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국립대학 운영지원: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Sinhae (토론 | 기여)
Sinhae (토론 | 기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60번째 줄: 660번째 줄:
=== <big>다. 프로그램 예산</big> ===
=== <big>다. 프로그램 예산</big> ===
□ 예산사업 내역
□ 예산사업 내역
:
{| class="wikitable"
|+
!구분
!단위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산
!전년이월
!이·전용 등
!예산현액
(A)
!결산
(B)
!집행률
(B/A)
|-
| rowspan="26" |2023
| rowspan="2"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서울대학교
출연지원
|0
|0
|0
|0
|0
|0
|-
|인천대학교
출연지원
|0
|0
|0
|0
|0
|0
|-
| rowspan="7" |국립대학
교육기반조성
|국립대학실험실습
기자재확충
|0
|0
|0
|0
|0
|0
|-
|국립대학 조교
연구성과금 지원
|0
|0
|0
|0
|0
|0
|-
|특수목적대학
실습지원
|0
|0
|0
|0
|0
|0
|-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0
|0
|0
|0
|0
|0
|-
|국립대학육성사업
|0
|0
|0
|0
|0
|0
|-
|국립대학교수보직
수행경비지원
|0
|0
|0
|0
|0
|0
|-
|국립대학
정보통신(ICT)
고도화사업(정보
화)
|0
|0
|0
|0
|0
|0
|-
| rowspan="2" |국립대학
시설확충
|국립대학
시설확충
|0
|0
|0
|0
|0
|0
|-
|국립대학
노후선박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0
|0
|0
|0
|0
|0
|-
|국립대학병원
여건개선
|국립대병원 지원
|0
|0
|0
|0
|0
|0
|-
| rowspan="8" |국립대학
교육기반조성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162,288
|0
|0
|162,288
|162,288
|100.0
|-
|국립대학육성사업
|458.000
|0
|0
|458.000
|458.000
|100.0
|-
|국립대학실험실습
기자재확충
|327.881
|0
|0
|327.881
|324.896
|99.1
|-
|국립대학교수보직
수행경비지원
|19.213
|0
|0
|19.213
|19.120
|99.5
|-
|국립대학 조교
연구성과금 지원
|1.962
|0
|0
|1.962
|1.961
|100.0
|-
|특수목적대학
실습지원
|9.049
|0
|0
|9.049
|9.028
|99.8
|-
|국립대학
정보통신(ICT)
고도화사업(정보
화)
|13.896
|0
|0
|13.826
|13.723
|99.3
|-
|국립대학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정보화)
|67
|0
|0
|67
|65
|97.3
|-
| rowspan="2" |국립대학
시설확충
|국립대학
시설확충
|1,001,853
|144
|0
|1,001,997
|994,077
|99.2
|-
|국립대학
노후선박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62,126
|0
|0
|62,126
|60,410
|97.2
|-
| rowspan="2"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서울대학교
출연지원
|577,490
|0
|0
|577,490
|577,490
|100.0
|-
|인천대학교
출연지원
|117,698
|0
|0
|117,698
|117,698
|100.0
|-
|국립대학병원
여건개선
|국립대병원 지원
|78,833
|0
|0
|78,833
|62,296
|79.0
|-
| colspan="2" |소계
|2,830,286
|144
|0
|2,830,430
|2,801,053
|99.0
|}
::
::


708번째 줄: 988번째 줄:


- 학생 1인당 교육비: 대학정보공시 통계 활용
- 학생 1인당 교육비: 대학정보공시 통계 활용
{| class="wikitable"
|+
!성과지표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목표대비
달성률
!'20년
!'21년
!'22년
!'23년
|-
| rowspan="3" |국립대학
노후시설 개선
정도
(%)
| rowspan="3" |ㅇ 측정산식 : 국립대 노후시 설 개선 정도 = ’02년 이 후 신규로 반영된 개축 및 리모델링 누적 연면적 / ’21년 이전 30년 이상 건 축물 연면적 * 100%
※`02년 이후 신규로 반 영된 개축 및 리모델링 누적 연면적 : 리모델 링 및 개축 실적을 파 악할 수 있어 ’02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실적은 예산 반영 연도 를 기준으로 산출
|목표
| -
| -
|21.6
|26.0
|-
|실적
| -
| -
|24.9
|28.0
|-
|달성률(%)
| -
| -
|115.3
|107.7
|-
| rowspan="3" |국립대학
실험실습기자재
운영 만족도
(점)
| rowspan="3" |ㅇ 측정산식 : 실험실습 기 자재 활용 개선에 대한 만족도 설문 조사
※리커트  척도(5점  만점) 합산 후 100점 환산
|목표
|76
|80
|82.5
|88
|-
|실적
|79.7
|87.4
|90.3
|88.3
|-
|달성률(%)
|104.9
|109.3
|109.5
|100.3
|-
| rowspan="3" |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
증가율
(%)
| rowspan="3" |ㅇ 측정산식 : 국립대학 1인 당 교육비 증가율(%) = (A / B) × 100
- A (해당연도 국립대학 학 생 1인당 교육비 – 전 년도 국립대학 학생 1인 당 교육비)
- B  (전년도  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
|목표
|3
|3
|3
|9.1
|-
|실적
|3.2
|5.9
|9.1
|10.4
|-
|달성률(%)
|106.7
|196.7
|303.3
|114.3
|}


