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농어촌뉴타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각주 == | == 각주 == | ||
<references /> | |||
[[분류:정책사업]] | |||
[[분류:지역공동체·주택정책]] | |||
[[분류:국토교통부]] |
2024년 2월 19일 (월) 06:28 기준 최신판
농어촌 뉴타운의 개념과 특징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민들이 귀농을 하고자 해도 농어촌의 열악한 생활환경, 자녀교육 및 복지, 영농기반, 친교기반 등의 미비로 귀농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맞춤형 영농지원, 양질의 자녀교육 및 복지환경,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공급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다.[1]
농어촌 뉴타운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맞춤형 영농지원
농어촌 뉴타운은 귀농인에게 영농 기술 교육, 영농자금 지원, 영농기반 조성 등 맞춤형 영농지원을 제공한다. 귀농인의 영농 경험과 역량에 따라 다양한 영농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영농자금을 지원하며, 영농기반을 조성하여 귀농인의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지원한다.
- 양질의 자녀교육 및 복지환경
농어촌 뉴타운은 기숙형 공립고등학교를 설치하고, 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센터 등 다양한 복지시설을 조성한다. 기숙형 공립고등학교를 설치하여 귀농인의 자녀들이 안정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센터 등 다양한 복지시설을 조성하여 귀농인의 자녀들이 양질의 교육과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공급
농어촌 뉴타운은 각종 생활편의 시설을 갖춘 전원주택 단지를 조성하여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을 공급한다. 농어촌 뉴타운은 귀농인의 주거 안정을 위해 각종 생활편의 시설을 갖춘 전원주택 단지를 조성하여 저렴한 가격에 공급한다.
농어촌 뉴타운의 추진 배경
- 도시화로 인한 농어촌 인구 감소
도시화로 인해 농어촌 인구가 감소하고, 농어촌의 활력이 저하되고 있다.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민의 귀농 유도를 통해 농어촌 인구 감소를 방지하고, 농어촌의 활력을 증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귀농인 증가
도시의 열악한 환경과 삶의 질에 대한 불만으로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민이 증가하고 있다. 농어촌 뉴타운은 귀농인에게 안정적인 정착 환경을 제공하여 귀농을 유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농어촌 활성화 필요성
농어촌의 인구 감소와 활력 저하를 방지하고, 농어촌을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농어촌 뉴타운은 농어촌의 인구 감소와 활력 저하를 방지하고, 농어촌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연구동향
박경정(2012)[2]은 농어촌 뉴타운의 풍수지리 분석에 대해 연구한 바있다. 본 논문은 향촌 신도시 건설사업에 풍수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5개 지구를 풍수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송천리, 장수, 전라북도만이 풍수 이론을 적용한 신도시 건설사업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4개 지구는 다양한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방리, 단양, 충청북도는 강변 위치로 인한 심한 바람 피해의 위험이 있으며, 월곡리, 고창, 전라북도는 홍수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엽평리, 장성, 전라남도는 물의 흐름이 부지에서 멀어지는 지역이며, 잠정리, 화순, 전라남도는 산비탈을 따라 습기 찬 논밭에 위치하고 있다. 신도시 건설사업의 경우 풍수 이론에 기반한 지형적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김종섭(2013)[3]은 도시민이 농어촌뉴타운으로 이주하는 영향요인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89개 샘플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 분석, 경로 분석을 실시했다. SP_JA는 도시 거주민이 농어촌새마을 지역으로 이주하는 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SP_JA는 SE_P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EW_JA는 농어촌새마을 지역에서 살고자 하는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김종섭(2014)[4]은 귀농정책으로서 농어촌뉴타운사업의 성공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농촌 마을 개발 사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농어촌새마을사업(RFNTP)은 대규모 마을을 건설하는 새로운 마을 개발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특히 2009년 30~40대 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RFNTP는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일환임을 알려준다.
박미란, 박헌춘, 김진욱, & 류연수(2015)[5]는 농어촌 뉴타운 공공임대주택 관리 분석을 통한 농촌형 임대주택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촌형 렌트하우스의 관리실태를 분석한 결과, 농촌형 렌트하우스는 대규모로 조성되고 지방정부에서 직접 관리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동관리와 결제방식에 대해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렌트하우스 관리 업무는 임대관리, 숙박관리, 세입자관리로 나눌 수 있다. 세입자관리는 생활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렌트하우스 입주자들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외부링크
- 정부 웹사이트: 농어촌뉴타운
각주
- ↑ NABIS 정책용어사전
- ↑ 박경정. (2012). 농어촌 뉴타운의 풍수지리 분석. 농어촌관광학회지, 19(1), 133-163.
- ↑ 김종섭. (2013). 도시민이 농어촌뉴타운으로 이주하는 영향요인. 국토계획, 48(3), 263-278.
- ↑ 김종섭. (2014). 귀농정책으로서 농어촌뉴타운사업의 성공요인과 개선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5), 51-73.
- ↑ 박미란, 박헌춘, 김진욱, & 류연수. (2015). 농어촌 뉴타운 공공임대주택 관리 분석을 통한 농촌형 임대주택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7(3), 5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