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듀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파일:방과후아카데미로고.jpg|섬네일|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로고<ref name=":2">방과후청소년아카데미. https://www.youth.go.kr/yaca/about/ci.do</ref>]]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여성가족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국가정책지원사업으로 초등4학년부터 중등 3학년까지의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습지원, 전문체험 활동, 생활지원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청소년 수련시설, 지자체 공공시설, 민간운영시설에 기반한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학습지원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전문체험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하며, 생활지원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05년 9월부터 46개소에서 시범운영이 시작되었으며 2006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ref name=":2" /><ref name=":1" />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운영 목적은 (1) '민주시민으로서의 정의·권리·의무·책임을 배우는 전인적 성장 발달 도모' (2)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교육·복지 지원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기반 마련' (3)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인적자원 활용'이다.<ref name=":1"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청소년 기본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법적근거는 아래와 같다<ref name=":2" />
*청소년 기본법 제48조의2: 청소년 방과 후 활동의 지원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3: 청소년 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계획의 수립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4: 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사업 실시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5: 청소년 방과 후 활동 지원센터의 설치·운영
{| class="wikitable"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원내용<ref name=":2" />
!구분
!내용
|-
|체험 역량 강화 활동
|
* 주중체험활동
* 진로개발 역량 프로그램
* 창의 융합 프로그램
* 주말체험활동
* 지역사회참여활동
* 주중자기개발활동과정
* 특별지원
|-
|학습지원
|
* 보충학습지원
* 교과학습
|-
|생활지원
|
* 급식, 상담, 건강관리 등
|}


== '''협력기관'''<ref name=":1">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https://www.kywa.or.kr/business/business10.jsp</ref> ==
== '''협력기관'''<ref name=":1">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https://www.kywa.or.kr/business/business10.jsp</ref> ==
[[파일:방과후아카데미 운영체계.png|섬네일|600x600픽셀|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체계<ref>방과후청소년아카데미. https://www.youth.go.kr/yaca/about/ci.do</ref>]]
민관협력을 통해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기관을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협력기관<ref name=":1" />
!기관
!기관
!역할
!역할
31번째 줄: 69번째 줄:
|방과후 인문교실 지원
|방과후 인문교실 지원
|}
|}
<ref name=":1" />
====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의 공적 서비스 확대 ====
여성가족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적 서비스를 담당하는 청소년 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 지자체 공공시설, 민간운영시설 등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건강한 방과후 생활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체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및 청소년 생활관리 등 청소년을 위한 종합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가정책지원 사업입니다.
==== 법적근거 ====
청소년기본법 제48조의2(청소년 방과 후 활동의 지원)
==== 운영목적 ====
* 민주시민으로서의 정의·권리·의무·책임을 배우는 전인적 성장 발달 도모
*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교육·복지 지원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기반 마련
*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인적자원 활용
==== 추진방향 ====
*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활동·복지·보호체계 역할 수행
** -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을 위해 다양한 맞춤형 지원 및 프로그램 운영
** - 청소년의 성장발달에 부합하고, 청소년·학부모 눈높이에 맞는 과정 운영
* 학교와 지역사회의 상호 신뢰 및 연계 강화
** - 방과 후 건강한 성장을 도와주는 사업으로의 인식 확산
** - 방과후아카데미 지원협의회 구성을 통한 지역 사회의 참여 확대 및 연계체계 구축
* 다양한 지역사회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
** - 지역사회 공공기관, 사회단체, 기업, 개인 등의 물품 지원 및 후원, 자원봉사, 재능기부 등 다양한 자원 연계 활용
==== 기능 ====
*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에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공간 제공
*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한 지역사회 청소년들의 안전한 놀이문화 공간 제공
* 지역사회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교육의 기회 제공
*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 안전망 구축
* 보호자와 청소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지원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 미래인재양성을 위해 STEAM, MAKER 방식을 접목한 방과후 활동운영
* 미래사회 성숙한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 참여의식 체득을 위해 민주시민역량 프로그램 운영
* 다양한 직업군 탐색과 직·간접적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특기를 찾을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 프로그램 운영
==== 협력기관 ====
* 민관협력을 통한 상호 연계 체계 구축
* 기관의 특성을 활용한 전문 프로그램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연구동향''' ==
== '''연구동향''' ==


이지혜 & 문성호 (2022)<ref>이지혜, & 문성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2), 441-458.</ref>
이지혜 & 문성호 (2022)<ref>이지혜, & 문성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2), 441-458.</ref>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을 한 결과 사회과학, 사회복지학에서 방과후아카데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과후돌봄서비스, 저소득층청소년, 프로그램, 지역아동센터, 방과후활동 중심의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종합서비스로서 역할, 청소년복지정책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윤향숙 & 박용호 (2022)<ref>윤항숙, & 박용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역량모델개발. ''휴먼웨어 연구'', ''5''(2), 1-27.</ref>


김청렴 외 (2022)<ref>김청렴, 노지혜, & 문성호. (2022).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75-103.</ref>
윤향숙 & 박용호 (2022)<ref>윤항숙, & 박용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역량모델개발. ''휴먼웨어 연구'', ''5''(2), 1-27.</ref>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식별하고 행동지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수 실무자에 대한 BEI, FGI, 델파이검사를 시행하여 최종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업무, 직급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지표의 차이가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교육 또는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조혜영 & 유인혜 (2018)<ref>조혜영, & 유인혜. (2018). 초등학생의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참여 경험과 의미-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초등학생들의 사례. ''청소년시설환경'', ''16''(3), 41-54.</ref>
김청렴 외 (2022)<ref>김청렴, 노지혜, & 문성호. (2022).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75-103.</ref>는 가치비평적 접근에 근거하여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목적, 목표, 서비스형태, 자격요건, 전달체계, 재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1) 시혜적 특성이 있으며 구체적 목표의 부재, (2) 수요자 중심 관점에서 자기주도성 미실현 (3) 지원 자격요건 폐지, 그러나 여전한 낙인감과 사각지대, (4) 운영 공간 부족, 참여청소년 수 대비 종사자 인력 부족 (5) 재원조달 한계가 있는 것 나타났다.