== 3. 문제점과 대안 ==
== 3. 문제점과 대안 ==

2024년 12월 15일 (일) 19:50 기준 최신판

1. 교육부 정책현황

가. 기능별 예산 현황

<교육부 최근 5년(2021-2025)간 예산 총괄표>

[단위: 억 원]

구분 ‘21년 예산 ‘22년 예산 ‘23년 예산 ‘24년 예산 ‘25년 예산
본예산 제 1회 추경 제 2회 추경
□ 총지출 764,644 766,290 831,330 896,251 1,019,978 957,888 1,048,767
◦ 예산 708,190 709,836 773,789 838,149 959,936 896,146
◦ 기금 56,454 56,454 57,540 58,101 60,042 61,742
【교육분야】 709,706 711,352 775,308 838,983 960,157 895,665 981,906
▪ 유아 및 초·중등교육 586,374 587,351 651,009 707,300 809,119 737,290 813,807
(지방교육재정교부금) 532,300 532,300 595,957 650,595 757,606 688,732 722,794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39,167 39,167 39,167 38,290 34,700 32,106
▪ 고등교육 111,455 112,123 112,125 119,008 135,134 144,772 155,574
▪ 평생·직업교육 10,533 10,533 10,829 11,315 14,406 12,162 11,023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 - - - 93,773 150,411 158,718
▪ 교육일반 1,343 1,343 1,343 1,358 1,495 1,440 1,501
【사회복지분야】 54,938 54,938 56,022 57,267 59,821 62,223 65,661
▪ 기초생활보장 1,030 1,030 1,030 1,221 1,573 1,603 1,652
▪ 공적연금 53,907 53,907 54,992 56,045 58,248 60,619 64,010
【보건분야】 - - - - - - 1,201

※ 총지출 = 총계(일반회계 + 특별회계 + 기금) - 내부거래 – 보전지출

2025년도 예산 주요 증액 사업

1. 청년의 미래 도약을 뒷받침하는 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전년 대비 +5,929억원)

  • 국가장학금 대상(9구간) 확대 100만명 → 150만명(+50만명) +3,878억원
  • 근로장학금 지원 확대 14만명 → 20만명(+6만명) +1,667억원
  • 기초·차상위 대상 주거안정장학금 월20만원 신설 +344억원
  • 희망사다리 장학금 등 (3만명→3.15만명) +40억원

2. 의대 증원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의대 교육 선진화 4,879억원

  • 국립대학 시설·기자재 지원  1,508억원
  • 국립대 교수인건비 지원  260억원
  • 국립대 병원 지원  829억원
  • 의대 교육혁신지원  551억원
  • 사립대 의대 교육환경 개선 융자·이자지원  1,728억원

3.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본격 추진을 위한 2조원 편성 (’25년 2조 10억원. 전년 대비 +7,985억원)

  • 지역-대학 동반성장을 위해 대학재정지원 체계를 재구조화*하여 지역주도의 대학지원체계 2조원 규모로 본격 추진
*기존 대학재정지원 사업 이관통합 등

4. 국가책임 교육·돌봄 실현을 위한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지원 (전년 대비 +320억원)

  • 부처 협업형 늘봄 프로그램 개발 지원  108억원
※ 16개 타부처·청 예산에 반영, 교육부 협업예산 총괄
  • 지역협력기반 늘봄 프로그램 지원  212억원
※ RISE체계 내 예산반영

나. 정책방향 및 주요사업 (2025년도 재정운용 방향)

(1). 유아·초·중등교육 부문

  • 디지털교육혁신과 국가책임교육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생들의 핵심 역량을 함양
재정 운용 전략

1) 디지털 기반·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

  • 미래 인재 양성
∙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자기주도적 학생 양성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보급 및 지속적 관리
∙ 정보교육 강화와 교원 연수·컨설팅으로 융합인재 양성

