 서비스다. 와이파이 신호 옆,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 것이 보안 WiFi이다.


* '''이용 방법'''
* '''이용 방법'''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한다.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한다.
# Wi-Fi 신호 중 ‘Public WiFi Secure’를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 암호를 입력한다. - 사용자 이름 : wifi - 암호 : wifi
# Wi-Fi 신호 중 ‘Public WiFi Secure’를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 암호를 입력한다. - 사용자 이름 : wifi - 암호 : wifi
376번째 줄: 543번째 줄:
* '''주의사항'''
* '''주의사항'''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ref name=":0" />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ref name=":0" />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ref name=":0" />
 
 
안드로이드
 
[[파일:And sec1.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파일:And sec2.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파일:And sec3.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IOS
 
[[파일:Ios sec1.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파일:Ios sec2.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파일:Ios sec3.jpg|프레임없음|377x377픽셀]]
 
PC
 
[[파일:Com sec1.jpg|프레임없음|317x317픽셀]] [[파일:Com sec3.jpg|프레임없음|317x317픽셀]] [[파일:Com sec4.jpg|프레임없음|317x317픽셀]] [[파일:Com sec5.jpg|프레임없음]]
 
 
=== 2) 주요 지자체 공공와이파이 ===
'''서울특별시'''
* 브랜드명: 까치온(Kkachi On)
* 네트워크 이름: ‘SEOUL_Free’, ‘SEOUL_Secure’
* 특징: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버스 정류장, 공원, 복지시설 등)에서 무료 제공. 보안 강화를 위해 ‘SEOUL_Secure’는 암호화된 연결 제공.
'''부산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Busan_Free_WiFi’
* 특징: 주요 공공시설, 관광지, 대중교통 중심으로 와이파이 제공.
'''인천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Incheon_Free_WiFi’
* 특징: 공원, 전통시장, 공공시설 등 주요 거점에서 무료 인터넷 제공.
'''대구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Daegu_WiFi’
* 특징: 지하철역, 주요 공공시설에 집중적으로 설치.
'''경기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시·군 단위에서 네트워크 이름 세분화).
* 네트워크 이름: ‘Gyeonggi_Free_WiFi’
** 예시: 수원시(‘Suwon_WiFi’), 고양시(‘Goyang_WiFi’) 등.
* 특징: 경기도 전역의 공공장소와 대중교통(버스)에 와이파이 확장 중.
'''광주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Gwangju_Free_WiFi’
* 특징: 도심지와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설치, 시민 접근성 개선.
'''전라북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Jeonbuk_WiFi’
* 특징: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간 균형 있게 설치.
'''제주특별자치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Jeju_Free_WiFi’
* 특징: 제주 전역의 관광지와 공공장소에 와이파이 제공. 특히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주요 관광 명소에 집중 설치.
 
 


= 기술 동향 =
= 기술 동향 =
383번째 줄: 601번째 줄:
와이파이 기술 표준은 1997년 발표된 IEEE 802.11 이후 IEEE 802.11a/n/b/g/n/ac/ad/af/ax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고 현재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주로 802.11n 또는 802.11ac 등이 적용되어 있다.<ref name=":2" />
와이파이 기술 표준은 1997년 발표된 IEEE 802.11 이후 IEEE 802.11a/n/b/g/n/ac/ad/af/ax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고 현재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주로 802.11n 또는 802.11ac 등이 적용되어 있다.<ref name=":2" />


