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가운데|섬네일|700x700픽셀 == 개요 == 고령화 사회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2011년 12월, 동네의원을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 계획을 확정하였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시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파일: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 건강관리 강화 정리.png|섬네일|766x766px]] | |||
고령화 사회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2011년 12월, 동네의원을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 계획을 확정하였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시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해주고, 환자 관리가 잘되는 의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대형병원 이용 시 본인부담금과 약제비 증가로 인해 의료계와 일부 환자들의 반대가 시작되었다. | 고령화 사회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2011년 12월, 동네의원을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 계획을 확정하였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시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해주고, 환자 관리가 잘되는 의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대형병원 이용 시 본인부담금과 약제비 증가로 인해 의료계와 일부 환자들의 반대가 시작되었다. | ||
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동네의원의 경영난 해소와 만성질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삼았으나, 의료계는 국민의 의료이용 제한과 진료 총량을 규제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의료계와 정부 간의 입장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견 조율 과정에서 다양한 수정안이 제시되었다. | 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동네의원의 경영난 해소와 만성질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삼았으나, 의료계는 국민의 의료이용 제한과 진료 총량을 규제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의료계와 정부 간의 입장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견 조율 과정에서 다양한 수정안이 제시되었다. | ||
최종적으로 정부는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선택의원제 모형을 수정하고,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관리 받을 경우 진찰료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정책을 확정하였다. 이는 환자의 의료 접근성 향상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 최종적으로 정부는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선택의원제 모형을 수정하고,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관리 받을 경우 진찰료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정책을 확정하였다. 이는 환자의 의료 접근성 향상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 ||
이 사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발생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한 소통과 협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책적 의도와 실행 과정에서의 이슈를 조정하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는 과정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 이 사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발생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한 소통과 협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책적 의도와 실행 과정에서의 이슈를 조정하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는 과정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 ||
== 정책 배경 == | |||
== | |||
고령화 사회의 심화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는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의 체계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만성질환자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이 1차 의료기관인 동네의원에서 충분히 관리되지 못하고 3차 의료기관인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은 의료 자원 낭비와 환자의 불편을 초래했다. | 고령화 사회의 심화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는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의 체계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만성질환자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이 1차 의료기관인 동네의원에서 충분히 관리되지 못하고 3차 의료기관인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은 의료 자원 낭비와 환자의 불편을 초래했다. |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를 위해 정부는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계획’을 2011년에 추진했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경우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시켜주고, 환자를 잘 관리하는 의원에게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를 위해 정부는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계획’을 2011년에 추진했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경우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시켜주고, 환자를 잘 관리하는 의원에게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한다. | ||
== | == 정책 내용 및 주요 특징 == | ||
1) 선택의원제: 만성질환자가 자신이 이용할 동네의원을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면 진찰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 1) 선택의원제: 만성질환자가 자신이 이용할 동네의원을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면 진찰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 ||
29번째 줄: | 21번째 줄: | ||
3) 의료기관별 보상금 차등: 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네의원에게 환자관리표 작성을 전제로 회당 1000원을 별도 보상한다. | 3) 의료기관별 보상금 차등: 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네의원에게 환자관리표 작성을 전제로 회당 1000원을 별도 보상한다. | ||