2) 특수교육 및 학생 건강 증진 지원

  • 특수교육 강화
∙ 장애학생,학부모,교원 대상 특수교육 지원으로 교육 질 향상
  • 학생 정신건강 지원
∙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운영으로 교육자료·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제공

3) 디지털 교육 기반 강화

∙ 초중등 ICT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 학술정보 공유·유통과 교육행정·재정서비스 선진화
∙ 안전한 사이버 교육 환경 구축

4) 수요자 중심 보육서비스 지원

  • 양질의 보육환경 조성
∙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과 보육교사 전문성 강화
  • 부모 부담 완화
∙ 영유아보육료·시간제 보육 지원으로 안심 보육서비스 제공

5) 스마트 학습환경 전환

∙ 디지털 전환 시대 대비
∙ 스마트 학습환경 구축 및 미래교육 대비 학교시설 인프라 지원

6) 국립학교 역량 강화

∙ 국립대학부설학교 및 특수학교 운영 예산 지원
∙ 학생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기반 마련
주요 사업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구분 성과지표수 예산
Ⅰ-1 디지털 기반·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자기주도적 미래인재 양성을 지원

(학교교육과정 운영 지원)

1개 19,010
Ⅰ-2 특수교육 지원 및 학생건강증진 기반 마련을 통해 학생지원의 질적 개선을 도모

(학생지원)

1개 32,830
Ⅰ-3 디지털 교육 기반 강화를 통해 학교교육을 지원

(학교교육 지원)

1개 45,821
Ⅰ-4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지원을 통해 양질의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미래 교육을 대비한 스마트 학습환경 전환 지원을 강화

(지방교육정책 지원)

2개 5,660,614
Ⅰ-5 국립학교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을 통해 국립학교의 역량을 강화

(국립학교 운영)

1개 61,635

(2). 고등교육 부문

  • 고등교육의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공공성과 경쟁력을 강화
재정 운용 전략

1) 대학 평가체제 개편 및 대학 경쟁력 강화

  • 대학 자율적 발전과 경쟁력 강화
∙ 대학 평가체제를 개편하여 자율역량과 재정지원 확대
∙ 국립대 간 상생협력 체제 구축 및 공적 역할 강화 지원
∙ 고등교육 프로그램 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 기관 역량 강화 및 교육국제화 지원

2)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제 개편

  •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지원
∙ 지자체 주도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지원
∙ 맞춤형 교육 발전 및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

3) 인문사회·이공분야 학술연구 역량 제고

  • 학술연구 진흥 및 역사 왜곡 대응
∙ 창의성을 고려한 맞춤형 연구 지원으로 연구경쟁력 강화
∙ 학술지 질적 수준 향상 및 연구성과 국제화 지원
∙ 연구문화 정착 및 학술연구 인프라 강화
∙ 동북아 역사 왜곡 대응 및 한국사 연구 기반 구축

4)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는 고등교육 기회 보장
∙ 학자금 지원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누구나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

5) 국립대학 교육경쟁력 강화

  • 맞춤형 재정 지원
∙ 국립대학 시설 개선 및 맞춤화된 기관 운영 지원

6) 사립학교 교육환경 개선 및 폐교대학 청산

  • 사립학교와 폐교대학 지원 강화
∙ 사립대학 교육시설 개선 및 재정 여건 개선
∙ 행복기숙사 건립 및 대학생 거주 환경 개선
∙ 폐교대학 청산 절차를 위한 자금 융자 지원
주요 사업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구분 성과지표수 예산
Ⅱ-1. 대학의 기능개선 및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한 미래 교육역량 및 현장성을 강화

(대학교육 역량 강화)

1개 220,984
Ⅱ-2. 재정지원확대 등을 통한 대학혁신 및 구조 개혁지원으로 대학의 자율적 경쟁력을 제고

(대학 자율역량 강화)

1개 3,410,468
Ⅱ-3. 인문사회 및 이공분야 연구역량 강화와 연구자 육성을제고하고, 학술연구진흥기반, 역사 왜곡 대응방안을 마련

(학술연구역량 강화)

1개 1,042,854
Ⅱ-4. 맞춤형 국가정학 제도기반조성을 통해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기회를 장할 수 있도록 학비 부담 완화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기반 조성)

1개 5,721,292
Ⅱ-5. 교육기반지원, 물리적 환경개선 등을 통해 국립대의 공공성 및 경쟁력을 강화

(국립대학운영지원)