* 802.11n: 2009년에 완성되었으며 물리 계층에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을 적용하고 MAC 계층에서 Frame aggregation을 적용하여 전송률을 증대시킨 것이 특징이다. MIMO 동작을 위해서는 AP와 단말에서 다중 안테나가 구성되어야 한다. MIMO 방식으로는 Spatial beamforming, Spatial multiplexing, Spatial diversity 등을 지원한다. 802.11n 기기는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하며 최대 600Mbps 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ref name=":3">정희상 외. (2018). 공공 와이파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3권 제5호.</ref>
* 802.11n: 2009년에 완성되었으며 물리 계층에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을 적용하고 MAC 계층에서 Frame aggregation을 적용하여 전송률을 증대시킨 것이 특징이다.<ref name=":3" /> MIMO 동작을 위해서는 AP와 단말에서 다중 안테나가 구성되어야 한다. MIMO 방식으로는 Spatial beamforming, Spatial multiplexing, Spatial diversity 등을 지원한다. 802.11n 기기는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하며 최대 600Mbps 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ref name=":3">정희상 외. (2018). 공공 와이파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3권 제5호.</ref>
* 802.11ac: 802.11n을 기반으로 하며 2013년에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5GHz 대역에서 최대 160MHz까지의 광대역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56QAM을 지원하고, 최대 8개의 MIMO stream 및 최대 4명의 MU-MIMO(Muti-User MIMO)를 지원하여 주파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그럼으로써 최대 3.466Gbps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ref name=":3" />
* 802.11ac: 802.11n을 기반으로 하며 2013년에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5GHz 대역에서 최대 160MHz까지의 광대역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56QAM을 지원하고, 최대 8개의 MIMO stream 및 최대 4명의 MU-MIMO(Muti-User MIMO)를 지원하여 주파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ref name=":3" /> 그럼으로써 최대 3.466Gbps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408번째 줄: 626번째 줄:
|54Mbps
|54Mbps
|-
|-
|802.11n
|802.11n(와이파이4)
|2009
|2009
|2.4GHz/5GHz
|2.4GHz/5GHz
|600Mbps
|600Mbps
|-
|-
|802.11ac
|802.11ac(와이파이5)
|2013
|2013
|5GHz
|5GHz
428번째 줄: 646번째 줄:
|569Mbps
|569Mbps
|-
|-
|802.11ax
|802.11ax(와이파이6)
|2019
|2019
|2.4GHz/5GHz
|2.4GHz/5GHz
|9.6Gbps
|9.6Gbps
|-
|-
|802.11be
|802.11be(와이파이7)
|2023
|2023
|2.4GHz/5GHz/6GHz
|2.4GHz/5GHz/6GHz
440번째 줄: 658번째 줄:


=== 이동형 연결 ===
=== 이동형 연결 ===
와이파이는 기본적으로는 유선망에 연결된 AP를 통해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나, 대중교통 등 이동 중인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무선백홀 연결이 필요한데,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LTE가 주로 연결된다.  
와이파이는 기본적으로는 유선망에 연결된 AP를 통해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나, 대중교통 등 이동 중인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무선백홀 연결이 필요한데,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LTE가 주로 연결된다.<ref name=":2" />


버스 공공와이파이와 지하철에서는 당초에 Wibro망이 공공와이파이 백홀로 활용되었으나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지속되어 현재 대부분 LTE로 전환되어 있고, 버스 공공와이파이도 입찰사업자인 KT의 백홀망이 활용된다.
- 버스 공공와이파이와 지하철에서는 당초에 Wibro망이 공공와이파이 백홀로 활용되었으나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지속되어 현재 대부분 LTE로 전환되어 있고, 버스 공공와이파이도 입찰사업자인 KT의 백홀망이 활용된다.<ref name=":2" />


이 외에도 TV유휴주파수 대역의 장점인 긴 전파거리를 활용하는 기술, 한국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기술로 고속 이동환경에서 10GHz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여 Gbps급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MHN(Mobile Hotspot Network) 등이 있다.<ref name=":2" />
이 외에도 TV유휴주파수 대역의 장점인 긴 전파거리를 활용하는 기술, 한국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기술로 고속 이동환경에서 10GHz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여 Gbps급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MHN(Mobile Hotspot Network) 등이 있다.<ref name=":2" />


=== 보안기술 ===
=== 보안기술 ===
일반에 공개된 와이파이는 물리적·기술적 측면과 관리상 보안 취약점이 있어 보안기술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공공와이파이에는 WPA2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WPA3 기술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일반에 공개된 와이파이는 물리적·기술적 측면과 관리상 보안 취약점이 있어 보안기술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공공와이파이에는 WPA2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WPA3 기술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ref name=":2" />