== | == 정책 실행 과정 및 변화 == | ||
* 2011년 1월: 정부는 동네의원 활성화와 만성질환자 관리 효율화를 목표로 선택의원제 및 약제비 차등제 도입을 공개했다. | |||
* 2011년 5~9월: 의료계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하여 정부는 선택의원제 운영 방식 수정, 명시적인 선택행위 폐지 등의 조정을 단계적으로 시행했다. | |||
* 2011년 12월: 건강보험심의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된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진찰료 감면(30%→20%) | |||
** 환자가 선택한 의원에서 지속적으로 질병 관리 시 혜택 제공, 환자가 의원을 바꿔도 혜택 유지 | |||
== 정책 주체별 입장 분석 == | |||
=== 찬성 입장 === | |||
(1) 보건복지부 | |||
* 만성질환자의 효율적인 건강관리 | |||
* 3차 의료기관 환자 쏠림 완화 | |||
* 동네의원 경영난 해결 | |||
(2) 지역주민 | |||
* 접근성이 높은 동네의원에서 편리하게 진료 | |||
* 진료비 및 약제비 부담 감소 | |||
(3) 일부 의료기관 | |||
* 환자 유입 증가 및 수익 창출 기회 | |||
=== | === 반대 입장 === | ||
(1) 대한의사협회 | |||
* 국민의 의료 이용 및 진료 총량 제한 | |||
* 건강보험 재정 절감 의도 | |||
* 의료 서비스 수준 저하 | |||
*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및 1차 의료 활성화 필요 | |||
(2) 일부 환자 | |||
* 선택 의무에 대한 불만 | |||
*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감소 우려 | |||
== 정책 평가 및 향후 과제 == | |||
=== 긍정적 효과 === | |||
* 만성질환자의 동네의원 이용률 증가 | |||
*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관리 및 질병 관리 개선 | |||
* 동네의원의 경영 안정화 | |||
*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 |||
=== 부정적 효과 === | |||
* 일부 환자의 선택 의무에 대한 불만 | |||
*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감소 우려 | |||
* 의료기관 간 불균형 심화 가능성 | |||
* 약제비 차등 부담으로 인한 불평등 심화 가능성 | |||
=== 향후 과제 === | |||
* 정책 지속성 확보 및 장기적인 운영 방안 마련 | |||
* 환자 선택 권익 보호 및 의료 서비스 질 향상 노력 | |||
* 의료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지원 | |||
* 약제비 차등 부담 완화 방안 모색 및 건강보험 재정 관리 | |||
== 정책적 시사점 == | |||
=== | ===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 및 소통 강화 === | ||
* 정책 결정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정책의 합리성 및 수용도를 높여야 한다. | |||
* 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 투명하고 열린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
=== 정책의 장기적인 지속성 확보 === | |||
* 단기적인 효과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
* 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여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 |||
===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 구축 === | |||
의료 서비스 | * 환자의 선택 권익을 보호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 ||
* 질병 관리 및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예방적 의료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 | |||
===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 === | |||
*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 의료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적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 |||
===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 | |||
*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 |||
* 약제비 차등 부담 완화 방안을 모색하고, 불평등 심화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합한다. | |||
== 결론 == | |||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 정책은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리 및 의료 시스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정책이다. 하지만,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정책의 장기적인 지속성 확보,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 구축,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 |||
== | == 참고문헌 == | ||
* 황은애. (2012).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 의 의료소비자 수용성확대 방안. ''소비자정책동향'', (32), 1-26. | |||
* 유하늬, 서인경, & 최민영. (2017). 지역사회 중심의 일차의료의 활성화를 통한 만성질환관리 서비스디자인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7''(2), 41-50. | |||
* Kim, H. S., Yoo, B. N., & Lee, E. W. (2018). Evaluation of the national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olicy: performance and future directions. ''Public Health Affairs'', ''2''(1), 105-120. | |||
* Song, E., Kim, Y. E., & Ji, S. (2021). Impact of a primary health care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ilot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6''(1), 7-12. | |||
* 약업신문, "건강증진개발원, 추진단으로 만관제 정책지원 나선다", 2018.09.05 | |||
* 청년의사, "본사업 앞둔 만성질환관리제 “구조 단순·효율화해야”", 2022.07.26 | |||
[[분류:정책이슈]] | |||
[[분류:보건의료정책]] | |||
[[분류:보건복지부]] | |||
2024년 2월 25일 (일) 09:29 기준 최신판
개요
고령화 사회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2011년 12월, 동네의원을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 계획을 확정하였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시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해주고, 환자 관리가 잘되는 의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대형병원 이용 시 본인부담금과 약제비 증가로 인해 의료계와 일부 환자들의 반대가 시작되었다.
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동네의원의 경영난 해소와 만성질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삼았으나, 의료계는 국민의 의료이용 제한과 진료 총량을 규제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의료계와 정부 간의 입장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견 조율 과정에서 다양한 수정안이 제시되었다.