1개 2,865,97
Ⅱ-6. 사립학교교육 시설 확충, 자금융자지원으로대학교육역량을 강화

(대학교육역량강화(기금, 융자)

1개 248,000

(3) 평생·직업·국제화 교육 부문

  • 평생교육혁신과 국제교육 협력 기반 조성으로, 평생학습역량과 국제화역량을 강화
재정 운용 전략

1) 진로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활성화

  • 글로벌 인재 발굴 및 육성
∙ 글로벌 인재포럼 운영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발굴 및 육성 방안 모색
∙ 대한민국 인재상을 통한 청년 인재 발굴·지원
∙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를 통한 공공기관의 투자 촉진
  • 체계적 진로교육 제공
∙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으로 체계적 진로교육 및 대국민 종합서비스 제공

2)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기반 확충

  • 평생학습 기회 확대
∙ 국민 누구나 원하는 시기에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 마련
∙ 취약계층 및 성인학습자에게 재도약 기회 제공
  •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 생애단계별·계층별 맞춤형 평생학습 실현
∙ 지역 주민 요구를 반영한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3) 국제협력을 통한 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교육협력 강화
∙ 양자·다자간 교육협력 및 세계시민교육 확산
∙ 개도국 교육 ODA 지원 및 재외국민 교육 강화
  • 한국교육 우수성 홍보
∙ 해외 한국어 보급 확대를 통해 한국교육의 우수성을 세계로 전파

4) 글로벌 인재양성 및 인적교류 지원

  • 해외 인재 유치 및 지원
∙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사업 및 외국인 유학생 유치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운영으로 해외 인재 유치
  • 국내 인재 해외 진출 지원
∙ 국비 유학 및 국제교육 교류를 통한 국내 인재의 글로벌 진출 지원

5) 산학협력을 통한 직업교육 경쟁력 강화

  • 직업교육 활성화
∙ 고교 기술·기능 인재의 역량 강화 및 고졸 취업 활성화 지원
∙ 산학연 협력으로 고등교육의 사회 수요 맞춤형 발전 도모

6) 데이터 기반 정책수립 및 국제교육 정보화 협력

  • 디지털 교육 선도
∙ 디지털 교육 경험·노하우 전수로 글로벌 지식 격차 해소 기여
  • 정책 및 연구 지원
∙ 교육정보 통계자료 수집·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 활성화
주요 사업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구분 성과지표수 예산
Ⅲ-1. 인재양성‧인적자원개발 관련 의제발굴 및 정책 활성화를 통해 미래인재 양성정책기반을 강화

(인적자원정책 기반강화)

1개 1,256
Ⅲ-2. 평생학습사회실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학습자맞춤형 평생학습을 지원

(평생직업교육체제구축)

1개 72,707
Ⅲ-3. 국제교류협력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

(국제교육협력 증진)

1개 150,414
Ⅲ-4.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국가와의 인적교류를 지원

(국립국제교육원지원)

1개 162,232
Ⅲ-5. 산학 협력을 통해 중·고등교육단계직업교육의 전문성 및 취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산학연 협력 활성화)

1개 693,140
Ⅲ-6. 교육 혁신 및 국제교육협력기반조성을 위해 교육데이터를 개방, 활용하고 디지털교육 노하우를 전수

(정보활용 활성화지원)

1개 13,443

(4). 교육일반 부문

  • 최고의 교육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협력을 강화
재정 운용 전략

1)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극대화

  • 정책 홍보 및 민원서비스 강화
∙ 대외 정책 이해도 향상 및 대내 정책 공감대 형성
  • 정보보호 및 행정 효율성 증대
∙ 체계적 정보보호 서비스로 안전한 환경 구축
∙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한 업무 생산성 극대화

2) 저소득층 맞춤형 교육지원 확대

  • 교육비 부담 경감
∙ 교육급여 지원 단가 인상을 통해 학부모 부담 완화
  • 성장·자립 지원
∙ 저소득층 학생 대상 장학금 및 교육프로그램 지원

3) 교직원 사회경제적 지원체계 구축

  • 안정적 노후생활 보장
∙ 효율적 연금기금 운용으로 교직원의 안정적 생활 지원
  • 후생복지 및 경제적 안정 지원
∙ 후생복지 및 경제적 안정 지원
주요 사업
(단위:개, 백만원)
프로그램 목표
구분 성과지표수 예산
Ⅳ-1. 교육행정 정보화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교육 협력‧소통 강화로 정책의 현장 착근에 기여

(교육행정지원)

1개 20,834
Ⅳ-2. 저소득층 맞춤형 교육지원을 확대하여 학부모 부담을 경감하고, 교육의 공공성 및 기회보장을 확대

(기초생활보장)

1개 190,996
Ⅳ-3. 연금기금 운용을 통한 연금 및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교직원의 생활안정과 복지를 증진하고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

(사립학교교직원 연금제도 및 기금 운용)

1개 583,370

2. “국립대학 운영지원” 예산 및 정책 분석

가.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목표

지역대학인 국립대학이 국가균형발전의 거점기관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립대학의 교육ㆍ연구 경쟁력 및 공공성을 강화한다.