-물리적으로 AP 자체가 노출되어 있고, 누구나 접속하는 비면허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대역이어서 해킹, 방해, 불법 AP 설치 등 기술적으로 취약하며 관리책임, 이용자 보안의식·기술 등의 약점도 존재한다.  
- 물리적으로 AP 자체가 노출되어 있고, 누구나 접속하는 비면허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대역이어서 해킹, 방해, 불법 AP 설치 등 기술적으로 취약하며 관리책임, 이용자 보안의식·기술 등의 약점도 존재한다.<ref name=":2" />


-보안기술은 보안의 강도에 따라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Wi-Fi Protected Access2)가 있는데 2019년 6월에는 WPA2의 약점인 키 재설치 공격 등을 보완한 WPA3가 발표되었다.<ref name=":2" />
- 보안기술은 보안의 강도에 따라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Wi-Fi Protected Access2)가 있는데 2019년 6월에는 WPA2의 약점인 키 재설치 공격 등을 보완한 WPA3가 발표되었다.<ref name=":2" />


= 운영 동향 및 미래 전망 =
= 정책 동향 =


=== 정책적 동향 ===
* 2013∼2015년 3년간 공공와이파이 신규구축은 무선인터넷 확산기반 조성 사업(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정부예산으로는 총 94억 6,900억원이 집행되었고, AP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은 정부:지자체:통신사가 약 1:1:2 비율로 매칭부담하는 방식이었다.<ref name=":2" />


* 2013∼2015년 3년간 공공와이파이 신규구축은 무선인터넷 확산기반 조성 사업(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정부예산(즉, 국비)으로는 총 94억 6,900억원이 집행되었고, AP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은 정부:지자체:통신사가 약 1:1:2 비율로 매칭부담하는 방식이었다.<ref name=":2" />
* 2019∼2020년 사업으로는 공공장소 공공와이파이 신규 1만개소 이상 구축을 추진하였는데, 지난 2013∼2015년 사업과 달리 AP 구축비를 정부와 통신사가 1:1로 부담하고 지자체는 회선료(1개소당 월 33천원, 5년 약정)를 부담하는 체계이다.<ref name=":2" /> 예산은 방송통신발전기금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세부사업 중 내역사업(‘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구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2020년도 예산안으로 100억원이 편성됐었다.<ref name=":2" />
* 2025년에는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구축 사업의 정부 예산이 전액 삭감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고, 2023년까지 당초 계획한 구축 목표 4.1만 개소를 달성하였는데, 동 사업은 구축 목표를 달성하였음에도 2024년까지 일부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2025년에는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ref name=":4" /> 다만, 와이파이 장비 교체를 위한 정부 예산 지원을 검토하였으나,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료 부담자인 지자체와 수익자인 통신사가 부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앞으로 정부는 구축 중심에서 품질 관리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여 품질개선에 더욱 노력할 예정이다.<ref name=":4">과기정통부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사업 목표, 계획대로 달성”,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https://korea.kr/briefing/actuallyView.do?newsId=148935432]</ref>


* 2019∼2020년 사업으로는 공공장소 공공와이파이 신규 1만개소 이상 구축을 추진하였는데, 지난 2013∼2015년 사업과 달리 AP 구축비를 정부와 통신사가 1:1로 부담하고 지자체는 회선료(1개소당 월 33천원, 5년 약정)를 부담하는 체계이다. 예산은 방송통신발전기금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세부사업 중 내역사업(‘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구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2020년도 예산안으로 100억원이 편성되었다.<ref name=":2" />
= 해외 사례 =
'''싱가포르'''


=== 기술 발전 가능성 및 연구 과제 ===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ref name=":1" />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심범수 외. (2015).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향제언. 한국통신학회.</ref>


= 해외 사례 =
'''홍콩'''


=== 싱가포르 ===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ref name=":1" />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고,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 />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심범수 외. (2015).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향제언. 한국통신학회.</ref>


=== 홍콩 ===
'''대만'''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 />


=== 대만 ===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ref name=":1" />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ref name=":1" />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ref name=":1"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2024년 12월 22일 (일) 23:03 기준 최신판

공공와이파이 개요

소개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1] 본 서비스는 주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되며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

추진 배경

2010년을 전후로 스마트폰의 등장과 LTE 서비스의 본격화로 인해 무선데이터의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와이파이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 2011년 12월말 119만 1천명에 불과했던 LTE 가입자는 2019년 7월말 5,584만 1천명이고 2019년 4월 개시한 5G는 3개월만에 191만 1천명이 가입[2]

- 트래픽 현황을 보면 2012년 1월에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23,566TB, 가입자 1명당 470MB(4G폰 가입자 1.57GB)였는데 2019년 7월 현재는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510,597TB, 가입자 1명당 7.84GB(4G폰 가입자 9.49GB)까지 증가[2]

이와 같은 데이터 이용은 통신비용 부담과 연관되기 때문에 와이파이 수요도 자연스레 증대된 것이다.