최종적으로 정부는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선택의원제 모형을 수정하고,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관리 받을 경우 진찰료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정책을 확정하였다. 이는 환자의 의료 접근성 향상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이 사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발생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한 소통과 협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책적 의도와 실행 과정에서의 이슈를 조정하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는 과정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책 배경
고령화 사회의 심화와 변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는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의 체계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만성질환자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이 1차 의료기관인 동네의원에서 충분히 관리되지 못하고 3차 의료기관인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은 의료 자원 낭비와 환자의 불편을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를 위해 정부는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강화계획’을 2011년에 추진했다. 이 계획은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경우 진찰료 및 약제비를 경감시켜주고, 환자를 잘 관리하는 의원에게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한다.
정책 내용 및 주요 특징
1) 선택의원제: 만성질환자가 자신이 이용할 동네의원을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면 진찰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2) 약제비 차등 부담: 선택의원을 이용하는 경우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30%로 낮추고, 대형병원을 이용하는 경우 60%로 부담시키는 방안이다.
3) 의료기관별 보상금 차등: 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네의원에게 환자관리표 작성을 전제로 회당 1000원을 별도 보상한다.
정책 실행 과정 및 변화
- 2011년 1월: 정부는 동네의원 활성화와 만성질환자 관리 효율화를 목표로 선택의원제 및 약제비 차등제 도입을 공개했다.
- 2011년 5~9월: 의료계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하여 정부는 선택의원제 운영 방식 수정, 명시적인 선택행위 폐지 등의 조정을 단계적으로 시행했다.
- 2011년 12월: 건강보험심의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된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진찰료 감면(30%→20%)
- 환자가 선택한 의원에서 지속적으로 질병 관리 시 혜택 제공, 환자가 의원을 바꿔도 혜택 유지
정책 주체별 입장 분석
찬성 입장
(1) 보건복지부
- 만성질환자의 효율적인 건강관리
- 3차 의료기관 환자 쏠림 완화
- 동네의원 경영난 해결
(2) 지역주민
- 접근성이 높은 동네의원에서 편리하게 진료
- 진료비 및 약제비 부담 감소
(3) 일부 의료기관
- 환자 유입 증가 및 수익 창출 기회
반대 입장
(1) 대한의사협회
- 국민의 의료 이용 및 진료 총량 제한
- 건강보험 재정 절감 의도
- 의료 서비스 수준 저하
-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및 1차 의료 활성화 필요
(2) 일부 환자
- 선택 의무에 대한 불만
-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감소 우려
정책 평가 및 향후 과제
긍정적 효과
- 만성질환자의 동네의원 이용률 증가
-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관리 및 질병 관리 개선
- 동네의원의 경영 안정화
-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부정적 효과
- 일부 환자의 선택 의무에 대한 불만
-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감소 우려
- 의료기관 간 불균형 심화 가능성
- 약제비 차등 부담으로 인한 불평등 심화 가능성
향후 과제
- 정책 지속성 확보 및 장기적인 운영 방안 마련
- 환자 선택 권익 보호 및 의료 서비스 질 향상 노력
- 의료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지원
- 약제비 차등 부담 완화 방안 모색 및 건강보험 재정 관리
정책적 시사점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 및 소통 강화
- 정책 결정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정책의 합리성 및 수용도를 높여야 한다.
- 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 투명하고 열린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정책의 장기적인 지속성 확보
- 단기적인 효과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여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 구축
- 환자의 선택 권익을 보호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 질병 관리 및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예방적 의료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
-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의료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적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 약제비 차등 부담 완화 방안을 모색하고, 불평등 심화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합한다.
결론
동네의원 이용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 정책은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리 및 의료 시스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정책이다. 하지만,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정책의 장기적인 지속성 확보,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 구축,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증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참고문헌
- 황은애. (2012).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 의 의료소비자 수용성확대 방안. 소비자정책동향, (32), 1-26.
- 유하늬, 서인경, & 최민영. (2017). 지역사회 중심의 일차의료의 활성화를 통한 만성질환관리 서비스디자인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7(2), 41-50.
- Kim, H. S., Yoo, B. N., & Lee, E. W. (2018). Evaluation of the national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olicy: performance and future directions. Public Health Affairs, 2(1), 105-120.
- Song, E., Kim, Y. E., & Ji, S. (2021). Impact of a primary health care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ilot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6(1), 7-12.
- 약업신문, "건강증진개발원, 추진단으로 만관제 정책지원 나선다", 2018.09.05
- 청년의사, "본사업 앞둔 만성질환관리제 “구조 단순·효율화해야”", 2022.07.26