프로그램 필요성

(1) 국립대학 교육기반 조성

ㅇ 지역대학인 국립대학이 국가균형발전의 거점기관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연구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ㅇ 국립대학법인(서울대·인천대) 지원을 통해 교육ㆍ연구ㆍ취업역량 제고

ㅇ 코러스를 연계한 대학 통합 기록관리시스템 구축으로 대학 기록물의효율적인 기록정보 활용 및 관리 강화

ㅇ 국가차원의 특정분야 우수인재 양성 및 장애학생 교육지원

(2) 국립대학 시설확충

ㅇ 부족한 시설의 확충 및 노후시설의 보수 등 교육환경 개선을 통해 교육․연구에 필요한 물리적 환경개선을 지원

(3) 국립대학병원 여건 개선

ㅇ 국립대학병원의 노후시설 보수 및 의료장비 확충을 통해 의학발전과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

나. 주요 단위사업

사업성과 분석

(1) 국립대학 지원 사업 성과 강사 처우 개선: 국립대학 강사들의 강의료, 방학 중 임금, 퇴직금을 지원하여 강사 제도 안착 및 고등교육 질 향상에 기여 교육·연구 환경 개선: 실험실습 기자재 확충, 노후 시설 개선 등을 통해 교육·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연구 성과의 질을 향상 대학 자율성 확대: 대학별 자율성과지표를 수립하여 대학의 자율적인 성과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 간 경쟁을 유도하여 교육·연구 성과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지원 특수목적대학 지원: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실습 지원을 통해 특수목적대학의 설립 목적 달성에 기여 정보화 시스템 고도화: 클라우드 전환, 고속전산망 구축 등을 통해 정보통신 인프라를 고도화하여 교육·연구 환경을 개선 시설 확충: 노후 시설 개선을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시설 운영 효율성을 높임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국립대학법인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지원

(2) 구체적인 성과 37개 국립대학에 총 162,288백만원을 지원하여 강사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안정적인 강의 환경을 조성했으며 서울대는 QS 세계대학평가 순위가 상승했고, 인천대는 취업률 1위, 학생 창업 1위를 달성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보임

1) 사업운영의 우수성

□ 목표달성 과정 및 방법

ㅇ (국립대학 교육기반조성) 국립대학이 지역 교육·연구·혁신의 거점으로서상생 및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적 역할 강화를 집중 지원- 국립대학(법인) 실험실습기자재 및 시설 예산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교육·연구활동을 위한 환경 최적화

ㅇ (국립대학 시설 확충) 대학 노후 시설물의 질적 개선 유도 및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시설사업 예산투자 확대* 시설예산투자현황(재정) : (’20년) 6,767억원→(`21년) 7,510억원→(`22년) 7,010억원→(`23년) 10,019억원시설 BTL 투자현황(한도액) : (’21년) 1,758억 원 → (`22년) 2,881억 원 → (`23년) 2,268억 원

ㅇ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발전가능성 있는 우수연구자 지원 정책을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ㅇ (국립대학병원 여건 개선) 응급시설 등 시설・장비를 확충하여 진료환경 개선및 국립대학병원 적극적 공적 역할을 위한 공공성 강화 정책 추진

2) 사업효과의 우수성

□ 전략목표 달성 기여도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ㅇ 국립대학 37개교에 강의료(142,049백만원), 방학중임금(13,738백만원) 및 퇴직금(6,501백만원)을 지원하여 대학 강사제도의 안착 및 고등교육의 질 제고<국립대학육성사업>

ㅇ 국립대학이 지역 교육·연구·혁신의 거점으로서 지역상생 및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적 역할 강화를 집중 지원