공공와이파이 사업은 이러한 통신환경 변화 속에서 국민·주민의 보편적인 통신서비스 접근권을 보장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되었다.[2]

주요 목적

국민 정보접근성 향상, 취약계층 정보격차 해소, 통신비 절감, 경제 개발 등의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기존의 통신인프라 관련 정책이 유선망 구축과 고도화 등에 있었다면, 데이터 이용량 및 그 사회경제적인 영향력의 급증으로 인해 이용자의 데이터 소비를 지원하거나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을 정부·지자체의 역할로 인식한 것이다.[2]

근거법령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1조지능정보화 기본법으로 개정(2021)」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13조」

국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현황

우리나라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공공와이파이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2012년부터, 지자체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2011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개방·구축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이후 성남시 등 일부 지자체도 자체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2] 2018년부터 정부는 신규로 전국 시내버스를 포함하여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확대하는 사업을 추진하였고,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20년부터 공공와이파이 구축 및 품질고도화 사업을 본격화하였다.

전체 현황

2017년에 정부가 파악한 공공와이파이 현황을 보면 AP, 즉 와이파이 접속 장치의 개수 기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2,068개, 지자체 21,523개, 6개 공공기관 6,990개 등 총 60,581개이다.

공공 및 상용 와이파이 AP 현황(2017년말 기준)[2]
구분 과기정통부 지자체 공공기관 소계(공공와이파이) 상용와이파이
AP개수 32,068 21,523 6,990 60,581 376,211

주체별 현황

1) 정부

  • 2012~2017년도

정부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지자체·통신사와 공동으로 공공장소에 와이 파이 구축·개방을 추진하여 총 13,369개소(AP 32,068개)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축’이란 신규로 공공와이파이 접속점(AP)을 설치하는 것이고, ‘개방’이란 기존 통신사가 자가 가입자 전용으로 구축한 상용와이파이를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로 개방하여 일반 이용자가 무료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2]

연도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구축·개방 실적[2] (단위: 개소)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구축 - 1,095 2,891 3,225 - - 7,211
개방 2,000 1,019 540 510 1,020 1,069 6,158
2,000 2,114 3,431 3,735 1,020 1,069 13,369
누계 2,000 4,114 7,545 11,280 12,300 13,369 13,369


정부의 공공와이파이 구축사업은 공공장소 중 수익성이 낮아 통신사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주민센터, 서민 또는 노인 등 정보통신 취약계층 이용 공공시설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취지였다. 아래 설치된 장소별 현황을 보면 단일유형 시설로는 주민센터가 3,292개소로 가장 많고 복지시설 2,597개, 전통시장 916개, 보건소 316개, 보건지소 946개 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468개소, 서울 1,262개소, 경북 1,058개소 등이다.[2]

