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청년마을: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김김김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수정스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 주요 사례 ===
=== 주요 사례 ===
[[파일:청년마을(2018-2022).png|없음|섬네일|376x376픽셀|전국 청년마을 지정 현황(2018-2022)]]
[[파일:청년마을(2018-2022).png|없음|섬네일|376x376픽셀|전국 청년마을 지정 현황(2018-2022)]]
== 같이 보기 ==
[[대문]]으로
== 연구동향 ==
유창복. (2013)<ref>유창복.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환경철학'', (15), 173-226.</ref>은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원순 시장은 민간주도와 주민주도성을 바탕으로 한 마을만들기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수시공모제, 만만한 지원공모사업, 마을상담원 및 멘토링, 마을인프라 구축, 중간지원조직 등을 통해 주민들의 참여와 자발성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시민사회의 협동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시민사회의 ‘미시적 재구성’을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정용진(2018)<ref>정용진. (2018).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314-322.</ref>은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민 참여 정부 정책 결정 모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은 공급자 위주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행 수용의지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 툴킷을 활용하여 기존 공유마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공유마을, 도시재생, 청년취업 정착이라는 3가지 문제를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주소현, 유다은, 박희규, 정수진, 송지연 & 간기현(2023)<ref>주소현, 유다은, 박희규, 정수진, 송지연, & 간기현. (2023). 인구소멸지역 해결 대안으로써 안동 청년마을기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 ''혁신기업연구'', ''8''(2), 17-42.</ref>은 인구소멸지역 해결 대안으로써 안동 청년마을기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소멸지역의 청년마을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인구소멸지역의 청년마을기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2023년 11월 20일 (월) 10:26 기준 최신판

청년마을이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지난 2018년도부터 지방 청년들의 유출 방지와 도시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여,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에는 활력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선정과 지원사항

- 청년마을은 청년단체 및 기업의 대표가 청년이고 사업참여인력 중 청년비율을 50% 이상 구성한 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한다.

- 공모한 단체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 검토 및 서류심사, 현지실사, 발표심사를 거쳐 운영단체를 선정한다. 선정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지자체의 협력과 지원, 그리고 차별화된 청년마을의 사업방향성이다.

- 2022년, 전국 133개 청년단체가 응모하였으며, 1차 서면심사를 통해 34개 팀이 선발된 후 현장실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12개 팀이 최종 선정되었다.

- 선정된 단체에는 사업비 2억 원이 지원되고, 이후 사업성과 등을 평가해 최대 2년 동안, 연 2억 원씩 추가 지원이 된다. 또한 3년간 청년마을을 조성하는 과정에 필요한 교육과 네트워킹, 컨설팅, 마을간 협업 지원이 동시에 진행된다.

특성

- 청년이 주체가 된다. 청년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능력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마을별 고유성에 집중한다. 지역의 차별점, 청년의 개성을 존중하며 각 마을의 고유한 특성에 맞추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마을 간의 창발이 이루어진다. 전국으로 구성된 27개 마을이 상호작용을 통해 연합의 힘, 새로운 창조를 일으키며 지역정착의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간다.

연혁 및 주요 사례

연혁

시범사업

2018년 전남 목포시 '괜찮아마을',

2019년 충남 서천군 '삶기술학교',

2020년 경북 문경시 '달빛탐사대' 청년마을

본사업

2021년에는 부산 동구, 인천 강화군, 울산 울주군 등 12곳 선정

2022년 추가로 12곳 선정

주요 사례

전국 청년마을 지정 현황(2018-2022)

같이 보기

대문으로

연구동향

유창복. (2013)[1]은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원순 시장은 민간주도와 주민주도성을 바탕으로 한 마을만들기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수시공모제, 만만한 지원공모사업, 마을상담원 및 멘토링, 마을인프라 구축, 중간지원조직 등을 통해 주민들의 참여와 자발성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시민사회의 협동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시민사회의 ‘미시적 재구성’을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정용진(2018)[2]은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민 참여 정부 정책 결정 모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은 공급자 위주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행 수용의지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 툴킷을 활용하여 기존 공유마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공유마을, 도시재생, 청년취업 정착이라는 3가지 문제를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주소현, 유다은, 박희규, 정수진, 송지연 & 간기현(2023)[3]은 인구소멸지역 해결 대안으로써 안동 청년마을기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소멸지역의 청년마을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인구소멸지역의 청년마을기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2022년 청년마을 사례집 |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간행물> 간행물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98372)
  1. 유창복.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환경철학, (15), 173-226.
  2. 정용진. (2018).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314-322.
  3. 주소현, 유다은, 박희규, 정수진, 송지연, & 간기현. (2023). 인구소멸지역 해결 대안으로써 안동 청년마을기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 혁신기업연구, 8(2),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