ㅇ 국립대학의 대학별 자율성과지표를 수립하여 체계적 성과관리 체제 구축․운영- 157 -<국립대학 실험실습 기자재 확충>

ㅇ 노후 실험실의 안전환경개선 지원과 기자재 교체로 안전한 실험·실습 환경 조성 및 연구성과의 질적 제고 기여<국립대학 교수보직수행 경비지원>

ㅇ 국립대학 전임교원이 보직 수행함에 있어, 대학별 총액배분을 통한 자율적・효율적 운영 지원<국립대학 조교 연구성과금 지원>

ㅇ 국립대학의 교육·연구력 향상을 위한 인적·물적 기반 확충을 지원

ㅇ 대학의 자율적 책임·운영 체제를 구축하여 대학 간 경쟁을 유도함으로써교육·연구 성과의 다양화·특성화 지원 <특수목적대학 실습지원>

ㅇ 현장에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한 맞춤형 학생 실험실습비 및 교육환경기반구축비를 지원하여 특수목적대학의 설립과 운영 목적 달성에 기여※ (한국체육대)체육특기생 전지훈련 지원, (한국복지대)장애학생 맞춤형 실습교육 지원, (한국교통대)항공운항과 실습지원, (한국체육대·한국교원대)법정경비(급식비) 지원 등<국립대학 정보통신(ICT) 고도화사업(정보화)>

ㅇ 클라우드 전환 지원은 ‘20년 LMS 및 CDN 서비스 중심에서 웹메일,대학홈페이지, 백업 및 협업시스템 등으로 확산하여 다양한 분야로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이용 확대

ㅇ 고속전산망 구축은 노후 네트워크 장비 및 관련 보안장비 신규구매를 통하여 전체 보유 정보자원 대비 노후화율*을 낮춤* (ʹ21년) 25.9% → (ʹ22년) 25.0% → (ʹ23년) 21.0% 낮춤<국립대학 시설확충>

ㅇ 노후시설의 개축 및 리모델링 등 교육환경 개선을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교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

ㅇ 노후시설 질적 개선과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통해 관련 위험요소 제거 및 사용자 만족도 제고- 158 -<국립대학법인 운영지원>

ㅇ 국립대학법인 대학교가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지식 공동체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립대학법인 운영예산 지원ㅇ (서울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 QS 세계대학평가 순위가 지속 상승하여 세계 30위권 도달· ('04년) 118위 →('11년) 42위 →('20년) 37위 →('21년) 36위 →(’22) 29위- 연구의 질적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논문당 피인용 건수 지속 증가 · ('17년) 9.9 → ('19년) 12.0 → ('20년) 13.2 → ('21년) 15.1 → (’22) 16.3

ㅇ (인천대) 거점 국립대 대비 인천대학교 취업률 순위 1위 달성- 단계별 진로취업프로그램(S-T-A-R)운영으로 진로설정에서 취업까지,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정립하여 교육효과 및 취업률 제고- 단과대학 취업률 제고사업, 전공취업동아리 등 총 35개의 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과 1:1 진로취업 상담 등 취업역량강화사업을 시행, 거점 국립대와 비교하여 11개교(거점국립대 10개교+인천대학교) 중취업률 1위(70.6%) 달성

ㅇ (인천대) 학생 창업 전국 국립대학교 중 1위 (61명)ㅇ (인천대) 세계적 연구트렌드를 파악하여 연구실적 제고- 전임교수 1인당 SCI급 논문 실적 ('22년) 0.60건 → ('23년) 0.58건· 전국대학 평균 0.25건, 국공립대학 평균 0.44건 - 학술지별 IF지수, JCR 순위비율 등 각종 데이터 활용하여 논문의 질적 향상 지원· SCI급 저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세계적 학술정보 데이터, 논문 인용지수 등 연구 트렌드 분석 및 고급정보 검색과 분석데이터를 제공하여 교내 연구실적의 질적 향상에 기여

다. 프로그램 예산

□ 예산사업 내역

구분 단위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산 전년이월 이·전용 등 예산현액

(A)

결산

(B)

집행률

(B/A)

2023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서울대학교

출연지원

0 0 0 0 0 0
인천대학교

출연지원

0 0 0 0 0 0
국립대학

교육기반조성

국립대학실험실습

기자재확충

0 0 0 0 0 0
국립대학 조교

연구성과금 지원

0 0 0 0 0 0
특수목적대학

실습지원

0 0 0 0 0 0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0 0 0 0 0 0
국립대학육성사업 0 0 0 0 0 0
국립대학교수보직

수행경비지원

0 0 0 0 0 0
국립대학

정보통신(ICT)

고도화사업(정보

화)

0 0 0 0 0 0
국립대학

시설확충

국립대학

시설확충

0 0 0 0 0 0
국립대학

노후선박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0 0 0 0 0 0
국립대학병원

여건개선

국립대병원 지원 0 0 0 0 0 0
국립대학

교육기반조성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162,288 0 0 162,288 162,288 100.0
국립대학육성사업 458.000 0 0 458.000 458.000 100.0
국립대학실험실습