지역·장소별 공공와이파이(과기정통부 소관) 세부현황[2] (단위: 개소)
구분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보건소 보건지소 터미널 기타 합계
강원 203 131 55 26 105 29 254 803
경기 341 292 113 55 23 30 614 1,468
경남 79 171 63 18 55 51 416 853
경북 422 105 53 45 113 47 273 1,058
광주 188 226 36 13 8 2 277 750
대구 165 96 109 14 11 15 309 719
대전 111 181 40 5 10 3 239 589
부산 241 230 58 16 12 5 331 893
서울 241 299 57 13 9 7 636 1,262
세종 54 31 4 1 16 2 87 195
울산 67 80 33 7 18 6 178 389
인천 199 111 47 12 31 11 260 671
전남 301 105 47 24 98 63 213 851
전북 242 124 62 21 152 30 235 866
제주 65 169 27 7 56 11 185 520
충남 205 119 69 17 107 27 233 777
충북 168 127 43 22 122 26 197 705
합계 3,292 2,597 916 316 946 365 4,937 13,369
  • 20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에 전국 공공장소의 와이파이를 55% 확대 구축하고 노후 와이파이를 교체했다. 버스 정류장, 공원, 보건지소 등 지역 밀착형 1만22개소에 공공와이파이를 새로 구축했고, 이용자가 많거나 공간 대비 와이파이 설치 수량이 부족해 이용이 불편한 공공기관 민원실과 주민센터, 전통시장 등에도 와이파이 공유기를 추가로 설치했다.[3]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구축한 와이파이를 공공장소 2만8천132곳과 시내버스 2만9천100대 등 전국 5만7천232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3] 또한 2012∼2017년 구축한 와이파이 중 노후 공유기 1만8천여 개를 최신 장비 '와이파이6'으로 교체했다. 이에 따라 유선 백홀 회선이 기가급으로 증속했고 그동안 전송 속도 등 품질 이슈가 제기된 장소는 기존 대비 속도가 3배 이상 증가했다.[3]




2) 지방자치단체

현재 지방자치단체 공공와이파이 현황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준으로 파악된 자료는 없다. 2017년을 기준으로 과기정통부가 파악한 지자체의 공공와이파이는 AP기준 21,523개이지만 이는 광역자치단체를 통해 취합된 것인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기존 정부 사업 AP와의 중복 가능성 등으로 자료가 정확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2] 자료를 제출한 지자체 중 2019년까지를 기준으로 자체 사업이 있는 광역 지자체는 서울 등 7개, 자체 사업은 없으나 기초 지자체에 도비를 지원한 경우는 경기 등 3개, 자체 사업이 있는 기초 지자체는 68개였다. 언론 등에 소개된 지자체 중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지자체도 있고, 별도의 예산사업이 아니거나 자료제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자체에서도 각종 공공 시설에서 와이파이를 제공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실제 사례는 더 많을 것이다.[2]


지역별 구축 현황
서울 -서울특별시는 2011년부터 통신사와 협조하거나 독자적인 구축을 통해 시내 도심, 공원, 공공시설물 등에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서울시내 자치구 중 구로구(마을버스 포함), 마포구, 강북구 등 일부 자치구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2]

-사례로 최근 동대문구는 배봉산과 중랑천 산책로 일대에서 공공와이파이 속도개선 사업을 완료했다. 이용자가 많은 구간을 중심으로 Wi-Fi 장비 70대를 교체했으며, 이번에 교체된 장비는 기존보다 10배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5G’ 기술을 적용해 공공와이파이를 통해 고용량 콘텐츠도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4]

경기·인천·강원 -경기도는 기초 지자체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인천광역시와 강원도는 자체 사업을 추진하였다. 성남시가 전국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는 가장 큰 규모로 자체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여 왔고, 인천 계양구 등도 버스정류장 등 특화된 사례가 있다.[2]
충청 -광역 지자체에서 독자적인 구축 실적은 없고 일부 기초 지자체에서 통신사 망 임차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한 실적이 있다.[2]
호남·제주 -제주, 순천, 나주, 무안 등 지자체는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공공 와이파이를 적극 추진하여 왔다.[2]

-제주자치도는 올해(2024) 관광지와 마을회관 등에 공공와이파이 150대를 추가 설치하고, 2026년까지 공공와이파이망을 6300개로 확대 구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5]

대구·경북 -광역 지자체의 사업 실적은 없으나 대구 동구, 경주 등 기초 지자체 일부가 통신사 임차방식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왔다.[2]
부산·울산·경남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는 최근(2019)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중이고 김해시, 산청군 등 일부 기초 지자체에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2]

3) 그 외 기관

  • 문체부·관광공사의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사업: 과기정통부가 아닌 부처 중 공공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는 대표적 사례는 한국관광공사가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으로 201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관광지 와이파이 구축 사업(사업명 “스마트관광 IoT 기반조성 사업”)이다. 2015∼2017년에는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강원도를 대상지역으로 시범사업 형식으로 추진했다가 2018년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하고 있으며 내·외국인 관광객 Wi-Fi 접근성 확대를 통한 관광정보 서비스 이용환경 개선 및 편의 제고와 스마트관광 환경 미흡 지자체 지원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2] 사용을 위한 SSID는 “KOREA FREE WiFi”이다.
  • 우체국 와이파이 구축 사업: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부터 추진하는 우정사업기반망고도화 사업 내에서 우체국 내 공공와이파이 구축 내용을 포함하여 추진하였다.[2] 기존에는 전국 우체국에서 정부 공공와이파이로 120개소, KT 서비스 219개소 등 총 481개소에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버스 공공와이파이 현황