== '''관련 통계''' ==
== '''관련 통계''' ==
323번째 줄: 314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references />
[[분류:정책사업]]
[[분류:사법·형법·가족정책]]
[[분류:여성가족부]]

2024년 2월 14일 (수) 13:28 기준 최신판

개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로고[1]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여성가족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국가정책지원사업으로 초등4학년부터 중등 3학년까지의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습지원, 전문체험 활동, 생활지원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청소년 수련시설, 지자체 공공시설, 민간운영시설에 기반한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학습지원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전문체험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하며, 생활지원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05년 9월부터 46개소에서 시범운영이 시작되었으며 2006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1][2]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운영 목적은 (1) '민주시민으로서의 정의·권리·의무·책임을 배우는 전인적 성장 발달 도모' (2)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교육·복지 지원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기반 마련' (3)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인적자원 활용'이다.[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청소년 기본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법적근거는 아래와 같다[1]

  • 청소년 기본법 제48조의2: 청소년 방과 후 활동의 지원
  •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3: 청소년 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계획의 수립
  •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4: 방과 후 활동 종합지원사업 실시
  • 청소년 기본법 시행령 제33조의5: 청소년 방과 후 활동 지원센터의 설치·운영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원내용[1]
구분 내용
체험 역량 강화 활동
  • 주중체험활동
  • 진로개발 역량 프로그램
  • 창의 융합 프로그램
  • 주말체험활동
  • 지역사회참여활동
  • 주중자기개발활동과정
  • 특별지원
학습지원
  • 보충학습지원
  • 교과학습
생활지원
  • 급식, 상담, 건강관리 등

협력기관[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체계[3]

민관협력을 통해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기관을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협력기관[2]
기관 역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찾아가는 문화 예술 지원
한국관광공사 국내 여행 프로그램 지원
LG이노텍 과학교실 및 시설환경개선 지원
푸르덴셜 파이낸셜 경제교실 프로그램 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초중등 우수과학도서 지원
JA Korea 창업교실 및 도서지원
한국저작권위원회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 지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방과후 인문교실 지원

연구동향

이지혜 & 문성호 (2022)[4]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을 한 결과 사회과학, 사회복지학에서 방과후아카데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과후돌봄서비스, 저소득층청소년, 프로그램, 지역아동센터, 방과후활동 중심의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종합서비스로서 역할, 청소년복지정책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윤향숙 & 박용호 (2022)[5]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식별하고 행동지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수 실무자에 대한 BEI, FGI, 델파이검사를 시행하여 최종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업무, 직급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지표의 차이가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교육 또는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김청렴 외 (2022)[6]는 가치비평적 접근에 근거하여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목적, 목표, 서비스형태, 자격요건, 전달체계, 재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1) 시혜적 특성이 있으며 구체적 목표의 부재, (2) 수요자 중심 관점에서 자기주도성 미실현 (3) 지원 자격요건 폐지, 그러나 여전한 낙인감과 사각지대, (4) 운영 공간 부족, 참여청소년 수 대비 종사자 인력 부족 (5) 재원조달 한계가 있는 것 나타났다.

관련 통계

연도별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현황[7]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소계 150 185 178 161 200 200 200 200 244 250 250 260 280 304 332 342
초등 98 138 133 118 143 143 137 130 142 121 116 119 118 126 142 148
중등 11 24 19 24 35 39 46 50 83 90 93 98 104 105 109 114
혼합 41 23 26 19 22 18 17 20 19 39 41 43 58 73 73 80
지역별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현황[7]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세종
소계 23 21 20 12 11 8 6 61 25 13 25 24 36 18 26 10 3
초등 13 9 14 4 7 5 0 28 9 10 6 8 9 7 14 4 1
중등 5 7 3 8 3 3 6 13 11 0 17 11 17 4 2 2 2
혼합 5 5 3 0 1 0 0 20 5 3 2 5 10 7 10 4 0
23년도 1개소당 방과후아카데미 연간운영비[8](국비 및 지방비 포함, 천원)
구분 1개반(30명) 2개반(40명) 3개반(60명) 비고
기본형 119,226 178,062 250,808
농산어촌형 122,676 183,102 257,458
장애형 - 150,402 210,708 1개반 정원: 10명
다문화형 - 163,102 1개반 정원: 15명
탄력운영형 72,872 - - 1개반 정원: 15명
주말형 47,002 - - 1개반 정원: 30명

참고문헌

  1. 1.0 1.1 1.2 1.3 방과후청소년아카데미. https://www.youth.go.kr/yaca/about/ci.do
  2. 2.0 2.1 2.2 2.3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https://www.kywa.or.kr/business/business10.jsp
  3. 방과후청소년아카데미. https://www.youth.go.kr/yaca/about/ci.do
  4. 이지혜, & 문성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2), 441-458.
  5. 윤항숙, & 박용호. (20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역량모델개발. 휴먼웨어 연구, 5(2), 1-27.
  6. 김청렴, 노지혜, & 문성호. (2022).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75-103.
  7. 7.0 7.1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jsessionid=bw47r6X8wn51WQJ1erZ4XKoxK6R0YI-DDtwtoh_x.node11?idx_cd=2505
  8. 여성가족부. (2023). 2023년도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