기자재확충

327.881 0 0 327.881 324.896 99.1
국립대학교수보직

수행경비지원

19.213 0 0 19.213 19.120 99.5
국립대학 조교

연구성과금 지원

1.962 0 0 1.962 1.961 100.0
특수목적대학

실습지원

9.049 0 0 9.049 9.028 99.8
국립대학

정보통신(ICT)

고도화사업(정보

화)

13.896 0 0 13.826 13.723 99.3
국립대학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정보화)

67 0 0 67 65 97.3
국립대학

시설확충

국립대학

시설확충

1,001,853 144 0 1,001,997 994,077 99.2
국립대학

노후선박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62,126 0 0 62,126 60,410 97.2
국립대학법인

운영 지원

서울대학교

출연지원

577,490 0 0 577,490 577,490 100.0
인천대학교

출연지원

117,698 0 0 117,698 117,698 100.0
국립대학병원

여건개선

국립대병원 지원 78,833 0 0 78,833 62,296 79.0
소계 2,830,286 144 0 2,830,430 2,801,053 99.0

라. 성과지표

1. 노후시설 개선

목표: 30년 이상 된 건축물 리모델링/개축 면적을 늘려 노후 시설 개선

지표: 30년 이상 된 건축물 대비 리모델링/개축된 면적 비율

방법: 매년 시설확충비로 반영된 리모델링/개축 면적 산출

목표치: 2023년 26.0% (2022년 대비 4.4% 상승)

2. 실험실습기자재 운영 만족도

목표: 실험실습기자재 이용 편의성, 신속성, 공동이용률 향상

지표: 실험실습기자재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방법: 국립대학 23곳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 (리커트 5점 척도)

목표치: 2023년 88점 (최근 3년 평균 목표치 증가율 및 실적 달성률 고려)

3. 학생 1인당 교육비 증가율

목표: 학생 1인당 교육비 증가를 통한 교육 투자 확대

지표: 학생 1인당 대학회계, 발전기금회계 등 투입 비용 증가율

방법: 대학정보공시 통계 활용

목표치: 2023년 9.1% 증가 (2022년 실적 고려)

4. 주요 내용

매년 시설확충비를 투자하여 노후 건물을 개선하고 있고 학생 및 연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기자재를 지속적으로 구입하고 있다. 또 교육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학생 1인당 교육비를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다.

5. 측정 방법

- 노후시설: 시설확충비로 반영된 리모델링/개축 면적 산출

- 실험실습기자재: 국립대학 23곳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

- 학생 1인당 교육비: 대학정보공시 통계 활용

성과지표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목표대비

달성률

'20년 '21년 '22년 '23년
국립대학

노후시설 개선

정도

(%)

ㅇ 측정산식 : 국립대 노후시 설 개선 정도 = ’02년 이 후 신규로 반영된 개축 및 리모델링 누적 연면적 / ’21년 이전 30년 이상 건 축물 연면적 * 100%

※`02년 이후 신규로 반 영된 개축 및 리모델링 누적 연면적 : 리모델 링 및 개축 실적을 파 악할 수 있어 ’02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실적은 예산 반영 연도 를 기준으로 산출

목표 - - 21.6 26.0
실적 - - 24.9 28.0
달성률(%) - - 115.3 107.7
국립대학

실험실습기자재

운영 만족도

(점)

ㅇ 측정산식 : 실험실습 기 자재 활용 개선에 대한 만족도 설문 조사

※리커트  척도(5점  만점) 합산 후 100점 환산

목표 76 80 82.5 88
실적 79.7 87.4 90.3 88.3
달성률(%) 104.9 109.3 109.5 100.3
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

증가율

(%)

ㅇ 측정산식 : 국립대학 1인 당 교육비 증가율(%) = (A / B) × 100

- A (해당연도 국립대학 학 생 1인당 교육비 – 전 년도 국립대학 학생 1인 당 교육비)

- B  (전년도  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

목표 3 3 3 9.1
실적 3.2 5.9 9.1 10.4
달성률(%) 106.7 196.7 303.3 114.3

3. 문제점과 대안

1) 문제점

ㅇ 국립대학 강사처우개선, 국립대학 교수보직수행경비, 국립대학조교 연구 성과금 지원, 국립대학 시설 확충, 국립대학노후선박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국립대병원 지원 사업은 각각 타 사업과 유사중복성이 없으므로 현행 유지가 필요함