과기정통부는 2018년부터 전국 모든 시내버스에서 공공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규로 버스 공공와이파이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8년에 편성된 1차분 4,200대가 2018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하여 2019년 5월에 정식 서비스되었고, 연말까지 19,800대가 2차로 구축되었다.[2] 한편, 2019년 중에 일부 지자체는 정부 사업과는 별도로 3,200대에 버스 공공와이파이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2] ※ 기존에 수원, 성남, 광주 등에서 버스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진행한 바 있음.

이후 과기정통부는 2020년 예산안으로 시내버스 증차 및 잔여분 5,100여대에 대한 공공와이파이 구축사업을 계획하였고, 2020년 3차 구축 사업이 완료된 11월부터는 전국 총 35,006대 모든 시내버스에서 편리하게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총 5,906대(AP)의 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운영 중이며 정부에서 29,100대(AP)를 구축했다.

버스 공공와이파이는 버스가 80 km/h의 속도로 이동할 때 버스당 최소 20 Mbps의 속도를 제공하여 버스 내 승객 10~20여 명이 동시 접속할 때 개인 평균 2 Mbps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7] 이는 270 p 및 480 p에 해당하는 화질의 동영상 시청에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전국 버스 공공와이파이 현황[6]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자체구축 합계
서울 270 5,370 1,399 0 7,399
부산 270 1,930 - 317 2,517
대구 281 302 1,034 0 1,617
인천 271 1,629 567 0 2,467
광주 294 706 - 44 1,044
대전 270 730 - 16 1,016
울산 270 330 1 147 748
세종 179 0 24 62 265
경기 271 5,129 1,342 3,865 10,607
강원 281 40 115 64 500
충북 182 318 53 83 636
충남 281 519 20 142 962
전북 270 530 44 4 848
전남 270 230 20 201 721
경북 270 447 348 97 1,162
경남 270 1,230 133 68 1,701
제주 - - - 796 796
합계 4,200 19,800 5,100 5,906 35,006


문제점

  •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의 부담: 공공 와이파이의 설치와 운영에는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초래한다.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상당하다. 공공 와이파이의 설치 초기 비용은 네트워크 장비 구매 및 설치,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기술 인력 고용 등으로 구성되며, 이후 유지‧보수 비용과 전기 요금, 서버 관리 비용 등이 꾸준히 발생하는데, 이러한 초기 비용과 유지 비용이 지자체 예산에 큰 부담을 준다. 지자체의 예산이 부족한 경우, 유지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공공 와이파이가 고장난 채로 방치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지자체의 큰 운용비용 부담은 지역 간 구축 격차를 벌려 공공와이파이의 '지역 쏠림'을 심화시킨다.
  • 관리 주체 부재와 통합 관리의 어려움: 공공 와이파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지만, 현재 체계적인 관리 주체가 부재한 경우가 많다. 공공 와이파이 사업은 각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전국적인 표준화와 통합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격차를 초래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낙후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 장비 노후화: 설치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네트워크 장비가 노후화되어 업그레이드나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용을 부담할 여력이 부족한 지자체에서는 노후화된 장비를 방치하거나 최소한의 수리만으로 연명하는 경우가 많다.
  • 이용률의 지역적 편차: 공공와이파이는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반면, 농촌이나 소외 지역에서는 낮은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해당 지역 주민들이 서비스 접근성 부족이나 낮은 품질 문제로 인해 공공 와이파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용률 편차는 디지털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서비스 품질 문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경우 네트워크 과부하가 발생하여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거나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공공 와이파이를 신뢰하지 못하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통신비 절감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용 안내

1) 정부 구축 공공와이파이

  • 이용 방법
  1.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2.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3.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1]
  • 주의사항

제공자가 불분명한 공중 무선랜 사용 주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무선공유기를 이용할 경우 무선공유기 제공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가 확인된 공중 무선랜만을 이용해야 한다.[1]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1]


안드로이드

IOS

PC



보안 기능 및 사용자 보호 조치

본 서비스에서는 보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Public WiFi Secure”는 무선인터넷으로 통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보안을 강화한 서비스다. 와이파이 신호 옆,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 것이 보안 WiFi이다.

