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가축매몰지 사후관리: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정리.png|섬네일|533x533px|<그림>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마인드맵 ]]
[[파일: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정리.png|섬네일|533x533px|<그림>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마인드맵 ]]
본 사례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축 매몰지의 사후 관리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가축 매몰지의 부적절한 관리는 수자원과 토양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2017년 기준으로 가축 매몰지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기간이 경과된 매몰지에 대한 사후관리가 허술해 추가적인 환경 오염과 2차 피해가 우려된다고 언급한다.
본 사례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축 매몰지의 사후 관리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가축 매몰지의 부적절한 관리는 수자원과 토양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2017년 기준으로 가축 매몰지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기간이 경과된 매몰지에 대한 사후관리가 허술해 추가적인 환경 오염과 2차 피해가 우려된다고 언급한다.




가축 매몰지로 인한 주요 문제는 침출수 유출로 인한 지하수와 하천의 오염이며, 이는 환경재난으로 인식되어 정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문서는 또한 정부가 매몰지 사후관리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가축 매몰지와 관련된 정책 및 기술적 대안의 개발을 통한 환경오염 방지와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가축 매몰지로 인한 주요 문제는 침출수 유출로 인한 지하수와 하천의 오염이며, 이는 환경재난으로 인식되어 정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문서는 또한 정부가 매몰지 사후관리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가축 매몰지와 관련된 정책 및 기술적 대안의 개발을 통한 환경오염 방지와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가축 매몰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9년에 시행된 '축산법 일부개정법률'과 같은 법적 조치, 그리고 친환경 동물 사체 처리기술의 개발 같은 기술적 진보가 언급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가축 매몰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축 매몰지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투명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지적한다.
이와 함께, 가축 매몰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9년에 시행된 '축산법 일부개정법률'과 같은 법적 조치, 그리고 친환경 동물 사체 처리기술의 개발 같은 기술적 진보가 언급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가축 매몰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축 매몰지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투명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지적한다.
91번째 줄: 91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김건하. (2011).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방법. ''한국환경농학회 워크샵자료'', ''2011''(1), 83-99.
* Gwon, Y. D. (2011). 가축매몰지 인근지역의 토양. 지하수 관리방안.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2), 2-8.
* 이승학, & 오명학. (2011). 가축매몰 관련 국외 연구사례 및 국내 구제역 매몰지 사후관리 방안. ''한국지반신소재학회지'', ''10''(2), 24-29.
* 조선일보, "구제역·AI 사체를… 농림부 "비료로 만들어 써라"", 2017.10.19
* 한겨레, "가축 매몰지 10곳 침출수 유출 우려…환경부 정밀조사 착수", 2019.10.19
* 한국경제, "'묻을 곳 없다'…경기도 10년간 조성 가축 매몰지 2천517곳", 2019.11.13
[[분류:정책이슈]]
[[분류:농림수산축산식품정책]]
[[분류:농림축산식품부]]

2024년 2월 25일 (일) 22:49 기준 최신판

개요

<그림>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마인드맵

본 사례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축 매몰지의 사후 관리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가축 매몰지의 부적절한 관리는 수자원과 토양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2017년 기준으로 가축 매몰지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기간이 경과된 매몰지에 대한 사후관리가 허술해 추가적인 환경 오염과 2차 피해가 우려된다고 언급한다.


가축 매몰지로 인한 주요 문제는 침출수 유출로 인한 지하수와 하천의 오염이며, 이는 환경재난으로 인식되어 정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문서는 또한 정부가 매몰지 사후관리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가축 매몰지와 관련된 정책 및 기술적 대안의 개발을 통한 환경오염 방지와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가축 매몰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9년에 시행된 '축산법 일부개정법률'과 같은 법적 조치, 그리고 친환경 동물 사체 처리기술의 개발 같은 기술적 진보가 언급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가축 매몰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축 매몰지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투명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지적한다.

이슈 심화 과정

문제 발생 (2010년)

  •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 급성 가축 전염병 발생
  • 대량 살처분 및 매몰로 인한 침출수 유출 우려 증가

환경 재난으로 인식되며 주요 이슈 쟁점으로 부상

문제 증폭 (2010-2015년)

  • 체계적이지 않은 매몰지 조성 및 관리로 인한 추가 환경 및 경제적 손실 발생
  • 침출수 유출로 인한 지하수, 하천 오염 지속
  • 정책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문제 해결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기

문제 심화 (2017년)

  •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있는 전국 매몰지 10곳 정밀 조사 실시
  • 환경 오염 및 2차 피해 우려 심화
  • 정부의 무능, 도시 고기 가격 상승 등 사회적 불안 야기

문제 완화 (2019년)

  • '축산법 일부개정법률' 시행
  • 친환경 동물 사체 처리 기술 개발
  • 침출수 관리 강화 및 환경 오염 방지 노력

이슈 주체별 입장

감사원

  • 정부의 과잉 대응 및 초기 대처 미흡 지적
  • 근본적인 방역 대책 마련 필요성 강조

국회입법조사처

  • 피해 농민, 방역 참여자, 지역 주민의 고통 및 환경 오염 문제 해결 필요성 강조
  • 친환경 사육 환경 개선 및 구제역 상시 방역 체제 구축 제안

환경부/농림부

  • 침출수 유출 문제 인지하며 환경 오염 방지 노력 강조
  • 침출수 정수 처리를 통한 수돗물 안전성 주장
  • 매몰 장소 기준 및 지침 혼란 문제 해결 필요성 제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 침출수 유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 환경 오염 가능성 최소화 노력

피해 지역 주민

  • 식수원 오염으로 인한 건강 및 생활 피해 우려
  • 정부의 책임 추궁 및 피해 보상 요구

해결 방안

친환경 동물 사체 처리 기술 개발 및 활용

  • 초고온 미생물 활용 기술 개발
  • 매몰 시간 단축, 토양 오염 방지, 악취 제거 효과

침출수 관리 강화 및 환경 오염 방지

  • 침출수 처리 시설 확충 및 관리 시스템 개선
  • 지하수, 하천 오염 방지 위한 정밀 모니터링 실시

정부 및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

  • 정보 공유 및 정책 연계 강화
  • 신속하고 효율적인 문제 해결 체계 구축

사전 예방 및 대비 강화

  • 방역 시스템 개선 및 백신 개발 투자
  • 전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 위한 노력 지속

피해 농민 및 지역 주민 지원

  • 경제적 피해 보상 및 정신적 고통 해소 위한 노력
  • 소통 및 협력 증진을 통한 이슈 해결

참고문헌

  • 김건하. (2011).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방법. 한국환경농학회 워크샵자료, 2011(1), 83-99.
  • Gwon, Y. D. (2011). 가축매몰지 인근지역의 토양. 지하수 관리방안.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2), 2-8.
  • 이승학, & 오명학. (2011). 가축매몰 관련 국외 연구사례 및 국내 구제역 매몰지 사후관리 방안. 한국지반신소재학회지, 10(2), 24-29.
  • 조선일보, "구제역·AI 사체를… 농림부 "비료로 만들어 써라"", 2017.10.19
  • 한겨레, "가축 매몰지 10곳 침출수 유출 우려…환경부 정밀조사 착수", 2019.10.19
  • 한국경제, "'묻을 곳 없다'…경기도 10년간 조성 가축 매몰지 2천517곳", 2019.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