ㅇ 국립대학 운영지원사업의 실험실습기자제 화충사업과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실험실습기자재비 간 유사중복성 있으나, 실험실습기자재 확충사업은 대학 전체 차원에서의 확중 수요의 일부만 지원하고, 국립대학 육성사업에서는 특정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실험실습기자재확충비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유사중복성 정도는 낮음

ㅇ 서울대학교 출연지원 예산과 국립대학 지원 예산 간의 비교를 통해 양 사업의 적정 규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ㅇ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지역사회기여 과제는 대학혁신지원사업, LINC+ 사업과 유사한 세부사업이 일부 포함되고 그 예산 비중은 매우 미미하나, 본중점과제의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세부사업의 조정이 필요함

ㅇ 고등교육기회확대 과제는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유사한 세부사업을 일부 포함하며, 고교교육 기여대학사업과 유사한 세부사업을 일부 포함하므로 사업의 계속 여부는 재검토가 필요함

ㅇ 기초보호학문 및 특화학문분야 육성 과제는 타 재정지원사업과 유사중복이 거의 없으나, 특화학문 분야에 대한 지원은 국립대학의 본연의 역할로 보기 어렵고, 타 사업 간 유사중복의 우려가 있으므로 재검토가 필요함

ㅇ 지역 및 대학협력 네트워크 환성화 과제는 대학혁신지원사업, LINC+

업과 유사한 세부사업이 일부 포함되므로, 본 중접과제의 성격에 부함하지 않는 세부사업의 조정이 필요함

ㅇ 특화전략 및 발전모텔 구축 과제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차별화된 중점과제로서의 독자성이 미흡하므로, 본 중점과제의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세부사업의 조정이 필요함

ㅇ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국립대학은 국립대학 육성사업과의 효율적인 연계 또는 사업 간 명확한 세부내용 분담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고등교육기회 확대 중점과제의 폐지를 고려할 수 있음

ㅇ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사업이 대학혁신지원사업 또는 국립대학육성사업과 유사성이 있음. 그러나,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사업과 같은 개인단위 사업이 대학혁신지원사업과 국립대학 육성사업과 같은 기관(대학)단위 사업에 통합될 경우, 동  프로그램의 운영 여부는 대학의 자율선택사항이므로 학생들의 기회가 감소된 가능성 있음을 고려해야 함

ㅇ 고등교육의 국제화 지원사업(학생 해외 교육연수, 학생 해외 교육봉사,국내.외 국제교육 실습, 다문화 현장실습 및 멘토링 등)은 대학혁신지원사업,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세부사업과 일부 유사하므로 동 사업은 통합조정 필요

ㅇ 대학창업 활성화사업 참여 대학은 대학혁신지원사업과의 효율적인 연계또는 사업 명확한 세부내용의 분담 필요

2) 대안

(1) 상위계획의 보강 필요성

ㅇ 필수적 경비 부분에 대해서도 상위계획에 기본철학과 방향성, 구조변화 계획 등을 밝히고, 이에 바탕한 에산편성이 이루어져야할 것임

(2) 성과지표 개선

ㅇ (노후선박 건조 및 승선실습 지원) 정부 지원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를 성과지표를 설정한 것은 합리적인 것이라 보기 어려운 만큼 지표의 개선이 필요함

ㅇ (국립대 병원 지원) 대학병원별 만족도와 평가결과를 측정할 필요,

예산 지원규모 산정시 성과평가 결과 반영 필요

(3) 국립대학 운영지원사업 통합/조정

ㅇ (국립대학 강사 처우개선) 강사처우개선을 위해 추가로 소요되는 금액의 정부:대학의 분담비율은 약 70%:30% 비중이나, 대학은 10년 이상 등록금 동결로 이를 위한 추가 소요 재원 마련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 분담비율(70%) 상향조정 필요. 비전업강사에 대한 차별시정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의 예측에 어려움이 있으며, 비전업강사의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추가 재원 마련은 큰 부담이 되는 만큼 대학별 상황에 따라 정부 지원 확대 검토

ㅇ (국립대학 실험실습기자재 확충)  '19년 예산 대비 '20년 예산은 127.3% 대폭 증가하였으나, 대학 기자재의 적기 교체를 위한 예산 지원은 여전히 불충분한 수준임을 감안하여 예산 확대 검토

참고 문헌

  • 교육부. (2022).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3). 2023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1). 2021년도 성과보고서.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2). 2022년도 성과보고서.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3). 2023년도 성과보고서.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4). 2024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교육부. (2025). 2025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2020년 재정사업 심충평가: 국립대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