  • 이용 방법
  1.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한다.
  2. Wi-Fi 신호 중 ‘Public WiFi Secure’를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 암호를 입력한다. - 사용자 이름 : wifi - 암호 : wifi
  3.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Public WiFi 접속화면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인터넷 이용 가능
  • 주의사항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1]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1]


안드로이드

IOS

PC


2) 주요 지자체 공공와이파이

서울특별시

  • 브랜드명: 까치온(Kkachi On)
  • 네트워크 이름: ‘SEOUL_Free’, ‘SEOUL_Secure’
  • 특징: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버스 정류장, 공원, 복지시설 등)에서 무료 제공. 보안 강화를 위해 ‘SEOUL_Secure’는 암호화된 연결 제공.

부산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Busan_Free_WiFi’
  • 특징: 주요 공공시설, 관광지, 대중교통 중심으로 와이파이 제공.

인천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Incheon_Free_WiFi’
  • 특징: 공원, 전통시장, 공공시설 등 주요 거점에서 무료 인터넷 제공.

대구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Daegu_WiFi’
  • 특징: 지하철역, 주요 공공시설에 집중적으로 설치.

경기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시·군 단위에서 네트워크 이름 세분화).
  • 네트워크 이름: ‘Gyeonggi_Free_WiFi’
    • 예시: 수원시(‘Suwon_WiFi’), 고양시(‘Goyang_WiFi’) 등.
  • 특징: 경기도 전역의 공공장소와 대중교통(버스)에 와이파이 확장 중.

광주광역시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Gwangju_Free_WiFi’
  • 특징: 도심지와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설치, 시민 접근성 개선.

전라북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Jeonbuk_WiFi’
  • 특징: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간 균형 있게 설치.

제주특별자치도

  • 브랜드명: 별도 없음.
  • 네트워크 이름: ‘Jeju_Free_WiFi’
  • 특징: 제주 전역의 관광지와 공공장소에 와이파이 제공. 특히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주요 관광 명소에 집중 설치.


기술 동향

와이파이 기술 표준

와이파이 기술 표준은 1997년 발표된 IEEE 802.11 이후 IEEE 802.11a/n/b/g/n/ac/ad/af/ax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고 현재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주로 802.11n 또는 802.11ac 등이 적용되어 있다.[2]

  • 802.11n: 2009년에 완성되었으며 물리 계층에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을 적용하고 MAC 계층에서 Frame aggregation을 적용하여 전송률을 증대시킨 것이 특징이다.[8] MIMO 동작을 위해서는 AP와 단말에서 다중 안테나가 구성되어야 한다. MIMO 방식으로는 Spatial beamforming, Spatial multiplexing, Spatial diversity 등을 지원한다. 802.11n 기기는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하며 최대 600Mbps 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8]
  • 802.11ac: 802.11n을 기반으로 하며 2013년에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5GHz 대역에서 최대 160MHz까지의 광대역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56QAM을 지원하고, 최대 8개의 MIMO stream 및 최대 4명의 MU-MIMO(Muti-User MIMO)를 지원하여 주파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8] 그럼으로써 최대 3.466Gbps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와이파이 주요 규격 현황
와이파이 규격 출시 연도 주파수 대역 이론상 최대 전송속도
802.11a 1999 2.4GHz 54Mbps
802.11b 1999 5GHz 11Mbps
802.11g 2003 2.4GHz 54Mbps
802.11n(와이파이4) 2009 2.4GHz/5GHz 600Mbps
802.11ac(와이파이5) 2013 5GHz 3.5Gbps
802.11ad 2012 60GHz 7Gbps
802.11af 2014 TV유휴주파수 569Mbps
802.11ax(와이파이6) 2019 2.4GHz/5GHz 9.6Gbps
802.11be(와이파이7) 2023 2.4GHz/5GHz/6GHz 20Gbps

이동형 연결

와이파이는 기본적으로는 유선망에 연결된 AP를 통해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나, 대중교통 등 이동 중인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무선백홀 연결이 필요한데, 국내 공공와이파이에는 LTE가 주로 연결된다.[2]

- 버스 공공와이파이와 지하철에서는 당초에 Wibro망이 공공와이파이 백홀로 활용되었으나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지속되어 현재 대부분 LTE로 전환되어 있고, 버스 공공와이파이도 입찰사업자인 KT의 백홀망이 활용된다.[2]

이 외에도 TV유휴주파수 대역의 장점인 긴 전파거리를 활용하는 기술, 한국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기술로 고속 이동환경에서 10GHz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여 Gbps급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MHN(Mobile Hotspot Network) 등이 있다.[2]

보안기술

일반에 공개된 와이파이는 물리적·기술적 측면과 관리상 보안 취약점이 있어 보안기술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공공와이파이에는 WPA2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WPA3 기술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2]

- 물리적으로 AP 자체가 노출되어 있고, 누구나 접속하는 비면허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대역이어서 해킹, 방해, 불법 AP 설치 등 기술적으로 취약하며 관리책임, 이용자 보안의식·기술 등의 약점도 존재한다.[2]

- 보안기술은 보안의 강도에 따라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Wi-Fi Protected Access2)가 있는데 2019년 6월에는 WPA2의 약점인 키 재설치 공격 등을 보완한 WPA3가 발표되었다.[2]

정책 동향

  • 2013∼2015년 3년간 공공와이파이 신규구축은 무선인터넷 확산기반 조성 사업(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정부예산으로는 총 94억 6,900억원이 집행되었고, AP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은 정부:지자체:통신사가 약 1:1:2 비율로 매칭부담하는 방식이었다.[2]
  • 2019∼2020년 사업으로는 공공장소 공공와이파이 신규 1만개소 이상 구축을 추진하였는데, 지난 2013∼2015년 사업과 달리 AP 구축비를 정부와 통신사가 1:1로 부담하고 지자체는 회선료(1개소당 월 33천원, 5년 약정)를 부담하는 체계이다.[2] 예산은 방송통신발전기금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세부사업 중 내역사업(‘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구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2020년도 예산안으로 100억원이 편성됐었다.[2]
  • 2025년에는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구축 사업의 정부 예산이 전액 삭감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고, 2023년까지 당초 계획한 구축 목표 4.1만 개소를 달성하였는데, 동 사업은 구축 목표를 달성하였음에도 2024년까지 일부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2025년에는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9] 다만, 와이파이 장비 교체를 위한 정부 예산 지원을 검토하였으나,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료 부담자인 지자체와 수익자인 통신사가 부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앞으로 정부는 구축 중심에서 품질 관리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여 품질개선에 더욱 노력할 예정이다.[9]

해외 사례

싱가포르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10]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10]

홍콩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10]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고,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10]

대만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10]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10]

참고자료

  1. 1.0 1.1 1.2 1.3 1.4 1.5 공공와이파이 홈페이지
  2.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장은덕. (2019). 공공와이파이 구축·운영 실태 및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정책보고서 제30호.
  3. 3.0 3.1 3.2 정윤주, 과기부 "전국 5만7천여곳에서 공공와이파이 이용 가능", 연합뉴스, 2021. 02. 24.[1]
  4. 동대문구, ‘10배 빠르게’ 공공와이파이 속도 개선, 한겨레, 2024. 11. 21.[2]
  5. 강석창, 제주 공공와이파이 이용 23.5% 급증, JIBS, 2024. 10. 28.[3]
  6. 6.0 6.1 김태홍 외. (2020). 공공 와이파이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 최홍주 외. (2022). 버스 공공와이파이 데이터 사용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3권 제2호.
  8. 8.0 8.1 8.2 정희상 외. (2018). 공공 와이파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3권 제5호.
  9. 9.0 9.1 과기정통부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사업 목표, 계획대로 달성”,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4]
  10. 10.0 10.1 10.2 10.3 10.4 10.5 심범수 외. (2015).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향제언. 한국통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